1. 서론
가상자산은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발행되는 디지털 화폐 또는 경제적 가치를 지닌 전자적 증표로 정의된다(가상자산이용자보호등에관한법률 제2조). 최근 가상자산에 대한 대중적 관심과 투자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금융위원회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24년 6월말 기준으로 글로벌 가상자산의 시가총액은 약 3천조 원에 달하며, 국내 가상자산 시가총액 역시 55조 원을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국내 가상자산 투자자는 700만명을 넘어섰으며, 거래 규모 또한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1]. 이러한 성장세는 미국에서 비트코인 현물 ETF가 승인되고, 미국 트럼프 행정부 2기가 출범하면서 전략자산으로 비트코인이 사용될 가능성이 높아짐에 따라 더욱 증가할 전망이다.
가상자산에 관한 기존 연구들은 가상자산의 법적인 성격, 가상자산 거래에 관한 법규 또는 제도에 관한 연구이거나[2][3][4], 투자자의 관점에서 가상자산의 투자요인 또는 구매의도를 분석하는 연구가 대부분이었다[5][6][7]. 한편 2021년에 특정 금융거래정보의 보고 및 이용 등에 관한 법률에서 가상자산을 "전자적으로 거래 및 이전 가능한 경제적 가치를 지닌 전자적 증표"로 정의하였고, 2024년부터는 가상자산 투자자를 보호하고 가상자산 시장의 불공정거래를 규제하는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이 시행되었다. 최근들어 가상자산의 가격 및 투자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가상자산 거래에 있어 가장 필수적인 수단인 가상자산 거래플랫폼과 이용자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높아짐에도 이 부분에 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러한 시점에 가상자산 거래플랫폼에 대한 실증연구는 시의적절할 뿐만 아니라 가상자산 거래플랫폼 제공자들에게 상당히 관심있는 주제가 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가상자산 거래플랫폼 사용의도에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정보시스템성공모형(ISSM)과 통합기술수용이론(UTAUT)를 기반으로 연구모형을 설계하고, 연구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하여 가상자산 거래플랫폼의 잠재 사용자가 아닌 실제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실증분석하였다. 특히 가상자산 거래플랫폼 사용자의 성별, 연령, 거래기간, 거래금액에 따른 조절효과를 분석함으로써 가상자산 거래플랫폼 제공자에게 의미있는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2. 이론적 배경
2.1 가상자산 및 거래플랫폼
2.1.1 가상자산
가상자산(Virtual Asset)은 디지털 형태로 저장된 가치 또는 교환 수단을 의미하며, 중앙은행이 발행하는 법정통화와 달리 디지털화된 민간통화로 정의할 수 있다[3]. 가상자산은 법정통화와 달리 분산원장기술을 기반으로 초기에는 인터넷상의 P2P(Peer to Peer)방식으로 거래되었으나, 이후에는 가상자산 사업자들이 운영하는 거래플랫폼을 통해 중앙화된 방식으로 거래되었다[8]. 거래플랫폼을 통해 거래되는 특성으로 인해 누구든지 쉽게 가상자산을 발행하고 거래함에 따라 불법적인 자금조달 수단으로 악용될 가능성이 존재하게 되었다[9]. 또한 가상자산은 특성에 따라 지불형 코인, 스테이블 코인, 유틸리티 코인, 증권형 토큰, 대체불가토큰(NFT),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 등 다양한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5].
2.1.2 가상자산 거래플랫폼
가상자산 거래플랫폼은 사용자가 가상자산을 법정화폐로 교환하거나, 매수·매도를 통해 거래를 수행할 수 있는 온라인 기반의 플랫폼이다. 본래 가상자산은 탈중앙화된 거래구조를 지니고 있지만, 거래 기록의 속도, 수수료 부담 등의 어려움으로 인해 중앙화된 가상자산 거래소가 등장했다[3].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에서는 가상자산을 매수·매도하는 행위, 가상자산을 다른 가상자산과 교환하는 행위, 가상자산을 보관 또는 관리하는 등의 행위를 영업으로 하는 자를 가상자산 사업자라고 정의하고 있다. 이러한 가상자산 사업자가 가상자산 거래를 제공하는 온라인상의 플랫폼을 가상자산 거래플랫폼이라 정의할 수 있으며, 가상자산 사업자가 운영하는 거래플랫폼은 단순히 거래를 중개하는 역할을 넘어, 투자자 계정 관리, 법정화폐 및 가상자산 입출금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8]. 가상자산 거래플랫폼은 인터넷을 통해 다수의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고 대규모 가상자산을 처리함에 따라 보안성과 신뢰성 문제가 더욱 중요해지고 있고[10], 다수의 가상자산 거래플랫폼이 등장하면서 일반인의 가상자산의 거래가 더욱 쉬워지고 거래가 급격하게 증가하게 되었다[11]. 금융위원회의 발표에 따르면 2024년 6월말 기준으로 국내에는 14개의 가상자산 거래플랫폼을 운영하는 가상자산 사업자가 있다[1].
2.2 정보시스템 성공모형(ISSM)
정보시스템 성공모형(ISSM, Information System Success Model)은 정보시스템 사용자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DeLone & McLean(1992)이 제안한 이론으로[12], 정보시스템 연구 분야에서 중요한 이론을 제공하고 있다. 이 모형은 정보시스템의 성공을 시스템품질, 정보품질, 사용자 만족 등의 요소를 통해 설명하며, 2003년에는 서비스품질과 순편익(Net Benefits)을 추가한 모델로 수정되었다[13]. 시스템품질은 정보시스템의 기술적 성능과 기능적 측면을 나타내며, 정보품질은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정보의 유용성, 정확성, 신뢰성을 의미한다. 서비스품질은 정보시스템의 사용자 지원 및 서비스 수준을 평가하는 지표로, 시스템의 전반적인 사용자 경험을 포괄한다. 이들 품질 요인은 각각 정보시스템 사용과 사용자 만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궁극적으로 순편익을 통해 정보시스템의 지속적인 사용과 만족도를 증대시키는 선순환 구조를 형성한다.
2.2.1 시스템품질
시스템품질은 정보시스템 자체의 품질을 의미하며, 사용자가 시스템을 어떻게 인식하고 이용하는지에 영향을 미친다[12]. 시스템품질은 사용자가 시스템을 이용하면서 인지하는 전반적인 특성으로 정의하고, 효율성과 운영의 핵심적 요소임을 강조하였고, 정보시스템 성공에 필수적인 평가 기준으로 작용한다[14][15]. 또한 시스템품질은 플랫폼 품질로 확장될 수 있고, 플랫폼 품질이 사용자의 인식에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16][17]. 이를 통해 시스템품질은 단순한 기술적 특성을 넘어 사용자 경험 및 상호작용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수 있고, 지각된 유용성과 사용 용이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연구되었다[18][19].
2.2.2 정보품질
정보시스템 성공모형(ISSM)에서 정보품질은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정보가 얼마나 잘 충족되었는지를 나타내며, 정보시스템이 제공하는 산출물의 특성으로 정의한다[12]. 또한 정보품질을 통해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정보가 얼마나 잘 전달되는지를 평가할 수 있다[15]. 이승환(2024)은 LLM기반의 생성형 AI에 대한 정보품질이 지각된 사용성과 사용 용이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실증하였다[20]. 또한 박우연(2023)은 인터넷보험 서비스를 제공하는 정보시스템의 정보품질이 지각된 유용성과 사용자 만족을 매개로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고[15], 한동열(2023)은 금융마이데이터 서비스의 정보품질의 특성이 사용자 수용에 영향을 미치게 됨을 실증하였다[21].
2.2.3 서비스품질
정보시스템 성공모형(ISSM)에서 서비스품질은 사용자의 정보시스템에 대한 믿음으로, 사용자 만족과 사용 의도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로 여겨진다. 서비스품질은 객관적으로 측정하기 어려운 사용자의 느낌이며 사용자의 인식에 해당된다[14]. 서비스품질은 무형성, 이질성, 비분리성의 특성이 있으므로 객관적 지표로 평가하기 어려운 특징이 있다[15]. 왕가(2024)는 피트니스 앱의 서비스품질이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하였고[22], 신영태(2022)는 비대면 결제 서비스에서 암호화폐의 서비스품질이 지각된 유용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하였다[23]. 또한 한병성(2018)은 점포 IT관리의 서비스품질이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24].
2.3 통합기술수용이론(UTAUT)
통합기술수용이론(UTAUT, Unified Theory of Acceptance and Use of Technology)은 새로운 기술에 대한 사용자의 수용 및 사용 행위를 설명하는 통합적인 이론으로, 다수의 기술수용 이론을 통합하여 기술수용에 대한 예측력과 설명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개발되었다. 이 모델은 주요 변수로 성과기대, 노력기대, 사회적 영향 등을 제시하며, 이러한 변수들을 통해 사용자의 기술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25]. 홍성문(2023)은 UTAUT를 이용하여 가상자산 투자자들의 투자의지에 미치는 요인을 도출하고 위험 선호에 따라 고 위험군과 저 위험군으로 분리하여 집단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6]. 또한 송민택(2021)은 오픈뱅킹 서비스 수용의도에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데 UTAUT의 성과기대와 노력기대를 독립변수로 채택하였다[26].
2.3.1 성과기대, 노력기대, 만족도, 사용의도
UTAUT에서 제시한 성과기대는 사용자가 특정 기술을 사용할 때 그 기술이 제공하는 혜택이 얼마나 유용할 것인지를 의미하고, 노력기대는 사용자가 그 기술을 사용함에 있어 얼마나 용이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지로 설명할 수있다. Davis(1989)는 특정 시스템을 사용하여 업무 성과를 향상시키는 행동 요인을 지각된 유용성으로 설명하였고, 지각된 용이성은 많은 노력을 들이지 않고 시스템을 사용하는 개념으로 정의하였다[27]. DeLone & McLean(1992)은 정보시스템의 성공을 측정하기 위한 중요한 요소로 사용자 만족도를 제시하였으며, 정보시스템에 대한 만족도는 사용자가 정보시스템을 사용한 후 느끼는 평가로 볼 수 있고, 기대를 충족할 경우 만족도가 높아진다고 하였다[28][29][30]. 또한 정보시스템에 대한 성과기대와 노력기대는 정보시스템 사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실증 결과가 도출되었다[31][32][33][34].
2.3.2 사회적 영향, 사용의도
사회적 영향은 주변 사람들이 기술을 사용해야 한다고 믿는 정도를 의미하며, 주변 사람들이 기술에 대한 긍정적인 믿음이 강할수록 기술 사용의도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25]. 정수연(2022)은 사회적 영향을 소비자의 주변 사람들이 ‘스포츠 라이브 스트리밍 서비스를 사용해야 한다고 믿는 정도'로 정의하였다[35]. 그 외에도 다수의 정보시스템에 대한 연구에서 사회적 영향은 정보시스템의 사용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실증되었다[33][36][37].
3. 연구모형 및 가설설정
3.1 연구모형의 설계
본 연구는 가상자산 거래플랫폼의 품질특성이 거래 플랫폼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UTAUT를 활용하여 규명하며, 인구통계적 특징인 성별, 연령에 따라 그리고 가상자산 거래기간 및 거래금액의 수준에 따라 성과기대와 노력기대가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지는지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가상자산 거래플랫폼의 특성으로 ISSM의 시스템품질, 정보품질, 서비스품질 3가지 요인을 설정하였고, UTAUT의 성과기대, 노력기대가 만족도를 경유하여 가상자산 거래플랫폼의 사용의도에 미치는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연구모형을 그림[1]과 같이 설정하였다.
(그림 1) 연구모형
3.2 가설설정
3.2.1 가상자산 거래플랫품 품질특성과 성과기대, 노력기대의 관계
정보시스템 또는 기술의 사용의도에 관한 다수의 선행연구에서 정보시스템의 시스템품질, 정보품질, 서비스품질은 정보시스템 사용에 따른 성과기대와 노력기대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14][15][22][23][36]. 이에 가상자산 거래플랫폼 품질 특성으로 설정한 시스템품질, 정보품질, 서비스품질은 성과기대와 노력기대에 각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론하고 다음의 연구가설을 수립하였다.
H1. 가상자산 거래플랫폼 품질특성이 성과기대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1-1] 시스템품질은 성과기대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1-2] 정보품질은 성과기대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1-3] 서비스품질은 성과기대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2. 가상자산 거래플랫폼 품질특성이 노력기대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2-1] 시스템품질은 노력기대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2-2] 정보품질은 성과기대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2-3] 서비스품질은 성과기대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3.2.2 가상자산 거래플랫폼에 대한 성과기대, 노력기대와 만족도의 관계
디지털헬스케어 서비스의 성과기대, 노력기대는 사용자 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29]. 또한 음원스트리밍 플랫폼의 성과기대, 노력기대는 고객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를 제시한 바 있다[33]. 그외 다수의 연구에서 정보시스템의 성과기대와 노력기대는 사용자 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30][28][38]. 따라서 가상자산 거래플랫폼의 성과기대, 노력기대는 사용자 만족도에 각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론하여 연구가설을 수립하였다.
H3. 가상자산 거래플랫폼에 대한 성과기대는 사용자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4. 가상자산 거래플랫폼에 대한 노력기대는 사용자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3.2.3 가상자산 거래플랫폼에 대한 성과기대, 노력기대, 사회적영향, 만족도와 사용의도의 관계
관광블록체인과 같은 정보시스템에 대한 사용자의 성과기대는 정보시스템 수용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32], 블록체인 기반의 소셜미디어 플랫폼 사용자에 대한 성과기대도 플랫폼서비스의 수용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31]. 그 외에도 다수의 정보시스템 사용자의 성과기대와 노력기대는 정보시스템에 대한 사용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23][33][34][35]. 또한 연구시설의 공동활용 서비스 이용에 따른 사용자의 만족이 사용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28], e-커머스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의 만족도는 구매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38]. 따라서 가상자산 거래플랫폼의 성과기대, 노력기대, 사회적영향, 만족도는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론하여 다음의 연구가설을 수립하였다.
H5. 가상자산 거래플랫폼에 대한 성과기대는 사용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6. 가상자산 거래플랫폼에 대한 노력기대는 사용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7. 가상자산 거래플랫폼에 대한 사회적영향은 사용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8. 가상자산 거래플랫폼에 대한 만족도는 사용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3.2.4 성별, 연령, 거래기간, 거래금액의 조절효과
Venkatesh et al.(2003)는 정보기술의 수용과 사용의도에 관한 연구에서 사용자의 성별, 연령, 경험을 조절변수로 설정하여 기술수용 과정에 조절효과를 규명하였다[23]. 홍성문(2023)은 위험 선호도에 따른 가상자산 수용의도에 관한 연구에서 사용자의 성별, 연령, 투자기간, 투자규모가 사용의도에 미치는 조철효과를 분석하였다[6]. 또한 문설아(2020)는 외식 O2O 서비스의 품질특성과 기술수용 요인 및 지속사용의도 간의 관계에서 연령이 조절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고[39], 정석찬(2018)은 성별에 따라 가상자산의 수용의도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40]. 선행연구를 근거로 조절효과에 대한 다음의 가설을 수립하였다.
H9-1. 성과기대와 사용의도의 관계에서 사용자 성별은 조절효과가 있을 것이다.
H9-2. 성과기대와 사용의도의 관계에서 사용자 연령은 조절효과가 있을 것이다.
H9-3. 성과기대와 사용의도의 관계에서 사용자 거래기간은 조절효과가 있을 것이다.
H9-4. 성과기대와 사용의도의 관계에서 사용자 거래금액은 조절효과가 있을 것이다.
H10-1. 노력기대와 사용의도의 관계에서 사용자 성별은 조절효과가 있을 것이다.
H10-2. 노력기대와 사용의도의 관계에서 사용자 연령은 조절효과가 있을 것이다.
H10-3. 노력기대와 사용의도의 관계에서 사용자 거래기간은 조절효과가 있을 것이다.
H10-4. 노력기대와 사용의도의 관계에서 사용자 거래금액은 조절효과가 있을 것이다.
3.3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분석방법
본 연구에서는 가상자산 거래플랫폼의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실증분석하기 위하여 정보시스템성공모형과 통합기술수용이론에서 사용된 주요 변수를 가상자산 거래플랫폼 특성을 고려하여 재정의하였고, 선행연구를 참조하여 해당 변수를 측정하는 설문문항을 구성하였다. 설문은 20세 이상의 가상자산 거래플랫폼 이용 경험자를 대상으로 인구통계학적 항목의 8개 문항과 가설검증을 위한 8개 항목에 대한 40개 문항이다. 본 연구의 변수와 조작적 정의 및 측정 문항은 <표 1>과 같다.
<표 1> 조작적 정의 및 측정문항
3.4 표본특성
본 연구는 가상자산 거래플랫폼 이용 경험자를 설문대상으로 리커트 7점 척도의 설문지를 사용하여 총 300부를 배포하였고, 조사는 2024년 11월 8일부터 11월 12일까지 실시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300개 중 답변의 성실성과 일관성이 떨어지는 설문지를 제외하고 유효한 표본 283개를 분석하였다. 설문을 분석하기 위하여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고 분석한 결과 인구통계학적 특징은 <표 2>과 같다.
<표 2> 인구통계학적 특징(n=283)
4. 실증분석 결과
4.1 측정도구의 검정
측정도구 검정을 위하여 베리맥스(Varimax) 방법을 활용한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타당성을 확인하였고 크론바흐 알파(Cronbach’s alpha) 계수로 신뢰성을 확인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는 요인 적재량이 0.4 이상일 경우 유의한 변수로 판단하고, 0.5 이상을 경우에는 중요한 변수로 판단할 수 있다. 신뢰성은 크론바흐 알파 계수값이 0.6 이상일 경우에는 수용가능한 수준이고 0.7 이상이면 바람직한 신뢰도로 판단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표 3>과 같이 전체 8개 변수의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KMO는 0.960으로 높게 나타났고, Bartlett 구형성 검정 통계량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수집된 자료는 요인분석에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요인분석 결과 8개의 요인으로 분석되었으며, 8개 요인에 대한 누적분산 설명력은 75.199%로 나타나 설명력이 매우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각 요인의 요인 적재량은 0.5 - 0.8 수준으로 나타나 모두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Cronbach’s Alpha 계수도 모두 0.8 이상으로 측정되어 신뢰성이 확보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표 3> 측정도구의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4.2 가설검정
연구모형에서 제시된 각 변수간의 가설 검증을 위하여 SPSS 22.0을 사용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가상자산 거래플랫폼의 품질특성이 성과기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표 4>와 같이 F값이 유의한(p<.001) 것으로 나와 회귀모형은 적정한 것으로 판단하였으며, R2=0.580으로 나타났다. 시스템품질(β=.489, p<.05), 서비스품질(β=.308, p<.05)은 성과기대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정보품질(β=.062, p>.05)은 성과기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가설 H1-1, H1-3은 채택되었고, H1-2은 기각되었다.
<표 4> 가상자산 거래플랫폼 품질특성이 성과기대에 미치는 영향
***p<.001
가상자산 거래플랫폼의 품질특성이 노력기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표 5>와 같이 F값이 유의한(p<.001) 것으로 나와 회귀모형은 적정한 것으로 판단하였으며, R2=0.522으로 나타났다. 시스템품질(β=.376, p<.05), 서비스품질(β=.361, p<.05)은 성과기대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정보품질(β=.084 ,p>.05)은 성과기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가설 H2-1, H2-3은 채택되었고, H2-2는 기각되었다.
<표 5> 가상자산 거래플랫폼 품질특성이 노력기대에 미치는 영향
***p<.001
매개변수인 성과기대, 노력기대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표 6>와 같이 같이 F값이 유의한(p<.001) 것으로 나와 회귀모형은 적정한 것으로 판단하였으며, R2=0.492으로 나타났다. 성과기대(β=.246, p<.05), 노력기대(β=.499, p<.05)는 만족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가설 H3과 H4는 모두 채택되었다.
<표 6> 성과기대와 노력기대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p<.001
성과기대, 노력기대, 사회적영향, 만족도가 종속변수인 거래플랫폼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표 7>와 같이 같이 F값이 유의한(p<.001) 것으로 나와 회귀모형은 적정한 것으로 판단하였으며, R2=0.650으로 나타났다. 성과기대(β=.429, p<.05), 노력기대(β=.122, p<.05), 사회적영향(β=.128, p<.05), 만족도(β=.265, p<.05)은 모두 사용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가설 H5, H6, H7, H8은 모두 채택되었다.
<표 7> 성과기대, 노력기대, 사회적영향, 만족도가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p<.05 **p<.01 ***p<.001
4.3 조절효과 검정
조절변수는 성별, 연령, 거래기간, 거래금액이며, 성별과 연령은 범주형 변수이므로 더미변수로 처리하여 분석하고, 거래기간과 거래금액은 연속변수로 분석하였다. 성별, 연령, 거래기간, 거래금액 4개의 조절변수가 H5, H6 경로에 대해 조절효과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 총 8개 경로 중 3개 경로에서 유의한 조절효과가 나타났으며, 이를 중심으로 조절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연령에 따라 성과기대가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표 8>과 같이 연령이 높을수록 성과기대가 사용의도에 미치는 정(+)의 영향은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β=.135, p<.05). <그림 2>는 조절효과의 해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연령의 평균값을 기준으로 높은 집단(High 연령)과 낮은 집단(Low 연령)을 구분하여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표 8> 연령의 조절효과
(그림 2) 연령의 조절효과
가상자산 거래플랫폼을 이용한 거래기간에 따라 노력기대가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표 9>과 같이 거래기간이 길수록 노력기대가 사용의도에 미치는 정(+)의 영향은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β=.129, p<.05). <그림 3>는 조절효과의 해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거래기간의 평균값을 기준으로 거래기간이 긴 집단(High 거래기간)과 짧은 집단(Low 거래기간)을 구분하여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표 9> 거래기간의 조절효과
(그림 3) 거래기간의 조절효과
가상자산 거래플랫폼을 이용한 거래금액에 따라 노력기대가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표 10>과 같이 거래금액이 클수록 노력기대가 사용의도에 미치는 정(+)의 영향은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β=.139, p<.05). <그림 4>는 조절효과의 해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거래금액의 평균값을 기준으로 거래금액이 큰 집단(High 거래금액)과 작은 집단(Low 거래금액)을 구분하여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표 10> 거래금액의 조절효과
(그림 3) 거래금액의 조절효과
5. 결론
5.1 연구결과 요약 및 논의
본 연구는 국내 가상자산 거래플랫폼 이용 경험자를 대상으로 거래플랫폼의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상자산 거래플랫폼의 품질특성과 성과기대 및 노력기대의 관계에서 시스템품질과 서비스품질은 성과기대와 노력기대에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김민경(2024), 왕가(2024), 박우연(2023), 김은석(2019)의 선행연구에서 실증분석한 결과와 맥을 같이한다. 그러나 정보품질은 성과기대와 노력기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정보품질 특성은 가상자산 거래플랫폼뿐만 아니라 HomePage, Blog, YouTube 등등 다양한 채널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거래플랫폼에서 제공하는 정보서비스의 영향은 미미한 것으로 해석된다. 다음으로 성과기대와 노력기대는 모두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장쉬(2024), 한성현(2024), 김재환(2023), 이상훈(2022)의 선행연구에서 성과기대와 노력기대는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와 궤를 같이한다. 다음으로 성과기대, 노력기대, 사회적영향과 만족도가 사용의도에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김지영(2023), 취홍잉(2022), 신영태(202), 이상훈(202)의 선행연구에서 성과기대, 노력기대는 정보시스템의 사용의도에 정(+)을 영향을 미치고, 김재환(2023), 정도(2020)의 선행연구에서 사용자의 만족도가 정보시스템의 사용의도 또는 구매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와 일치한다.
한편, 가상자산 거래플랫폼 사용자의 성별, 연령, 거래기간, 거래금액의 수준에 따라 성과기대, 노력기대가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이 조절되는지를 분석한 결과, 연령이 높아질수록 거래플랫폼에 대한 성과기대는 사용의도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이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연령이 높은 사용자일수록 가상자산 거래를 위하여 거래플랫폼을 이용하는 것이 더욱 안전하고 가상자산 거래에 필요한 수단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다음으로 가상자산 거래기간이 길고, 거래금액이 많을수록 노력기대가 사용의도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은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가상자산 거래경험이 오래되고 거래금액이 큰 사용자일수록 가상자산 거래플랫폼을 더욱 쉽게 받아들이고 새로운 기능도 빠르게 활용할 수 있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5.2 시사점
본 연구의 주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 가상자산 관련 연구들은 주로 가상자산의 법적 성격이나 가상자산 시장의 규제, 투자자의 구매의도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실제 가상자산 거래의 핵심 인프라인 거래플랫폼 자체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그러나 최근 가상자산 시장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최근 가상자산 거래가 증가하면서 거래플랫폼의 역할은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본 연구는 가상자산 거래플랫폼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 향후 가상자산 거래플랫폼을 연구하는 데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둘째, 본 연구는 기존 UTAUT에 ISSM의 주요 변수를 결합하고, 가상자산 거래플랫폼의 품질특성을 추가 반영함으로써 사용의도에 대한 설명력을 높이려고 하였다. 또한 실제 거래 경험이 있는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수행함으로써 연구결과의 신뢰성을 높였다. 이를 통해 가상자산 거래플랫폼의 사용의도를 보다 정교하게 설명할 수 있었으며, 기존 연구와 차별화되는 학술적 기여를 하였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가상자산 거래플랫폼 사용자의 연령, 거래기간, 거래금액과 같은 개인적 특성이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는 모든 사용자가 동일한 방식으로 플랫폼을 인식하고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개인별 특성에 따라 사용의도가 달라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향후 거래플랫폼을 설계하거나 기능을 개선할 때에는 이러한 사용자별 차이를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보다 효과적인 가상자산 거래플랫폼 운영 전략을 수립할 수 있을 것이다.
5.3 한계점
본 연구는 국내 가상자산 거래 경험자를 대상으로 거래플랫폼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으나, 다음의 한계점이 존재한다. 본 연구는 사용의도에 초점을 맞추었으나, 가상자산 시장의 성장과 기술환경의 변화에 따라 사용자의 플랫폼 이용 패턴이 달라질 가능성을 고려할 때, 향후 연구에서는 지속사용의도 또는 전환의도를 분석할 필요가 있다. 후기 수용모델(PAM) 또는 전환모형(PPM)을 활용한 연구를 통해 가상자산 거래플랫폼의 장기적 이용행태를 보다 체계적으로 규명할 필요가 있다.
References
- 금융위원회 보도자료, " '24년 상반기 가상자산사업자 실태조사 결과", 2024.
- 장성일, "비트코인의 자산성격에 관한 연구", The Journal of Societyfor e-BusinessStudies, Vol.22 No.4, pp.117-128, 2017.
- 류경은, "가상자산거래소 관련 법적 쟁점- 이용자의 권리 및 이용자 보호 방안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 이정수, "가상자산 이용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의 법적 의의와 쟁점 및 향후 입법방향", 한국증권법학회 증권법연구, 제24권 제2호, pp.89-121, 2023.
- 서재석 & 김상일, "사회적 특성과 개인적 특성이 가상자산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산업정보학회 논문지, 제19권 제2호, 2023.
- 홍성문, "개인 투자자의 가상자산 투자 수용의도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3 No.4, 2023.
- 김민정, 조혜진 & 김은미, "암호자산 투자자는 누구인가? - 암호자산 투자자 특성 및 투자 결정요인 분석", 소비자학연구, 제30권 제3호, 2019.
- 이윤주 & 이동원, "가상통화거래소의 계정 및 자산 보호에 관한 사례연구 : 유관기관의 프로세스를 중심으로", Information Systems Review, Vol. 22 No. 4, 2020.
- 전주용, "비트코인의 이해: 금융경제학적 관점에서" KBR, 제18권 제4호, 2014.
- 박근덕, "자금세탁 방지를 위한 디지털 자산거래시스템 개선방안", 정보보호학회지, 제28권 제4호, 2018.
- 권오훈, "가상자산의 법적 성질 –미국과 한국의 증권규제를 중심으로-", ․商事判例硏究, 第34卷 第3號, 2021.
- ] DeLone, W.H. & McLean, E.R., Information system success: The quest for the dependent variable, Information System Research, 3(1), pp.60-95, 1992. https://doi.org/10.1287/isre.3.1.60
- DeLone, W.H. & McLean, E.R., The DeLone and McLean Model of Information Systems Success: A Ten-year Update, Journal of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19(4), pp.9-30, 2003. https://doi.org/10.1080/07421222.2003.11045748
- 김민경, "라이브커머스 플랫폼의 지각된 품질이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인플루언서 특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4.
- 박우연, "인터넷보험의 정보시스템 품질이 지각된 유용성과 사용자 만족도를 매개로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부경대학교 대학원, 2023.
- Akter S. & D"Ambra J., "Service quality of mHealth platforms: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hierarchical model using PLS", Springer Nature, Volume 20. pp.209-227, 2010. https://doi.org/10.1007/s12525-010-0043-x
- Akter S. & D"Ambra J.,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instrument to measure user perceived service quality of mHealth", Information & Management, Volume 50 Issue 4. pp.181-195, 2013. https://doi.org/10.1016/j.im.2013.03.001
- 유은정, "공유숙박 플랫폼의 품질특성이 한·중 이용자의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0.
- 문은경, "대학 원격수업 유형에 따른 지속사용의도에 대한 영향 요인 비교 연구", 박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2.
- 이승환 & 현지은, " LLM 기반의 생성형AI 응답데이터 품질이 업무 활용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융합보안논문지, 제24권 제3호, 2024.
- 한동열, "금융마이데이터 서비스의 사용자 수용 결정요인에 대한 실증 연구 : UTAUT2 및 ISSM(정보시스템성공모형)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3.
- 왕가, "피트니스 앱의 유료 콘텐츠 지속사용의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정보시스템 성공모델(ISSM)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영남대학교 대학원, 2024.
- 신영태, "암호화폐 서비스 특성이 사용자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페이코인 결제 서비스를 중심으로", The Journal of Internet Electronic Commerce Research, Vol. 22. No. 2, pp.169-189, 2022. https://doi.org/10.37272/JIECR.2022.04.22.2.169
- 한병성, "점포 IT관리의 서비스품질 및 시스템품질이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8.
- Venkatesh, V., Morris, M. G., Davis, G. B., & Davis, F. D.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Toward a unified view", MIS Quarterly, 27(3), pp.425-478, 2003. https://doi.org/10.2307/30036540
- 송민택, "사용자의 오픈뱅킹 수용의도에 관한 영향요인 연구", Information Systems Review, Vol. 23, No. 2, 2021.
- Davis, F. D.,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MIS Quarterly, Vol. 13 No. 3., pp.319-340, 1989. https://doi.org/10.2307/249008
- 김재환, "연구시설 공동활용 서비스 이용만족과 지속사용의도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3.
- 한성현, "ISSM TAM 과의 통합모형을 통한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의 지속적 사용을 위한 연구 : 표준화 선행변수를 이용하여",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4.
- 장쉬, "TAM 모델을 활용한 전기자동차 OTA 만족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4.
- 김지영, "블록체인 기반 소셜미디어 플랫폼의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3.
- 취홍잉, "관광 블록체인 기술 특성이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확장된 통합기술수용이론(UTAUT2)을 적용하여", 박사학위논문, 강원대학교 대학원, 2022.
- 이상훈, "UTAUT2를 적용한 구독의도 및 고객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실증연구: - 한국 주요 음원 스트리밍 플랫폼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인하대학교 대학원, 2022.
- Restuputri D. P., Refoera F. B. & Masudin I., "Investigating Acceptance of Digital Asset and Crypto Investment Applications Based on the Use of Technology Model (UTAUT2)", FinTech 2023, 2. pp.388-413, 2023.
- 정수연, "확장된 통합기술수용모델(UTAUT2)을 적용한 OTT 플랫폼 스포츠 라이브 스트리밍 서비스 사용행위 연구: 쿠팡플레이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 제27권 pp.64-85, 2022.
- 김은석, "인슈어테크 디지털 보험플랫폼서비스의 사용자 수용의도에 관한 연구", 경영학연구, 제48권 제4호, pp.997-1043, 2019. https://doi.org/10.17287/kmr.2019.48.4.997
- Ji-Xi J. T., Salamzadeh Y. & Teoh A. P., "Behavioral intention to use cryptocurrency in Malaysia: an empirical study", The Bottom Line, Vol. 34 No. 2, pp.170-197, 2020.
- 정도, "중국기업의 e-커머스 서비스 품질이 소비자 만족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확장된 기술수용모델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원광대학교 대학원, 2020.
- 문설아, "확장된 기술수용모델(ETAM)을 적용한 외식 O2O 서비스의 지속사용의도에 관한 연구 : 연령의 조절효과", 호텔경영학연구, 제29권 제5호, pp.119-137, 2020. https://doi.org/10.24992/KJHT.2020.07.29.05.119.
- 정석찬, "대학생들의 가상화폐 거래소 수용요인에 관한 연구", 인터넷전자상거래연구, 제18권 제6호, pp.183-204, 2018 https://doi.org/10.37272/JIECR.2018.12.18.6.1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