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B%B3%B4

검색결과 48건 처리시간 0.022초

기업간 비즈니스 프로세스 등록저장소를 위한 메타데이터 온톨로지 설계 (Metadata Ontology Design for B2B Business Process Registries)

  • 김종우;김형도;윤정희;정현철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4D권4호
    • /
    • pp.435-446
    • /
    • 2007
  • B2B 등록저장소는 기엽의 프로파일, 비즈니스 문서, 비즈니스 프로세스, 제공 서비스 등의 B2B 관련 비즈니스 정보들을 저장하고 거래 파트너 또는 잠재 거래 파트너들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 중 B2B 비즈니스 프로세스의 등록저장소의 설계에 초점을 맞추어, 이를 지원하기 위한 메타데이터 온톨로지를 제시한다. 현재 ebXML BPSS (Business Process Specification Schema), WSBPEL (Web Service Business Process Execution Language), BPMN (Business Process Modeling Notation) 등의 다수의 비즈니스 프로세스 정의 언어들이 시장에서 경쟁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여, 다수의 다른 프레임워크에서 표현된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등록저장하기 위해서 제시된 메타 데이터 온톨로지는 3개 계층, 공통 메타데이터, 언어별 메타데이터, 상호연관관계 메타데이터로 구성된다. 제시된 메타데이터 온톨로지의 유용성을 보이기 위해서, ebXML BPSS 와 WSBPEL로 표현된 비즈니스 프로세스의 온톨로지 내에 저장을 예제로 제시한다. 또한 제시된 메타데이터 온톨로지의 구현을 위해서 ebXML 등록저장소 정보모델로의 매핑 방안을 제시한다.

대두단백질 분해균주 Bacillks subtilis EB464의 선발 및 분해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stics of Soy protein-degrading Strain, Bacillus subtilis EB464)

  • 박찬수;민대규;안용선;이지훈;홍순광;김정환;강대경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10-215
    • /
    • 2002
  • 동물사료로 주로 이용되고 있는 대두박의 이용성을 높히기 위한 방안으로서, 전통발효식품에서 대두단백질 분해능력이 우수한 균주를 분리하여 동정하였으며 Bacillus subtilis EB464로 명명하였다. 분리된 B. subtilis EB464를 대두박에 접종하여 고체배양할 경우, 단백질 분해효소의 최고활성은 배양 24시간 후에 300 PC/g에 달하였으며, 72시간 배양후의 수용성 단백질 함량은 20.6%,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은 22.0%에 달하였다. B. subtilis EB464 균주가 분비하는 단백질분해효소의 최적 pH는 9.0,최적 온도는 $50^{\circ}C$E.확인되었다. 본 효소는 $40^{\circ}C$에서는 안정하였으나 $50^{\circ}C$ 이상에서는 효소활성이 급격히 실활되었으며, pH 6.0에서 10.0가지의 광범위한 pH에서 상당히 안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구지역 환경대기 및 VOC 발생원의 BTEX 농도비 특성 (Characteristic of BTEX Concentration Ratio of VOC Emission Sources and Ambient Air in Daegu)

  • 최성우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415-423
    • /
    • 2007
  • This study assessed the characteristic of BTEX (Benzene, Toluene, Ethylbenzene, Xylene) concentration ratios of industrial emission sources and the neighborhoods of industrial area, fuel such as gasoline, light oil, LPG, and similar gasoline, and ambient air in Daegu. The BTEX in aromatic compounds was the most abundant VOC in Daegu. The BTEX ratios were (0.2:2.6:1.0:1.8) for the neighborhoods of industrial area, (2.6:11.3:1.0:1.2) for residential area, (2.2:11.0:1.0:1.6) for commercial area, (1.0:14.9:1.0:1.3) for industrial area, and (0.2:2.6:1.0:1.8) for the neighborhoods of industrial area. Average BTEX ratios in Daegu were B/T ratio (0.1), B/EB ratio (1.5), B/X ratio (1.1), T/EB ratio (12.6), T/X ratio (10), EB/X ratio (0.7), Expecially, B/T ratio in Daegu was similar as the other cities, Bangkok, Manila, and Hongkong. Comparing other cities with B/T ratio, the main sources of VOC were vehicular exhaust and emission of industrial facilities. Furthermore, BTEX correlation were evaluated at the emission sources and regional areas. Results showed that correlation coefficient values of emission sources, fuels and neighborhood of industry were significant magnitude above 0.65(p<0.01). Also, there showed highly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BTEX. Calculated correlation coefficients of ambient air sampling sites were $0.61{\sim}0.954$ for commercial /residential area and $0.613{\sim}0.998$ for industrial area. However, they showed different correlation between commercial/residental area and industrial area. It implied that the emission sources were different from each area.

EB형 식쌍성 V388 CYG의 측광학적 연구 (A PHOTOMETRIC STUDY OF EB-TYPE ECLIPSING BINARY V388 CYG)

  • 오규동;김호일;이우백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14권1호
    • /
    • pp.33-43
    • /
    • 1997
  • 소백산 천문대의 61cm 망원경을 사용하여 1995년 10월부터 12월 사이의 10일 동안 CCD 측광관측에 의하여 EB형 식쌍성 V388 Cyg의 3색 (B, V&R)의 광도곡선을 얻었다. 새로운ㄴ 3색의 광도곡선을 Wilson-Devinney model에 동시에 적용하여 이 별의 궤도요소를 얻었다. 그 결과 현재로서는 V388 Cyg이 접촉형인지 준분리형인지를 판단하지 못하였다. 한편, 지금까지 발표된 이 별의 극심시각을 수집하여 주기변화를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 일정한 주기 감소를 나타내는 $-4.83{\times}10^{-10}$의 2차 함수를 포함하는 새로운 광도요소를 계산하였다.

  • PDF

Iterative Demapping and Decoding 기반 차세대 유럽형 디지털 지상파 방송 시스템(DVB-T2)의 BICM 성능 평가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Iterative Demapping and Decoding based DVB-T2 BICM module)

  • 전은성;서정욱;양장훈;김동구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6권2A호
    • /
    • pp.172-178
    • /
    • 2011
  • 본 논문은 차세대 유럽형 디지털 지상파 시스템으로 알려진 DVB-T2 시스템의 BICM(Bit Interleaved Coded and Modualtion) 모듈의 FER(frame error rate) 및 BER (bit error rate)성능을 전산 실험을 통해 분석하였다. AWGN 채널, flat 페이딩 Rayleigh 채널 및 15% erasure 채널에서 ETSI EN 302 555 표준에 따라 제작된 full 시뮬레이터를 통해 실험을 하였으며, 수신 모듈은 디매퍼가 LDPC 채널 디코더로부터 전달되는 apriori 정보를 이용하여 LLR(log likelihood ratio) 값을 계산하는 iterative demapping decoder (IDD) 기술을 적용하였다. 또한 DVB-T2 시스템에서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성상회전(rotated constellation) 기술의 성능도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 flat 페이딩 Rayleigh 채널에서 성상회전을 사용할 경우, 사용하지 않은 시스템에 비해서 $FER=10^{-4}$에서 약 0.5dB 정도의 Eb/No[dB]의 이득을 얻을 수 있으며, 성상회전과 IDD를 동시에 적용할 경우, 1.2 dB 정도의 Eb/No[dB]의 이득을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 15% erasure가 있는 채널에서는 성상회전을 적용할 때 $BER=10^{-4}$ 지점에서 대략 5dB 정도의 Eb/No[dB]의 이득을 얻을 수 있으며, IDD를 적용할 경우 추가적인 3dB의 이득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안전한 메시지교환을 위한 XML 기반의 변환시스템 (A XML Based Conversion System for Secure Message Exchange)

  • 오대균;홍창범;송정길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3권4호
    • /
    • pp.1-9
    • /
    • 2002
  • XML 스키마가 2001년 5월 W3C의 공식 표준안으로 확정되고, XSL과 Xpath, Namespace등의 XML 관련 기술이 발전됨에 따라 XML은 새로운 문서교환의 표준이 되어가고 있다. XML은 다양한 문서의 구조를 표현할 수 있기 때문에 ebXML, RosettaNet, BizTalk들이 e-Business 부분에서 XML을 핵심기술로 사용하고 있다. B2B 전자상거래 시스템에서 업무를 자동화하기 위해서는 표준의 XML 문서가 필요하다. 각 기업들의 내부 문서를 외부기업의 자동화 시스템에서 처리하기 위해서는 문서의 정보손실 없이 외부기업의 문서 형태로 변환하여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자바 서블릿을 기반으로 XML 문서의 변환하여, 안전한 문서교환을 제공하는 XML 시스템을 설계 구현하였다

  • PDF

WCDMA LCR-TDD 시스템에서 다중 레벨 제어 시그날링이 적용된 ARQ 기반 하향링크 TSTD의 성능 (Performance of ARQ-aided Downlink Time Switched Transmit Diversity with multi-level Control Signaling in the WCDMA LCR-TDD System)

  • 전차을;황승훈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7권12호
    • /
    • pp.61-68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WCDMA LCR-TDD 시스템에서 멀티레벨 제어 신호 방식을 적용한 하향 링크 ARQ-TSTD (ARQ-aided Time Switched Transmit Diversity)의 성능을 계산한다. 제안된 ARQ-TSTD는 멀티레벨 제어 선호 방식을 적용하여 수신측이 에러체크를 수행한 후 송신측으로 기존의 응답신호 (ACK or NACK or 신호) 이외에 NACK2 선호를 정의하고 이를 피드백한다. 송신측은 NACK2 신호를 본 논문에서 제안한 전송지연과 다중사용자 스케줄링 방식을 적용하는데 활용한다. 시뮬레이션 결과는 3km/h의 이동국 속도에서 프레임 오류 확률 (Frame Error Rate)이 10%일 때 5개 서브프레임 전송지연 방식, 2명의 사용자 스케줄링 방식이 각각 약 1.3dB, 약1.4dB의 성능향상이 있었다. 그리고 Eb/N0=-3dB에서 각각 약 14% 11.5%의 수율 성능 이득이 있었다.

효소 전처리에 의한 상황버섯 β-glucan 추출물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mushroom Phellinus baumii extracts with enzyme pretreatment)

  • 손은지;류은아;이상한;김영찬;황인욱;정신교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1권1호
    • /
    • pp.101-108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국내산 상황버섯의 효소 가수분해 전처리를 통한 ${\beta}-glucan$의 최적 추출조건을 확립하고 그에 따른 활성을 알아보고자 추출 조건에 따른 생이화학적활성을 측정하였다. 효소가수분해 조건을 최적화하기 위해 실시한 반응표면분석법의 결과 0.66%(v/v)의 viscozyme 농도에서 6.08시간 반응하는 것이 최적이라 예측되었으며($R^2=0.9245$), 이에 따라 최적 추출 조건에서 추출한 시료의 ${\beta}-glucan$ 함량은 1.9594 g/100 g으로 측정되었다. 추출 수율(0.76-16.40%)은 EBE가 NEBE에 비해 약 3배 높았다. ${\beta}-glucan$ 순도(11.15-59.05%)로 가장 높았으며, ${\beta}-glucan$ 함량 또한 0.26-3.38 g/100 g으로 EB (3.38 g/100 g)가 가장 높았다. 총당 함량(0.61-1.17 mg/mL)은 NEB, EB가 NEBE, EBE보다 높았으며, EB가 가장 높았다. 구성당 분석 결과, 모든 추출물에서 glucose의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대조구와 효소 전처리구 모두 정제하면서 그 비율이 증가하였다. 단백질 함량(0.44-11.73 mg/mL)은 NEBE, EBE가 NEB, EB보다 높았으며, EBE가 가장 높았다. FT-IR 분석 결과 $890cm^{-1}$ 부근에서 peak가 확인되었기에 ${\beta}-glycosidic$ linkage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MTT assay를 통해 B6F10과 SK-MEL-5 세포 독성을 측정한 결과 B6F10의 경우 대조구의 세포 생존율을 100%로 하였을 때 세포 생존율이 80% 이상으로 나타나 세포독성을 보이지 않았으나, SK-MEL-5에서는 EBE를 $100{\mu}g/mL$의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세포 생존율이 75%로 나타나 약간의 세포독성을 보였다. Wound healing assay를 통해 암세포 증식 억제활성 측정 결과, 정제한 NEB, EB가 NEBE, EBE보다 활성이 높았으며, 특히 12시간일 때 EB $30{\mu}g/mL$를 처리한 경우 B6F10과 SK-MEL-5 모두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컴퓨터 시스템에 의한 저온에서의 질소가스(G$N_2$)에 대한 방전특성측정

  • 이광식;주재현;이동인;김인식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지:조명전기설비
    • /
    • 제8권4호
    • /
    • pp.30-37
    • /
    • 1994
  • 본 연구는 전온하의 질소가스에서 구대 평판전극을 사용하여 온도변화([$0^{\circ}C$]~[$80^{\circ}C$]와 전극간 거리(d=1.0, 2.0, 3.0[mm])를 변환시켰 을 때의 방전트성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중요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circled1 온도가 저하함에 따라 절연파괴전압(VB)은 상승한다. \circled2 온도를 강하시킴에 따라 방전지속시간(t)이 길어진다. \circled3 전극의 불평등성이 클수록 절연파괴전압(VB)의 온도의존성이 커진다. \circled4 절연파괴 전계강도(EB)는 다음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여기서, A, B 및 C는 상수이며 그 값은 다음표와 같다. EB=$AT^2$+BT+C(EB: 절연파괴 전계강도[kV/mm], T: 측정시의 온도[$^{\circ}C$]).

  • PDF

Exchange Bias in Cr2O3/Fe3O4 Core/Shell Nanoparticles

  • Yun, B.K.;Koo, Y.S.;Jung, J.H.
    • Journal of Magnetics
    • /
    • 제14권4호
    • /
    • pp.147-149
    • /
    • 2009
  • We report the exchange bias in antiferromagnet/ferrimagnet $Cr_2O_3/Fe_3O_4$ core/shell nanoparticles. The magnetic field hysteresis curve for $Cr_2O_3/Fe_3O_4$ nanoparticles after field-cooling (FC) clearly showed both horizontal ($H_{EB}{\sim}$610 Oe) and vertical (${\Delta}M{\sim}$5.6 emu/g) shifts at 5 K. These shifts disappeared as the temperature increased toward the Neel temperature of $Cr_2O_3\;(T_N{\sim}$307 K). The $H_{EB}\;and\;{\Delta}M$ values were sharply decreased between the $1^{st}\;and\;the\;2^{nd}$ magnetic field cycles, and then slowly decreased with further cycling. These results are discussed in terms of the formation of single domains with pinned, uncompensated, antiferromagnetic spin and their evolution into multi-domains with cycl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