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rlin Wall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4초

Strategy for Prevention of Weakly Flocculating Characters in Bottom Brewing Yeast Strains

  • Cheong, Chul;Wackerbauer, Karl;Kang, Soon-Ah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3호
    • /
    • pp.558-563
    • /
    • 2008
  • To prevent weakly flocculating characters of bottom brewing yeast during first fermentation, various technical investigations were carried out using strain of Saccharomyces cerevisiae. It appeared that the propagation at $10^{\circ}C$ promoted the molecular structure and biochemical composition of cell wall in favor of flocculation. The yeast grown at $20^{\circ}C$ by addition of zinc ion also had a stimulating effect on flocculation behavior during first fermentation cycle. The zinc ion did not influence directly on the changes of cell wall in favor of stronger flocculence. The increased fermentation activity of yeast due to addition zinc ion was rather responsible for the intensified flocculation capacity. It was concluded that the weakly flocculating characters of bottom brewing yeast during first fermentation can be solved by using yeast propagated at $10^{\circ}C$ or by means of yeast by addition of zinc ion during propagation.

한반도 자생식물로 조성한 해외 한국정원 연구 - Das Dritte Land(제3의 자연)를 사례로 - (A Study of the Overseas-Constructed Korean Garden using Native Plants from the Korean Peninsula - The Case Study of 'Das Dritte Land (The Third Nature)' -)

  • 서자유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1-14
    • /
    • 2021
  • 이 연구는 독일 베를린에 조성된 예술정원 작품인 「Das Dritte Land(제3의 자연)」를 사례로 한반도 자생식물을 이용한 해외에 정원을 조성하는 기법을 고찰한 연구이다. 한국의 정원 작가들이 세계에서 인정받고 있고, 한국정원의 세계화를 계획하고 있는 가운데, 한국의 정원가가 활동력을 넓혀갈 수 있는 현실적인 정보를 공유하고, 한반도 자생식물의 활용과 가치를 재발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작품은 베를린 장벽 붕괴 30주년을 기념하는 기획사업의 일환으로 시작되었다. 인왕제색도를 모티브로 우리나라의 산수화적 풍경을 구현하고자 백두대간의 지리적 형태를 검은 기암괴석으로 재현하고, 한반도의 자생화를 베를린으로 가져가 정원을 조성했다. 분단 이후 통합될 수 없는 한반도에 생물군들이 어우러져 만개하는 초현실적 바이오톱(biotope) 유토피아(utopia)이다. 본 연구는 남과 북의 화합과 어우러짐의 상징 주체인 한반도의 자생화를 대상으로, 식물 조사 분석, 운반 및 안정화, 식재계획, 조성, 모니터링의 일련의 과정을 고찰하였다. 한반도 자생식물이 해외의 정원에서 해석되는 의미는 한반도의 생태계를 하나로 묶는 메시지로 작용하였다. 독일의 분단 경계지에서 한반도의 어린식물이 뿌리내리고 꽃을 피우고 씨앗이 번져가는 과정은 한반도 통일의 염원을 은유적으로 전달한다. 정원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예술 프로그램들은 남북의 문화적인 대화와 소통의 기반을 만들어가고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해외에 정원을 조성하는 과정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시사점은 식물 연구 기관의 협조가 식물의 이송과 생명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는 것과 한국정원가의 해외 진출은 우리나라 정원 문화의 확산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피나코텍 데 모데르네 설계과정에 나타난 알테스뮤지엄의 영향 (The Influence of Architecture on the Altes Museum in Designing the Pinakothek der Moderne)

  • 조자연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0권4호
    • /
    • pp.3-10
    • /
    • 2011
  • In the phase of an architectural designing, the Pinakothek der Modeme in Munich is considered that it is influenced by the Altes Museum in Berlin. The critical elements were composed of the classification of Tominaka and my points of view. Two buildings were analyzed for comparison by six elements, such as, a spatial construction, an organization of plan, an organization of section, a composition of elevation, a method of construction and a composition of mas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that the design of the Pinakothek der modeme was influenced by the Altes Museum as follows: 1)the use of square and circle in the composition of plan, 2)the use of a curtain of columns and a formation of the transitional space between columns and front wall, 3)the location and function of the main stairs and the inner court, 4)the arrangement of exhibition halls, 5)the covering of dome, 6)the unification of spaces of different floors through the rotunda. This study may be helpful for any architects who make a decision of the method and the range of reference to some other building in the beginning of design.

미술관 전시공간의 시각구조 분석 - 개실형 전시공간의 분석을 중심으로 - (An Analysis on The Visual Configuration of an Exhibition Space in Art Museum - Focusing on an Exhibition space Room-to-room -)

  • 이종숙;임채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6권6호
    • /
    • pp.197-204
    • /
    • 2007
  • In the spatial configuration of room-to-room art museums, openings and walls are important physical factors, and openings are a medium for connecting spaces. Also, by spatially composing walls and openings, spaces can be connected visually and physically, and movements and directions may vary depending on the location or size of walls and openings. In this study, 5 museums are investigated: Sainsbury Wing in London, Gemaldegalerie In Berlin, Alte Pinakotkek in Munich, Neue Pinakothek in Munich, and Staatsgalerie Stuttgart in Stuttgart. Using DepthMap program, the characteristics of visual-spatial composition of each museum are derived by comparing the Connectivity, Visual integration, and Isovist maximum radial. From an analysis of spatial distribution, a relationship with visibility is investiga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combination of visual axial lines affect the spatial configuration of the room-to-room museums.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opening, the museums can be classified as follows: 1) Museums with the 1st visual axial line and the 2nd and 3rd auxiliary visual axial lines ; 2) museums with several equal visual axial lines; and 3) museums with only center axial line.

ECONOMIC AND SOCIOLOGICAL ISSUES OF THE TRANSITION TO COMPUTER BASED ENGINEERING EDUCATION

  • Bordia Surek
    • 공학교육연구
    • /
    • 제5권1호
    • /
    • pp.68-76
    • /
    • 2002
  • It is proposed to raise the debate on Engineering and Technical Education at the global economic level and to examine some of the issues facing developing and poorer countries in managing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engineering education in their countries, especially in the context of internet and IT culture After the fall of the Berlin Wall, the world is now divided in two realigned blocks: one of developed(rich or advanced) countries which have a social security safety net for their population and another of developing(or poor) countries which have no such luxuries for their population. For the general public in the developing countries, any engineering or technical degree/diploma is a passport to lifelong wellbeing of an individual and his/her extended family. Therefore, the demand for such qualifications is very high and it is almost a rat race amongst school leavers to get into engineering/technical colleges. In view of this booming demand, there are hundreds of privately funded engineering/technical colleges in countries like Philippines, India, Thailand, etc., besides state funded ones. It is extremely difficult to ensure good quality in this mushrooming scenario. There are also many very small poorly resourced developing countries where there is only one engineering school and/or two-three technical colleges. Products of these schools/colleges work only in their own country and education globalization have little or no meaning for them. Besides highlighting the aforementioned general issues, the Paper also presents a few case studies on problems of accreditation and quality assessment in larger developing countries like India and the Philippines. The Paper also discusses the effects of commercialization on the quality of education and social impacts of IT revolution on educational processes.

[논문 철회] 한국의 전략물자 수출통제제도의 문제점과 효율적 이행방안 ([Retracted] A Study on the Export Control System and its Effective Implementation Plan in Korea)

  • 이상옥
    • 통상정보연구
    • /
    • 제13권3호
    • /
    • pp.353-375
    • /
    • 2011
  • 수출통제는 1949년 미국주도의 COCOM에서 국제수출통제체제가 시발점이라 볼 수 있다. 그 후에도 많은 국제적 노력이 계속 되었는데, 1969년의 핵비확산조약(NPT), 1970년의 쟁거위원회(ZC), 1978년의 핵공급국 그룹(NSG), 1985년의 호주그룹(AG), 1987년의 미사일기술통제체제(NTCR) 또한 1990년 베르린장벽이 철거되면서 COCOM은 1995년 Wassenaar Arrangement(WA)이 창설되었다. 수출통제의 개념은 특정지역에 대한 무기류 및 그 부품의 수출통제에서 무기류 또는 그와 관련된 민군겸용물품 및 기술이 분쟁지역이나 우려국가 테러집단과 같은 비국가 행위자(Non-state actor)의 손에 들어가지 않도록 예방하거나 차단하는 것으로 변화되었으며 이를 비확산통제 (Nonproliferation Control)라고 표현한다. 수출통제의 품목은 과거의 재래식 무기류 뿐만 아니라 다량살상무기(Weapons of Mass Destruction: WMD) 및 그 운반수단인 미사일의 제조, 개발, 사용 또는 보관 등의 용도로 사용 또는 전용될 수 있는 일반 산업용품(Dual Use Item)까지도 포함되게 되었다. 9.11테러는 국제사회에 영향을 마쳤다. WMD 확산방지를 위한 노력이 국제안보의 최대 현안사항으로 등장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비확산체제의 국제법상의 쟁점 및 문제점을 도출하고 비확산규범의 효과적인 집행과 비확산체제의 강화에 따른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남북경제협력에 있어서 남북관계에 쟁점이 될 수 있는 전략물자 수출통제체제제도를 효율적으로 운영하여 국가안보 및 국제평화에 기여하여야 한다. 최근 북한은 미사일 시험, 핵실험 등을 강행함으로써 국제사회에 많은 지탄을 받고 있으며, 지금 국제사회는 유엔결의사항의 이행과 관련하여 중국과 한국을 비롯한 관련 당사국의 수출 통제 준수여부에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