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론
산업보안요원은 주로 산업기술 유출 방지를 수행하고 있으나, 미국산업보안협회는 출입통제, 손실방지, 공항보안, 해상보안, 국경보안, 석유보안, 비상계획, 신변보호, 재난관리, 물리적 보안, 사이버범죄, 항만보안, 마약통제, 정보보안, 화재안전, 위험관리, 식품안전, 학교보안, 보안요원, 보안관리, 국제안보, 테러리즘, 수사/조사, 여행보안, IT보안, 직장폭력 등으로 영역을 분류하고 있다[1].
직무스트레스는 업무상 요구사항이 구성원의 능력이나 자원, 요구와 일치하지 않을 때 생기는 심리적, 행동적, 인지적, 조직적 반응으로 사람마다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의 차이가 있다. 직무스트레스는 원인을 개인차원, 조직차원, 직무차원으로 구분하고 있는데, 통상적으로 업무시간, 조직구조, 물리적 환경, 조직에서 역할, 대인관계 갈등, 조직외적 요인 등이 원인이 되고 있다[2].
직무만족은 개인이 직무와 관련 평가결과로 확인할 수 있는 감정상태를 의미하고 있다.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는 내재적 요인과 외재적 요인이 있다. 내재적 요인은 개인적 특성으로 기분과 정서, 성격, 자기효능감, 개인역량 등이 있고, 직무 자체의 특성으로 직무독립성, 직무에 대한 관심, 성공적인 직무수행, 기술의 적용, 직무에 대한 몰입 등이 있다[30]. 외재적 요인은 직무를 둘러싼 환경적 요인으로 보상, 고용안정, 안전한 근무여건, 감독 및 상사와의 관계, 동료관계, 승진 등이 있다[31].
조직몰입은 심리적인 상태로 개인이 조직이나 조직의 목표와 자신을 동일시하는 것으로 조직의 구성원으로 남고자 하는 의지와 조직에 충성하려는 의지 등을 의미한다. 조직몰입의 결과변수로는 조직을 떠나려는 경향의 이직의도, 구성원이 자신의 직무를 수행하는 정도의 직무성과, 구성원이 자신의 의견을 표현하고 책임감을 가지는 정도의 참여도, 자발적으로 조직의 목표달성에 기여하려는 조직시민행동 등이 있다[3].
이직은 일반적으로 구성원과 조직의 분리를 의미하는데 자발적 이직과 비자발적 이직으로 구분하고 있다. 이직의도는 이직이라는 행위에 대한 의식적인 의지를 의미하며, 조직과의 고용관계를 그만두려는 생각과 다른 기업과의 고용관계에 대하여 찾아보는 의향을 나타내는 종합적인 직원의 의지를 나타낸다. 이직에 대한 지각의 마지막 단계로 인식하고 있다[4].
본 연구는 산업보안요원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과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에 주는 효과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산업보안요원으로 근무하는 180명의 근무자들을 대상으로 2024년 10월 28부터 11월 29일까지 5주간에 걸쳐 설문조사를 실행하였다. 설문 내용에서 변수를 “첫째 직무스트레스, 둘째 직무만족, 셋째 조직몰입, 넷째 이직의도”로 구성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연구가설 4개를 제시하였다. 보안요원들의 직무스트레스를 줄이고 이직의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통계프로그램 SPSS 23.0을 활용하여 그 방안을 찾아보았다.
2. 선행연구
2.1 직무스트레스
국내 건축/설계 인력들은 성별이나 직급과 무관하게 직무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트레스 수준이 높은 항목으로 ‘업무예측의 불가능성’과 ‘업무처리의 속도’가 선정되었다. 여성의 경우 ‘업무수행의 책임’이, 남성의 경우 ‘조직에 대한 헌신도 저하’가 직무스트레스의 주요 원인으로 조사되었다[5,32].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긴장, 불안, 과민, 짜증, 분노 등의 부정적인 표현의 증가로 인해 아동 간의 관계가 악화되고 있다. 이를 해소하고 보육교사의 보육서비스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사회적인 관심과 근무환경 개선이 필요해 보인다. 또한 충분한 휴식시간 및 동료교사와 교류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6,33]. 영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기관 유형 및 교사의 최종 학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의 공감능력은 직무스트레스와 음(-)의 상관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연구결과,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해서는 공감능력을 향상시키고 전문성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고 제시하였다[7,34].
2.2 직무만족
청년층 임금근로자를 대상으로 직무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직무만족이 증가할수록 이직의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제시되었다. 직장 폐업이나 계약기간 만료 등 비자발적 이유로 이직한 경우에는 자발적인 경우에 비해 직무만족이 크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새로이 이직한 직장에서 직무만족이 증가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다[8,35]. MZ세대의 직무만족에 관한 영향을 분석한 결과, 성별, 최종학력, 근무기간, 직급, 임금수준, 기업형태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무만족이 낮을수록 이직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나 기업들은 조직문화 및 인사제도를 개선하고 지원하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제시하였다[9,36]. 보육교사의 직무만족은 동료교사 및 학부모와 관계, 원장의 태도 및 운영방식, 복지, 보육환경, 처우수준, 보육업무, 사회적 인식 등으로 나타났다. 직무만족과 조직문화 수준이 높을수록 직무 책임감과 애착이 높게 나타났으며 직무만족은 직무몰입 향상에 우호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제시하였다[10,37].
2.3 조직몰입
경기도 소방공무원을 대상으로 조직몰입에 관한 분석을 실시한 결과, 주관적 안녕감, 전반적 삶 만족도, 심리적 안녕감 모두 조직몰입에 유의한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를 근거로 휴식 공간 확보, 소방병원 설립, 헬스장 설치, 심리관리 프로그램 강화, 상하간 소통 강화, 교육훈련 지원, 인사 평가 공정성 등을 제안하였다[11,38]. 종업원의 조직 내 유연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본 결과, 근무 장소, 업무 자율성, 근무 연속성, 팀워크가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근무시간은 조직몰입에 유의하지 못하는 것으로 제시하였다. 이를 토대로 팀워크와 자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종업원간 의사소통과 협업을 향상시킬 필요성이 강조되었다[12,39]. 외식기업의 ESG 경영활동 중 환경 활동, 사회 활동, 지배구조 활동 모두 조직몰입에 우호적인 효과를 주는 것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ESG 활동의 효율적인 수행을 통해 종업원의 조직몰입을 향상시킴으로써 외식기업의 생산성을 높이고 지속가능성을 증가할 수 있다고 유의한 방향성을 제시하였다[13,40].
2.4 이직의도
2030 공무원의 이직의도에 관한 결정요인을 분석한 결과, 개인의 개방성과 친화성, 공공봉사동기가 이직의도를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업무량인식은 이직의도를 높이고, 보상공정성은 이직의도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조직 공정성과 개인의 친화성 및 개방성을 고려한 이직관리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14,41]. 한국과 미국 MZ세대 공무원을 대상으로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일과 삶의 균형. 내재적 동기, 외재적 동기를 주요 변수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그 결과, 한국과 미국 모두 적절한 보상, 유연한 근무환경 조성, 의미 있는 직무부여 등의 동기부여가 이직의도를 절감시키는 주요 요인으로 나타났다[15,42]. 자동차 정비서비스 기술자의 보상수준이 낮을수록 이직의도가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연령, 센터규모, 근속연수 등 모든 유형에서 유의하게 조사되었다. 또한 교육훈련 기회가 적을수록 이직의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20대 및 5년차 이하 근무기간, 대규모센터에서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하였다[16,43].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과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다양한 분야를 대상으로 작성된 기존 문헌을 찾아보았다. 본 연구는 산업 보안요원을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로부터 이직의도에 이르기까지 과정을 여러 직급에 걸쳐 설문조사를 실시하면서 기존 연구와의 차별성을 찾고자 시도하였다. 이를 통해 산업보안요원들의 직무스트레스를 줄이고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을 높이면서 이직의도를 낮추기 위한 방안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보안요원들의 안정적인 업무수행에 많은 도움이 되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작성하였다.
3. 자료수집과 연구가설 4개
3.1 자료수집
본 자료는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과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산업보안요원으로 근무하는 180명 근무자를 대상으로 2024년 10월 28부터 11월 29일까지 5주간에 걸쳐 설문조사를 실행하였다. 설문내용에서 변수가 “첫째 직무스트레스, 둘째 직무만족, 셋째, 조직몰입, 넷째 이직의도”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를 토대로 4개의 연구가설을 제시하였다. 각 설문항목은 5점 척도로 구성하였으며 내적일관성 및 탐색적 요인 등을 산출하였다. 각 변수별 판별타당성과 구조방정식을 도출하기 위해 SPSS 23.0 통계 패키지를 이용하였다. 설문조사에 참여한 근무자의 특성은 다음과 같이 <표 1>에 있다.
<표 1> 표본 특성
3.2 연구가설
3.2.1 연구모형
[그림 1]에는 본 연구의 연구모형이 설명되어 있다.
[그림 1] 연구모형
3.2.2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
민간경비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의 관계를 파악한 결과, 직무만족의 하위요인 중에서 임금체계스트레스와 역할갈등이 낮을수록 업무만족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임금체계, 역할갈등스트레스, 책임감이 낮을수록 상사 만족이 높게 나타났으며, 임금체계, 책임감스트레스, 역할갈등이 낮을수록 기회균등만족이 높게 나타났다[17,44]. 요양보호사의 스트레스는 이직의도에 양(+)의 영향을 미치고 스트레스는 직무만족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조사되어 스트레스와 이직의도 간 직무만족이 매개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양보호사의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직무만족을 증가시킨다면 궁극적으로 이직의도가 감소할 수 있다고 제시하였다[18,45].
여성상담자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직무스트레스는 직무만족도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였으며, 직무스트레스를 받는 과정에서 회복탄력성이 증가하는 경우 직무만족이 높아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19,46].
Hypothesis 1 : 직무스트레스는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다.
3.2.3 직무만족과 이직의도
보육교사의 직무만족은 동료와 관계, 근무시설과 환경, 원장과 관계, 학부모와 관계, 직무수행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직무만족이 이직의도를 추정하는지 분석한 결과, 보육교사의 직무수행과 원장과 관계가 이직의도를 추정하는 주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직무수행이 이직의도와 유의한 부(-)의 관계가 나타난 것으로 제시하였다[20,47].
항공승무원의 직무만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직무스트레스는 직무만족에 음(-)의 영향을, 이직의도에 양(+)의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직무만족은 이직의도에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제시하였다. 승무원의 이직의도가 주로 승객보다는 상사와 부하 간 관계로 나타나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상담창구가 필요하다고 제시하였다[21,48].
외식 종업원의 대인관계 스트레스 중에서 상사관계, 부하관계, 고객관계가 직무만족에 유의한 음(-)의 영향을 미치고, 동료관계 및 상사관계가 이직의도에 유의하게 우호적인 효과를 주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직무만족은 이직의도에 유의한 음(-)의 영향을 주고 있다고 제시하여 스트레스에 대한 중요성을 확인하게 되었다[22,49].
Hypothesis 2 : 직무만족은 이직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다.
3.2.4 직무만족과 조직몰입
직무만족의 하위요인을 인사관리, 보수후생, 인간관계, 업무만족으로, 조직몰입의 하위요인을 정의적 몰입, 규범적 몰입, 지속적 몰입으로 구성하였다. 보건소 공무원의 직무만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한 결과, 직무만족과 조직몰입 사이에 정(+)의 상관관계가 나타나 직무만족이 커질수록 조직몰입이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하였다[23,50].
신임경찰의 교육만족과 직무만족, 조직몰입 사이에 모두 양(+)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교육만족 중 교수능력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교육과정과 교육시설이 조직몰입에 정(+)의 효과를 주고 있어 실무교육이 가능한 사례 위주로 진행되어야 한다고 제언하였다[24,51].
뷰티산업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남자가 여자보다, 50대 이상에서 그리고 학력이 높을수록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성별과 연령, 학력에 따라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차이를 보이고 있어 향후 조직 내 직급과 직무만족, 조직몰입의 관계를 탐색하고 이에 관한 교육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25,52].
Hypothesis 3 : 직무만족은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다.
3.2.5 조직몰입과 이직의도
콘텐츠산업 종사자의 임금보상, 승진보상, 직무보상 등이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확인한 결과, 보상인식은 조직몰입에 우호적인 효과를 미치고 조직몰입은 이직의도에 유의한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제시하였다. 이직의도를 줄이기 위해서는 보상인식과 조직몰입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26,53]. 스포츠 조직에서 조직몰입이 이직의도에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조직몰입의 요인 중에서 정서적 몰입, 규범적 몰입, 지속적 몰입 순으로 크게 나타났으며, 영향도 수준에서 근무조직, 팀, 스포츠교육 순으로 나타났다. 이직의도를 낮추기 위해 조직몰입이 주요 변수로 작용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 정서적 몰입의 극대화가 필요하다고 제기하였다[27,54]. 스포츠센터 관리자의 리더십은 조직몰입에 양(+) 영향을 미치고 이직의도에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종사자의 조직몰입은 이직의도에 음(-) 영향을 미치고 있어, 스포츠센터 운영의 활성화를 위해 환경 변화에 적합한 리더십을 찾아가는 노력과 고민이 필요하다고 제시하였다[28,55].
Hypothesis 4 : 조직몰입은 이직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다.
3.3 변수별 조작적정의
본 연구에서 주어진 변수별 조작적정의가 <표 2>에 정리되어 있다.
<표 2> 변수별 조작적정의
4. 실증분석
본 연구에서는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과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가설검증을 위해 기존 선행연구를 검색하여 각 변수들과 측정항목을 파악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측정 항목의 신뢰성 및 타당성을 도출하였다. 신뢰성 분석의 의미는 각 항목별 특성이 어느 정도 균형 있게 구성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절차로써 응답자들이 설문내용을 정확히 파악하고 일관되게 대응하였는지 살펴보는 내적 일관성 검증과정이다[56].
<표 3> 변수의 신뢰도 분석 및 탐색적 요인 분석
Note : KMO=0.689 , Bartlett's χ2 =416.046 (p<0.001)
본 연구에서는 내적일관성을 찾아볼 수 있는 방안으로 사회과학 연구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신뢰성 검사 방법인 Chronbach's Alpha 계수를 활용하였다. Nunnally(1978)의 예비연구에서는 Alpha 계수가 0.6 이상이면 일반적으로 신뢰성이 있는 것으로 인식하고, 실무연구에서 0.7을 넘어설 경우 신뢰성이 있는 것으로 인식한다[32]. <Table 4>에서 Chronbach's Alpha 계수가 0.7 이상으로 나와 본 연구에서 제시한 측정항목들은 내적 일관성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제시한 변수의 타당성 분석을 위해 주성분분석을 베리맥스 회전(Varimax Rotation)으로 산출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행하였다. <Table 3>에서 보았듯이 본 연구의 모든 요인 적재량은 기준치 0.4을 넘기고 있어 유사한 항목들끼리 서로 적절히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Table 4>에서는 각 변수들의 판별타당성(AVE)과 개념신뢰도(CR)가 기준치인 0.5와 0.7를 기준으로 보다 낮거나 다소 높게 나타나 본 연구에서 제시한 각 변수들의 집중타당성이 어느 수준 이상으로 확인되었다고 볼 수 있다.
판별타당성 파악을 위해 각 변수들의 상관관계를 산출하였고 각 변수들의 AVE제곱근과 상관계수를 상호 비교해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계산결과 <Table 4>와 같이 각 변수들의 AVE제곱근을 서로 다른 상관계수와 비교해 보면 수치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나 각 변수들 사이에 판별 타당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표 4> 판별타당성 검증
* 굵은 글씨는 AVE 값의 제곱근
본 연구에서 산업보안요원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과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을 통해 파악하고자 하였다. 앞서 주어진 연구모형을 검증할 수 있도록 AMOS 23.0을 활용하여 본 연구에 필요한 구조방정식 모형을 산출하였다.
가설검증을 수행하기 위해 연구모형에 대한 적절성을 MAximum likelyhood estimation(최대우도법)을 검증하여 확인하였고 그 결과 χ2=67.438(df=48, p=0.033), CMIN/DF=1.377(<2), CFI=0.950(>0.9), IFI=0.952(>0.9), GFI=905(>0.9), RMR 0.065(<0.7)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적합도의 기준치를 넘어서고 있어 본 연구모형은 유용한 것으로 인식하고 이후 가설검증을 산출하였다. 산업보안요원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과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검증을 위한 인과관계를 앞서 제시한 구조방정식을 통해 파악한 결과는 <Table 5> 및 [Fig. 2]와 같이 나타났다.
<표 5> 구조방정식을 통한 연구가설 검증
[그림 2] 연구모형 분석결과
5. 결론
본 연구 목적은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과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현업에서 산업보안요원으로 근무하고 있는 180명 근무자를 대상으로 2024년 10월 28부터 11월 29일까지 5주간에 걸쳐 설문조사를 시도하였다. 설문내용에서 변수를 “첫째 직무스트레스, 둘째 직무만족, 셋째 조직몰입, 넷째 이직의도”로 구성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연구가설 4개를 제시하였다.
신뢰도 및 탐색적 요인 분석에서 각 변수들이 Chronbach's α가 모두 0.7 이상 높게 산출되어 내적 일관성이 확인된 것으로 나타났다. 각 변수들의 신뢰도분석 이후 판별타당성 및 개념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각 변수들을 대상으로 서로 상관관계를 비교해 보면 모든 변수들의 판별타당성이 확인된 것으로 도출되었다.
연구결과 제시한 연구모형을 확인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시도하고 산출된 결과를 보면 연구가설 4개 중에서 “직무스트레스 ⇨ 직무만족, 직무만족 ⇨ 이직의도, 직무만족 ⇨ 조직몰입, 조직몰입 ⇨ 이직의도,”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도출되어 채택되었다.
산업보안요원들을 대상으로 수행한 설문조사에서 구성원들의 직무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해서는 적당한 업무를 부여하여 시간에 여유를 주고 여러 업무를 동시에 수행하지 않도록 배려해야 할 것이다. 직무만족을 위해 적절한 보수를 지급하고 어려운 상황이 발생하면 동료들과 서로 협력하는 분위기를 만들어 주어야 할 것이다.
또한 조직몰입을 높여주기 위해, 구성원이 각 조직에 대한 소속감을 가지고 가족의 일원이라는 생각과 직장 생활을 오랫동안 보낼 수 있도록 관리해야 할 것이다. 이직의도를 줄이기 위해서는 현 근무지에서 배울 것이 많이 있으며 앞으로 근무여건이 더 호전될 것이고 현재 직무에 만족할 수 있도록 구성원 모두 노력해야 할 것이다.
References
- 미국산업보안협회 : www.asisinternational.org
- (대한산업보건협회, "직무스트레스의 이해와 관리", 정보마당, 2023,9,26. (kiha21.or.kr)
- 라이언, "조직몰입의 개념과 그 3가지 형태", 인사 잘하는 라이언, 2021.12.08. (https://ryan-jj.tistory.com/453)
- 네이버 블로그, "이직의도 및 이직의 개념과 모델", 경영학 용어정리, 2016.8.22. (https://blog.naver.com/2035icck/220793475938)
- 신원상, 손창백, "건축 설계인력의 직무스트레스 분석및 해소방안",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40, no.6, pp.227-236, 2024.
- 이재숙, 국세란, 이미나,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심리적 소진에 대한 경험 연구",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9, no.2, pp.267-278, 2023.
- 임해진, 김초롱, "영유아교사의 공감능력이 교사전문성과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vol.43, no.6, pp.457-480, 2023. https://doi.org/10.18023/KJECE.2023.43.6.018
- 조동훈, "청년층 직무만족도와 직장 이직과의 관계", 한국사회과학연구, vol.42, no.3, pp.139-175, 2023. https://doi.org/10.18284/jss.2023.12.42.3.139
- 김태균, 이염남, 홍아름, "MZ세대의 직무만족요인이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기업경영리뷰, vol.14, no.3, pp. 211-239 김태균 이염남 홍아름
- 손은주, 백수진, "조직문화와 직무만족도가 보육교사의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no.142, pp.85-114, 2023.
- 김효선, 조윤직, "2030 공무원 이직의도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융합사회와 공공정책, vol.18, no.1, pp.75-111, 2024.
- 김정인, "MZ 세대 공무원의 이직의도: 한국과 미국공무원 비교연구",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vol.34, no.1, pp.167-195, 2023. https://doi.org/10.53865/KSPA.2023.5.34.1.167
- 김영석, "자동차 정비 기술자의 이직의도에 관한 연구",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19, no.1, pp.1-20, 2023. https://doi.org/10.15790/cope.2023.19.1.001
- 하태수, 조직후원이 조직몰입과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책연구, vol.23, no.1, pp.285-312, 2023.
- 장욱진, 이상직, "직장 유연성이 종업원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벤처혁신연구, vol.6, no.3, pp.185-202, 2023. https://doi.org/10.22788/6.3.11
- 김양훈 김영옥, "외식기업의 ESG 경영 활동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산업혁신연구, vol.39, no.2, pp.132-142, 2023. https://doi.org/10.22793/INDINN.2023.39.2.012
- 김인재, 조성진, "민간경비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의 관계", 시큐리티연구, no.32, pp.65-93, 2012.
- 양정빈, 장영은, "요양보호사가 경험한 스트레스가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사회과학리뷰, vol.8, no.4, pp.401-419, 2023. https://doi.org/10.48033/jss.8.4.22
- 천미람, 김태선, "여성상담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 만족도의 관계: 회복탄력성과 프로티언 경력태도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0, pp.507-521, 2022.
- 강재희, 김진영, "가정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직무만족과 이직의도", 한국영유아보육학, no.76, pp.121-138, 2013.
- 이경민, "국내항공사승무원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광연구, vol.34, no.7, pp.181-196, 2019.
- 강희석, 김보성, 신형철, "외식 종사원의 대인관계 스트레스가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식공간융합연구, vol.13, no.2, pp.1-17, 2018.
- 정혜경, 김미숙, "보건소공무원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관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2, no.12, pp.350-359, 2021. https://doi.org/10.5762/KAIS.2021.22.12.350
- 심명섭, "신임경찰 교육만족도가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시큐리티연구, no.52, pp.93-124, 2017.
- 황선희, "뷰티산업 종사자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이 라포르에 미치는 영향", 한국화장품미용학회지, vol.13, no.2, pp.197-212, 2023. https://doi.org/10.23351/KSCC.13.2.202309.004
- 한대익, 황찬규, 정회우, 장선연, "디지털 콘텐츠 산업 조직원의 보상인식이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산업융합연구, vol.19, no.2, pp.19-32, 2021. https://doi.org/10.22678/JIC.2021.19.2.019
- 배정섭, 변현, 남상백, "스포츠 조직에서의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체육과학회지, vol.28, no.4, pp.637-647, 2019. https://doi.org/10.35159/kjss.2019.08.28.4.637
- 정동화, 정경환, "스포츠센터 관리자의 리더십 유형이 종사자의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6, no.3, pp.157-165, 2021. https://doi.org/10.21097/ksw.2021.08.16.3.157
- 정충영, 최이규, SPSS WIN을 이용한 통계분석, 무역경영사, 2001.
- Furnham, A., Petrides, K. V., Jackson, C. J., Cotter, T. "Do personality factors predict job satisfaction?",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vol.33, no.8, pp.1325–1342, 2002. https://doi.org/10.1016/S0191-8869(02)00016-8
- Igalens, J., Roussel, P., "A Study of the Rela tionships between Compensation Package, Work Motivation and Job Satisfaction",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vol.20, no.7, pp.1003–1025, 1999. https://doi.org/10.1002/(SICI)1099-1379(199912)20:7<1003::AID-JOB941>3.0.CO;2-K
- Kelsey, A. C., "Teacher and Classroom Predictors of Preschool Teacher Stress", Early Education and Development, vol.33, no.8, pp.1347-1363, 2022. https://doi.org/10.1080/10409289.2021.1972902
- O. N. Saracho, "Professionalism and the prepa r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practitioners", Early Child Development and Care, vol.89, no.1, pp.1-17, 1993. https://doi.org/10.1080/0300443930890101
- VNitschke, J. P., "Stress and Stress-Induced Glucocorticoids Facilitate Empathic Accuracy in Men but Have No Effects for Women", Psychological science, vol.33, no.10, pp.1783-1794, 2022. https://doi.org/10.1177/09567976221101315
- Kalleberg, A. L., "Work values and job reward: A theory of job satisfaction",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vol.42, no.1, pp.124-143, 1977. https://doi.org/10.2307/2117735
- Curry, J. P., "On the causal ordering of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29, no.4, pp.847-858, 1986. https://doi.org/10.2307/255951
- Freund, A.,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as Predictors Tumover Intentions Among Welfare Workers", Administration in Social Work, vol.29, no.2, pp.5-21, 2005. https://doi.org/10.1300/J147v29n02_02
- Rakhmitania, T., "Job satisfaction relationship with turnover intention", Muhammadiyah International Public Health and Medicine Proceeding, vol.2, no.1, pp.232-235, 2022. https://doi.org/10.61811/miphmp.v1i2.216
- Asriani, I., "The impact of working environment, compensation, and job satisfaction on turnover intention in public service agency", IOSR Journal of Business and Management, vol.22, no.5, pp.13-19, 2020.
- Stock, R. M., "Leadership Style as Driver of Sales peoples Customer Orientation", Journal of Market Focused Management, vol.5, no.4, pp.355-376, 2002.
- Panaccio, A.,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 longitudinal study",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no.75, pp.224-236, 2009.
- Bharoto, V. W. W., "The effect of teamwork and work discipline on employee performance with organizational commitment as a mediation variable", ProBisnis: Jurnal Manajemen, vol.14, no.2, pp.219-228, 2023.
- Dirani, K. M.,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vol.22, no.5, pp.1180-1202, 2011.
- Alavi, H. R.,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rn and Job Satisfaction of Personnel in Govemment Organizations, Public Personnel Management, vol.32, no.4, pp.591-600, 2003. https://doi.org/10.1177/009102600303200409
- Tsukamoto, E., "Inverse roles of emotional labour on health and job satisfaction among long-term care workers in Japan", Psychology, Health & Medicine, vol.20, no.7, pp.814-823, 2015. https://doi.org/10.1080/13548506.2014.963128
- Kinman, G., "Exploring stress resilience in trainee social workers : the role of emotional and social competencies", British Journal of Social Work, vol.41, no.2, pp.261-275, 2010. https://doi.org/10.1093/bjsw/bcq088
- Bollin, G., "An Investigation of Job Stability and Job Satisfaction among Family Day Care Pro vider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no.8, pp.207-220, 1993.
- Baloch, Q. B., "Determinants of job satisfaction and employees turnover intentions", Abasyn Journal of Social Sciences, vol.7, no.1, pp.118-136, 2014.
- Griffeth, R. W., "The employee turnover process/ Research in personnel and human resources management", vol.13, no.3, pp.245-293, 1995.
- Meyer, J. P., "Commitment in the workplace. Theory, Research, and Application, Developmen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during the first year of employment", Journal of Management, no.17, pp.717-733, 1993.
- Tomas, P., "Relationships between accountability, job satisfaction, and trust, Human Resource Develop ment Quarterly, vol.13, no.3, pp.307-323, 2002. https://doi.org/10.1002/hrdq.1033
- D. D. Gremler, "Rapport-Building Behaviors Used by Retail Employees", Journal of Retailing, no.84, pp.308-324, 2008.
- Hui, C., "Turnover intention and performance in China: The role of positive affectivity, Chinese values,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constructive troversy", Journal of Occupational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80, pp.735-751, 2007. https://doi.org/10.1348/096317906X171037
- Brown, D.,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 ment, and religious commitment of full-time university employees", Journal of Research on Christian Education, no.16, pp.211-241, 2007.
- Bass, B. M., "From transactional to transformational leadership : Learning to share the vision", Organi zational dynamics, vol.18, no.3, pp.19-31, 1990.
- Nunnally, J. C., Psychometric Theory, McGraw-Hill, New York, 19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