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rtifacts Management

검색결과 93건 처리시간 0.019초

Content-based Configuration Management System for Software Research and Development Document Artifacts

  • Baek, Dusan;Lee, Byungjeong;Lee, Jung-Won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0권3호
    • /
    • pp.1404-1415
    • /
    • 2016
  • Because of the properties of software such as invisibility, complexity, and changeability, software configuration management (SCM) for software artifacts generated during software life-cycle has been used for guarantee of the quality of the software. However, the existing SCM system has only focused on code artifacts and software development document artifacts such as Software Requirements Specification (SRS), Software Design Description (SDD), and Software Test Description (STD). Moreover, software research-oriented project comes out late the code artifacts and the software development document artifacts.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trace and management of software research document artifacts composed of highly abstracted non-functional requirements like 'the purpose of the project', 'the objectives', and 'the progress' before generation of the code artifacts and the software development document artifacts for a long time. Nevertheless, the existing SCM system cannot trace and manage them. In this paper, we propose content-based configuration management system comprised of the relevance link generation phase and content-based testing phase to trace and manage them. The preliminary application results show applicability and feasibility of the proposed system.

중앙행정부처 기록관리요원의 행정박물관리에 대한 인식 분석 (An Analysis on the Archivist's Perception of the Artifacts Management in Korean Central Governments)

  • 조인숙;김형주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77-191
    • /
    • 2012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중앙행정부처의 행정박물의 관리현황 및 인식을 조사 분석함으로써 행정박물관리의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중앙행정부처 15개 기관을 대상으로 행정박물관리에 관한 현황조사 및 담당자들의 인식조사를 실시한 결과, 대부분의 중앙행정부처가 행정박물 관리규정을 제정하지 않았으며, 보유현황도 많지 않았다. 또한 행정박물관리가 필요하다는 대부분의 인식과는 달리 실제업무는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았다. 행정박물에 대한 조직 구성원들의 인식 제고를 위하여 정기적인 행정박물관련 교육 및 중앙행정부처 컬렉션 개발이 필요하다고 본다.

소프트웨어 릴리스를 구성하는 산출물들의 추적성 관리 기법 (Traceability Management Technique for Software Artifacts which Comprise Software Release)

  • 김대엽;윤청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2권7호
    • /
    • pp.461-470
    • /
    • 2013
  • 소프트웨어 시스템 각 개발단계에서 만들어지는 다양한 산출물들의 연관 관계를 추적하는 능력은 소프트웨어의 품질 관리에 필수적인 요소이다. 소프트웨어 릴리스는 신규 또는 변경된 산출물들의 집합(실행 프로그램 포함)을 고객에게 인도하는 것이다. 소프트웨어 릴리스를 구성하는 산출물들의 연관 관계를 정확하게 추적할 수 있어야 고객의 변경 요구나 기능 개선을 위한 효율적인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릴리스 관리는 형상 관리와 변경 관리를 통합할 때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논문은 개인 작업 공간과 형상 관리 시스템을 통합한 환경을 통해 산출물들의 변경 관리를 지원하고 릴리스를 구성하는 산출물들의 연관 관계를 효율적으로 추적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제시된 환경에서 산출물의 연관 관계를 추적하기 위해 시각화된 버전 그래프와 자동화된 태깅(tagging) 기능을 사용한다.

소프트웨어 형상관리 시스템과 개인 작업공간 통합 기반 산출물 의존 관계 추적성 개선 기법 (Traceability Enhancement Technique for Dependency Relations of Software Artifacts based on the Integration of Software Configuration Management System and Personal Workspace)

  • 김대엽;윤청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8D권6호
    • /
    • pp.451-460
    • /
    • 2011
  • 지속적으로 변경되는 소프트웨어 산출물들의 변경 이력과 의존 관계를 추적하는 능력은 소프트웨어 시스템 개발 프로세스에서 확인 및 검증, 시험과 같은 품질관리 활동들을 지원하는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고 있다. 일반적인 소프트웨어 형상관리 시스템들은 산출물에 대한 추적 정보를 형상관리 시스템 내에서만 제공하고 있으며 개인의 작업공간에서 발생한 개별적인 변경까지 추적하는 기능은 지원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형상관리 시스템과 개인의 작업공간을 통합함으로써 형상항목에 대한 변경뿐만 아니라 개인의 작업공간에 존재하는 산출물들의 변경 이력까지 추적할 수 있도록 하였다. 더 나아가 소프트웨어 산출물들이 동시에 생성되어 하나의 형상항목에 포함되는 경우 이들 산출물들의 버전 링크를 식별함으로써 산출물들 사이의 의존 관계를 추적할 수 있도록 하였다. 형상관리 시스템과 개인 작업공간의 통합을 위해 형상항목의 수정버전(revision)을 작업공간에 존재하는 산출물들의 버전에 태그로 연결시켰으며, 통합 변경 과정에서 산출물들에 대한 변경 이력 및 의존 관계의 효율적인 추적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대규모 객체지향소프트웨어개발에 있어 설계산출물의 유용성 (The Usefulness of Design Artifacts for Enterprise Object Oriented Software Development)

  • 임좌상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11권4호
    • /
    • pp.121-132
    • /
    • 2004
  • This paper surveyed 30 system designers and developers who had been participating in a project for five months to examine the usefulness of design artifacts for object-oriented system development. A set of nine requirement and design documents was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IEEE guidelines. Overall the respondents appeared to agree that the artifacts were useful for system development. On the other hand, the contribution of design artifacts to maintenance was rated lower due to the frequent changes over the iterative process. Of the artifacts, considered more useful were use case specifications, UI design and operation specifications. The respondents were the most reluctant to write test cases. Designers did not like to document more details in the design artifacts than did developers. A future study is required to determine the economics end change management of documentation.

  • PDF

국가행정박물 관리를 위한 기술요소확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xpanded Description Elements for the Management of National Artifacts)

  • 김정심;노수정;남영준
    • 정보관리연구
    • /
    • 제41권1호
    • /
    • pp.145-172
    • /
    • 2010
  • 국가행정박물은 일반박물과 같은 물리적 특징을 갖고 있으며, 공공기관이 업무 수행 과정 중에 생산한 것으로 증거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국가행정박물은 일반 박물 및 문화재와는 내용적으로 구분이 되며, 일반 종이기록물 및 전자기록물과는 그 물리적 성질이 다르므로 관리 프로세스를 정교하게 확장하여야 한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기록물관리법을 근거로 ISAD(G), MODS, RAD, CDWA의 기술요소에서 관련요소를 비교 추출하여 국가 행정박물의 확장된 기술요소를 도출하였다.

기록과 문화유산 관점에서 본 교육 행정박물 관리시스템 설계: J 교육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Design of an Educational Administrative Artifacts Management System from the Perspective of Records and Cultural Heritages: A Case Study on J College of Education)

  • 김현태;전한역;배성중;오효정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75-93
    • /
    • 2022
  • 현재 우리나라는 학령인구의 감소에 따라 다수의 학교들이 폐교될 위기에 직면해있으며 지역사회에서는 교육기관을 통폐합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이로 인해 과거 교육문화의 변화를 보여줄 역사적, 문화적으로 가치 있는 다수의 교육 관련 기록물들이 멸실·훼손될 위기에 처해 있다. 특히 교육 행정박물은 과거 교육기관의 운영에 따른 이력과 이에 담긴 교육적 의미를 효과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중요한 기록이자 문화유산임에도 불구하고 체계적인 관리 방안이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교육 행정박물이 가진 특성을 기록학적 관점과 문화유산적 관점에서 고찰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필요한 기능을 도출하기 위해 현재 공공기관에서 도입하고 있는 표준기록관리시스템, 특수유형 기록물 관리시스템, 사료 관리시스템의 주요 기능을 비교·검토하였다. 나아가 J 교육대학의 행정박물 보유현황 및 관리 사례 분석을 통해, 교육 행정박물 관리를 위한 시스템의 필수 기능과 이에 따른 메뉴 구성안을 제시함으로써 연구 결과의 실효성을 검증하였다.

소프트웨어 요구사항 추적 및 변경 관리를 위한 시각화 모델 (Visualization models for tracking software requirements and managing their changes)

  • 송유리;김현수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59-66
    • /
    • 2021
  • 이 연구에서는 소프트웨어 개발 과정에서 소프트웨어 시스템의 품질을 높이기 위해 요구사항에 대한 추적성 관리 및 변경 관리를 체계적으로 수행하는 요구사항 모니터링 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산출물 간 연관 관계를 정의하기 위한 추적 매트릭스와 개별산출물들에 대한 변경 관리를 체계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산출물 변경 이력 관리 모델을 제시한다. 또한 특정 산출물이 변경될 때 연관된 산출물에 변경이 파급되는 상황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시각적 대시보드도 제안한다.

혼례유물에 대한 내용분석 (A Content Analysis of Traditional Wedding Artifacts)

  • 최배영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1권5호
    • /
    • pp.155-170
    • /
    • 2003
  • This paper will provide a basic analysis of traditional wedding artifacts as they appear on museum websites and their value for scientific research.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re were a total of 115 wedding artifacts(72 written documents related to weddings, 43 marital items) on the website of a museum. Most of them were related to the latter half of Cho-sun Dynasty. From these artifacts, we may understand the culture surrounding wedding during the transitional period from the Cho-sun Dynasty to modem time. 2. By analyzing such wedding artifacts, we can supplement existing methods of study such as literature research and case histories. In this way, we may better understand the history and culture of weddings. 3. In order to gain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culture of weddings we need to adopt a more interdisciplinary approach of wedding artifacts.

국방 CBD 방법론에서 MND-AF 산출물 재활용성 제고 (Reusability Enhancement of the MND-AF Artifacts in the Defense-CBD Methodology)

  • 이현철;이상호;정경철;이승종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2D권7호
    • /
    • pp.1001-1006
    • /
    • 2005
  • 국방부에서는 정보체계획득 및 개발표준화를 위해 MND-AF와 국방 CBD 방법론을 개발하여 정보체계의 상호운용성과 재사용성 증대를 통해 효율적인 통합 및 표준화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MND-AF와 국방 CBD 방법론간 프로세스 적용범위 및 산출물 상호관계에 관한 명확한 가이드라인과 활용방안이 없는 실정이다. 이로 인해 두 절차에서 요구하는 산출물을 각각 작성함으로써 산출물 중복작성, 불필요한 개발기간 연장과 비용 증가로 비효율적인 업무수행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두 절차의 요구산출물들을 구성요소 단위로 분석하여 국방 CBD 프로세스에 따라 MND-AF 산출물의 재활용 적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산출물 작성 부담을 경감시키고 형식보다는 내용에 충실한 산출물을 작성하도록 하여 산출물의 품질 및 재사용성을 높일 수 있다. 연구결과, 국방 CBD 방법론을 적용하여 정보체계를 개발 할 경우 MND-AF산출물 37종 중 34종의 산출물을 재사용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