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5-Lipoxygenase

검색결과 188건 처리시간 0.029초

콩 생육시기별 Lipoxygenase활성의 변화 (Change of Lipoxygenase Activity during Soybean Growth)

  • 김용호;김석동;홍은희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11-215
    • /
    • 1994
  • Lipoxygenase는 콩 비린내 유발의 주원인이 된다. 따라서 lipoxygenase 발현 양상을 알아보고자 콩 생육시기별로 재료를 채취하여 lipoxygenase activity를 측정한 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V_3$$V_5$시기에 콩 잎에서의 lipoxygenase activity는 유전자형에 상관없이 일정한 경향이 없었다. 2. $R_6$시기의 /pod wall에서도 유전자형에 따른 lipoxygenase activity의 일정한 경향은 없었으나 종자 lipoxygenase는 lipoxygenase 결핍계통의 activity가 일반품종에 비해 낮았으며 lipoxygenase 결핍계통간에도 isozyme 결핍정도에 따라 activity도 다르게 나타났다. 3. 종자를 종피, 배, 자엽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lipoxygenase activity를 측정한 결과 종피에서는 유전자형에 따른 경향을 찾을 수 없었으나 배와 자엽에서는 lipoxygenase isozyme 결핍 정도에 따라 activity도 다르게 나타났다.

  • PDF

콩 발아중의 Lipoxygenase 활성 변화 (Change of Lipoxygenase Activity during Seed Germination in Soybean)

  • 손범영;이영호;이석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209-214
    • /
    • 2006
  • 본 연구는 콩의 초기 유묘생육기간 동안의 lipoxygenase가 결여된 진품콩, 진품콩 2호와 정상적인 태광콩의 lipoxygenase 활성 변화를 비교 검토하여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Lipoxygenase 결여 콩 품종의 초기 생육 및 lipoxygenase 활성 변화에서 유묘의 생체중은 진품콩 2호와 태광콩이 진품콩 보다 증대되는 경향이었고 하배축의 길이는 진품콩과 진품 콩 2호가 태광콩보다 서서히 증가하였지만 하배축의 두께는 진품콩과 진품콩 2호가 태광콩보다 두껍게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자엽의 lipoxygenase 활성 변화는 유형 I lipoxygenase 활성에서 진품콩과 태광콩이 계속 감소하는 경향이었지만 진품콩 2호는 활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유형 II lipoxygenase 활성에서 태광콩은 발아 2일째부터 계속 증가하다가 발아 4일 째에서 5일째 사이에 최대의 활성이 나타났고 발아 5일째부터 다시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하배축의 유형 I lipoxygenase 활성에서는 진품콩과 태광콩이 발아 l일째부터 급격히 감소하였다. 하배축의 유형 II lipoxygenase 활성은 3 품종 모두 나타나지 않았다.

발아중인 대두콩에서의 Lipoxygenase의 국재(局在) (Localization of Lipoxygenase in Germinating Soybeans)

  • 송영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441-445
    • /
    • 1987
  • 발아중인 대두콩에서의 lipoxygenase의 세포내 위치를 차별 원심 분리법과 밀도 구배법을 이용하여 규명하였다. 차별 원심 분리법을 사용하였을때, lipoxygenase활성은 거의 supernatant fraction에서 나타났으며, 1.5%의 활성만이 particulate fractions에서 나타났다. 밀도 구배법에서는 lipoxygenase와 acid phosphatase의 활성이 1.19, 1.23, $1.25g/cm^3$의 높은 밀도들에서 일치하였으며, 이것은 발아중 가수분해되는 단백질체내에 이 효소가 국재되어지는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다른 세포내 소기관인미토콘드리아, ER, 그리고 glyoxysomes에 lipoxygenase가 존재한다는 증거는 보이지 않았다.

  • PDF

오이(Cucumis sativus)에 함유된 Hydroperoxide Lyase와 Lipoxygenase 효소 활성 및 특성 (Characteristics of Hydroperoxide Lyase and Lipoxygenase Activity in Cucumber (Cucumis sativus) Fruit)

  • 장미진;조일영;이시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314-319
    • /
    • 1997
  • 오이의 향을 결정짓는 휘발성 물질을 형성하는데 연관된 lipoxygenase와 hydroperoxide lyase는 저장 기간, 기질 용액의 pH, NaCl 농도와 온도 변화에 따른 활성을 비교 검토시 매우 유사함이 관찰되었는데, 이는 좋은 오이 향을 최대화하고 유지 보존하는 것이 거의 비슷한 조건이나 환경 안에서 가능함을 시사한다. Hydroperoxide lyase 활성은 pH 5.0일 때 최대치를 보여 주었고, lipoxygenase는 pH 5.5에서 최대 활성을 나타내었다. Hydroperoxide lyase와 lipoxygenase 활성은 $40^{\circ}C{\sim}50^{\circ}C$ 사이에서 안정하였으며, $60^{\circ}C$에서 5분 유지 후 결과는 효소 활성이 약 65%로 감소되었고, 그 이상의 온도에서는 활성도가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Lipoxygenase의 활성은 동일 온도에서 비슷한 특성을 나타내었으나 높은 온도에서도 약 3% 정도의 활성을 유지하였다. 그러나 hydroperoxide lyase의 경우에는 높은 온도에서 수분 안에 아무런 활성도 보이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두 효소의 최대 활성 NaCl 농도는 0.2 M이고, NaCl을 0.2 M까지 첨가시 오히려 NaCl이 없을 때보다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이는 NaCl이 두 효소의 활성을 자극시킴을 보여준다.

  • PDF

Lipoxygenase 결여 콩 계통의 나물 특성 및 Lipoxygenase 활성 (Sprout Properties and Lipoxygenase Activity of Lipoxygenase-less Soybean Genotypes)

  • 이형일;김광철;박의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0권spc1호
    • /
    • pp.112-117
    • /
    • 2005
  • 본 연구는 lipoxygenase 결여 품종인 진품콩2호와 lipoxygenase 가 존재하는 광안콩, 소백나물콩, 푸른콩의 교배조합 내의 각 계통의 lipoxygenase 유무를 확인하고 activity 차이를 규명함으로써 lipoxygenase 결여 나물콩 육성의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콩나물 재배일수별 lipoxygenase 여부, 재배일수별 lipoxygenase 활성도 등을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콩나물 발아율은 대비품종과 계통들간의 큰 차이는 없었지만 정상 발아 개체율 에서는 계통이 $63\%$로 낮았으며 $T_{50}$은 1일로 소백나물콩, 푸른콩(0.6일)보다는 느렸으나 진품콩2호, 광안콩보다는 빨랐다. 2. 콩나물 생육은 치상 후 2일부터 콩나물 전체길이, 배축길이, 배축 직경을 조사한 결과 진품콩2호와 푸른콩 교배 조합 계통의 4537계통(콩나물 전체길이 13.9cm, 배축 길이: 7.3cm, 배축 직경: 2.2mm)이 대비품종들보다 높은 신장성을 보였다. 3. 콩나물의 물성은 치상 후 96시간 후에 hardness, cutting force, masticcation을 측정한 결과 lipoxygenase 결여 계통이 대비품종들보다 높게 측정되었다. 4. 콩나물 재배 일수 별 lipoxygenase band는 자엽부에서는 종실과 같이 lipoxygenase band를 확인 할 수 없었으며 배축부에서 모든 계통과 대비품종에서 확인 할 수 있었다. 5. 콩나물 재배 일수별 lipoxygenase 활성도는 2일차에 최고로 높았으며, 3일차에 최저치로 낮아진 후 다시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6. 각 교배 조합 내에서는 진품콩2호보다 활성도가 낮은 4510, 4522, 4537계통들이 lipoxygenase 결여 콩나물로서의 육종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콩의 Lipoxygenase-1 신속 검정방법 확립 (Studies on Various Test Conditions and Application of Test Method for Lipoxygenase-l in Soybean)

  • 조준형;김영미;윤홍태;김용호;김용욱;김명애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739-747
    • /
    • 1997
  • 본 실험은 lipoxygenase-1 효소 검정을 위한 관련요인 구명과 새로운 검정방법의 활용성을 확립함으로써 무두취 콩품종 육성사업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자료를 얻고저 수행되었다. 1. 기질용액의 완충제로서 Tris나 potassium borate가 효과적이었고 그중 0.1M potassium brate가 lipoxygenase-1의 검정에 있어 가장 효과적이었으며 적정 pH의 범위는 pH 8.5~9.0 이었다. 2. 기질인 linoleic acid의 적정 농도는 2mM이었고 기질용액은 4$^{\circ}C$ 냉장고에서 10일 정도 실온상태에서 4일 정도까지 안전하게 보관하면서 사용할 수 있었다. 3. 콩 종실의 lipoxygenase-1 유무 여부의 확인을 위한 가장 적당한 검정방법은 종피와 배가 제거되고 얇게 자른 반립의 종자를 1.5ml크기의 plastic tube에 넣고 기질용액(0.1M potassium borate (pH 9.0), 0.1% Tween-20, 2mM linoleic acid)을 1ml 첨가해 주고 15분 경과 후 포화된 KI 용액이 5% 함유된 15% acetic acid와 1% 전분용액을 각각 100$\mu$l씩 첨가한 뒤 4시간 후에 상층액의 발색반응을 관찰하는 것으로 판명 되었다. 4. Lipoxygenase-1이 존재하는 종실의 상층액에서는 보라색 발색반응을 보였고 lipoxygenase-1이 결핍된 종실의 상층액에서는 우유빛이 나타났으며 lipoxygenase-2와 3의 간섭효과는 없었다. 보라색 발색은 4시간부터 24시간까지 안정하였고 발색용액(KI와 starch)첨가한 뒤에는 plastic tube를 흔들림없이 유지시켜야 했다.

  • PDF

Chemical Modification of 5-Lipoxygenase from the Korean Red Potato

  • Kim, Kyoung-Ja
    • BMB Reports
    • /
    • 제33권2호
    • /
    • pp.172-178
    • /
    • 2000
  • The lipoxygenase was purified 35 fold to homogeneity from the Korean red potato by an ammonium sulfate precipitation and DEAE-cellulose column chromatography. The simple purification method is useful for the preparation of pure lipoxygenase. The molecular weight of the enzyme was estimated to be 38,000 by SDS-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es and Sepharose 6B column chromatography. The purified enzyme with 2 M $(NH_4)_2SO_4$ in a potassium phosphate buffer, pH 7.0, was very stable for 5 months at $-20^{\circ}C$. Because the purified lipoxygenase is very stable, it could be useful for the screening of a lipoxygenase inhibitor. The optimal pH and temperature for lipoxygenase purified from the red potato were found to be pH 9.0. and $30^{\circ}C$, respectively. The Km and Vmax values for linoleic acid of the lipoxygenase purified from the red potato were $48\;{\mu}M$ and $0.03\;{\mu}M$ per minute per milligram of protein, respectively. The enzyme was insensitive to the metal chelating agents tested (2 mM KCN, 1 and 10mM EDTA, and 1 mM $NaN_3$), but was inhibited by several divalent cations, such as $Cu^{++}$, $Co^{++}$ and $Ni^{++}$. The essential amino acids that were involved in the catalytic mechanism of the 5-lipoxygenase from the Korean red potato were determined by chemical modification studies. The catalytic activity of lipoxygenase from the red potato was seriously reduced after treatment with a diethylpyrocarbonate (DEPC) modifying histidine residue and Woodward's reagent (WRK) modifying aspartic/glutamic acid. The inactivation reaction of DEPC (WRK) processed in the form of pseudo-first-order kinetics. The double-logarithmic plot of the observed pseudo-first-order rate constant against the modifier concentration yielded a reaction order 2, indicating that two histidine residues (carboxylic acids) were essential for the lipoxygenase activity from the red potato. The linoleic acid protected the enzyme against inactivation by DEPC(WRK), revealing that histidine and carboxylic amino acids residues were present at the substrate binding site of the enzyme molecules.

  • PDF

배추의 절임 중 Lipoxygenase의 활성변화 (Change of Lipoxygenase Activity in Chinese Cabbages Submerged in Brines)

  • 김동경;한기영;노봉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576-580
    • /
    • 1997
  • 배추를 절이는 과정에서 배추 lipoxygenase의 활성변화는 linoleic acid를 기질로 하여 용존산소 소비량의 변화로 효소활성을 측정하였다. 소금물에 배추를 침지한 경우 소금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절임시간이 길어질수록 효소의 실활 정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13%의 소금물에서 5시간 절인 후 약 60%의 효소활성이 감소하였다. 한편 calcium chloride의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절임시 0.7% calcium chloride를 첨가한 결과 calcium chloride를 첨가한 것이 calcium chloride를 첨가하지 않은 것 보다 효소의 실활정도가 $10{\sim}15%$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효소 저해제로 마늘 추출물을 사용한 결과 생배추에 첨가한 경우는 약 40%, 13%의 소금물에 절인 후의 배추의 경우는 약 20%의 잔존활성을 보여 주었다.

  • PDF

The Protective Effect of Eupatilin against Hydrogen Peroxide-Induced Injury Involving 5-Lipoxygenase in Feline Esophageal Epithelial Cells

  • Lim, Jae-Chun;Park, Sun-Young;Nam, Yoon-Jin;Nguyen, Thanh Thao;Sohn, Uy-Dong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16권5호
    • /
    • pp.313-320
    • /
    • 2012
  • In this study, we focused to identify whether eupatilin (5,7-dihydroxy-3',4',6-trimethoxyflavone), an extract from Artemisia argyi folium, prevents $H_2O_2$-induced injury of cultured feline esophageal epithelial cells. Cell viability was measured by the conventional MTT reduction assay. Western blot analysis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xpression of 5-lipoxygenase by $H_2O_2$ treatment in the absence and presence of inhibitors. When cells were exposed to 600 ${\mu}M$ $H_2O_2$ for 24 hours, cell viability was decreased to 40%. However, when cells were pretreated with 25~150 ${\mu}M$ eupatilin for 12 hours, viability was significantly restored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H_2O_2$-treated cells were shown to express 5-lipoxygenase, whereas the cells pretreated with eupatilin exhibited reduction in the expression of 5-lipoxygenase. The $H_2O_2$-induced increase of 5-lipoxygenase expression was prevented by SB202190, SP600125, or NAC. We further demonstrated that the level of leukotriene $B_4$ ($LTB_4$) was also reduced by eupatilin, SB202190, SP600125, NAC, or nordihydroguaiaretic acid (a lipoxygenase inhibitor) pretreatment. $H_2O_2$ induced the activation of p38MAPK and JNK, this activation was inhibited by eupatili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eupatilin may reduce $H_2O_2$-induced cytotoxicity, and 5-lipoxygenase expression and $LTB_4$ production by controlling the p38 MAPK and JNK signaling pathways through antioxidative action in feline esophageal epithelial cells.

Inhibition of Cyclooxygenase/Lipoxygenase from Human Platelets by Polyhydroxylated/Methoxylated Flavonoids Isolated from Medicinal Plants

  • You, Kun-Man;Jong, Hyon-Gun;Kim, Hyun-Pyo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2권1호
    • /
    • pp.18-24
    • /
    • 1999
  • Various flavonoid derivatives were previously reported to possess the inhibitory activity on cyclooxygenase/lipoxygenase. And these properties of flavonoids might contribute to their anti-inflammatory activity in vivo. In this study, several polyhydroxylated/methoxylated flavonoid derivatives such as oroxylin A. wogonin, skullcapflavone II, tectorigenin and iristectorigenin A were isolated from the medicinal plants. these compounds were evaluated fro their inhibitory effects on cyclooxygenase/lipoxygenase from the homogenate of human platelets in vitro. It was found that isoflavones including daidzein and tectorigenin possessed the inhibitory activity on cycloooxygenase, although the potency of inhibition was far less than that of indomethacin. In addition, oroxylin A, baicalein and wogonin inhibited 12-lipoxygenase activity without affecting cyclooxygenase, which suggested that 5,6,7- or 5,7,8-trisubstitutions of A-ring of flavone gave favorable results. The IC50 values of oroxylin A and NDGA against 12-lipoxygenase were found to be 100 and 1.5 uM, respectivel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