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ogenic amine

검색결과 95건 처리시간 0.027초

감마선 조사가 된장 숙성중의 Biogenic Amine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amma Irradiation on Biogenic Amines Levels in Doenjang during Fermentation)

  • 김재현;안현주;김동호;조철훈;차보숙;변명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713-716
    • /
    • 2002
  • 발효기간동안 된장에서 검출된 biogenic amine은 putrescine cadaverine, tryptamine $\beta$-phenylethylamine, spermidine, spermine, histamine, tyramine 및 agmatine 등으로 총 9가지 종류이며 , 검출된 biogenic amine 중 agmatine의 함량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된장의 발효기간에 따른 biogenic amine함량은 종류에 따라 증가 혹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감마선 조사에 의해 발효기간 중 대부분의 biogenic amine함량이 20~60% 가량 유의적(p<0.05)으로 감소하였는데, 이 중 spermine 및 agmatine은 대조구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아 감마선 조사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감마선 조사기술은 된장숙성 중의 biogenic amine 생성을 억제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국장 중 biogenic amine의 함량 및 생성원인 (Biogenic Amines Formation and Content in Fermented Soybean Paste (Cheonggukjang))

  • 한규홍;조태용;유명상;김천수;김정민;김현아;김미옥;김성철;이선애;고용석;김소희;김대병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541-545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청국장에서 biogenic amine의 함량을 조사하고, 이를 생성하는 미생물의 스크리닝 및 biogenic amine 형성 등을 통하여 생성원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국내 시판 청국장에는 putrescine, histamine, tryptamine 등 11종의 biogenic amine이 검출되었으며, 이 중 tyramine이 $4.2{\pm}0.9-483.1{\pm}28.4mg/kg$의 범위를 보여주여 다른 amine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청국장내 균주는 B. amyloliquefaciens, B. subtilis, B. licheniformis 등이 분리 동정되었고, 이들 균주에 대한 탈탄산 효소 활성 스크리닝을 살펴본 결과 모두 양성(+) 반응을 보여주었다. 최종적으로 균주에 대한 biogenic amine 생성을 확인하였을 때, 청국장내 존재하는 균주가 탈탄산 효소 활성을 통하여 biogenic amine 생성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판 간장 중의 biogenic amine의 함량 조사 (Survey of Biogenic Amine Contents in Commercial Soy Sauce)

  • 김재현;박현진;김미정;안현주;변명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325-328
    • /
    • 2003
  • 국내에서 시판 유통되고 있는 9개$(A{\sim}I)$의 간장제품 중의 biogenic amine(BA) 함량을 조사하였다. 시판 간장에서 검출된 biogenic amine은 putrescine, cadaverine, tryptamine, ${\beta}-phenylethylamine$, spermine, histamine 및 tyramine으로 총 7종류가 검출되었으며, 각 제품에 따라 그 종류 및 함량 차이를 나타내었다. PUT은 6 제품에서 가장 높은 수준으로 검출되었으며, 가장 높은 제품과 낮은 제품에서의 함량차이가 약 16 mg/kg이상으로 나타났다. 6개의 제품에서 7종류의 BA이 모두 검출 된데 반해 한 제품(I)에서 5종류의 BA만이 검출되었다. I 제품은 putrescine을 제외한 모든 BA에서 유의적으로 가장 낮은 함량 수준을 보였으며, B 제품의 경우 7종류의 BA이 모두 검출되었고 함량도 유의적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간장의 화학적 유해요소에 대한 안전성 확보를 위해 지속적인 함량조사를 포함한 다양한 저감화 연구 등이 필요하다.

시판 맥주 중의 biogenic amines 함량 조사 (Survey of Biogenic Amines Contents in Commercial Beers)

  • 김재현;안현주;홍진환;한상배;변명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1127-1129
    • /
    • 2002
  • 국내에 유통되고 있는 시판 14개사 맥주 중의 biogenic amines의 함량을 조사하였다. 시판 국내 외산 맥주에서 검출된 biogenic amine은 putrescine, cadaverine, tryptamine, ${\beta}-phenylethylamine$, spermine 및 tyramine 등으로 총 6가지 종류가 검출되었으며, 각 제조회사에 따른 함량 차이를 보였다. 검출된 biogenic amines 중 모든 제품에서 SPM이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국내산 맥주 중에는 CAD 및 PHE, 수입산 제품의 경우는 PHE 및 TYR의 함량이 제조사별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따라서 맥주의 화학적 안전성 확보를 위해 지속적인 함량조사가 필요하다.

식용 번데기의 저장 중 Biogenic Amine 함량 변화와 품질지표 개발 (Changes of Biogenic Amine Level during Storage and Development of New Quality Index on Silkworm Pupa)

  • 조태용;한규홍;강병선;김선봉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68-272
    • /
    • 2007
  • 본 연구는 식용 번데기를 냉동$(-18^{\circ}C)$, 상온$(25^{\circ}C)$ 및 실온$(35^{\circ}C)$에 저장하면서, 식용 번데기의 기준규격인 산가와 과산화물가의 경시변화를 살펴보고, biogenic amine의 함량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식용 번데기의 새로운 품질지표로 biogenic amine을 검토하였다. 번데기 원료에서는 7개의 biogenic amine이 검출되었으며, 그 중 putrescine이 $243.0{\pm}5.4mg/k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저장기간에 따른 산가 및 과산화물가의 변화에 있어서는 냉동$(-18^{\circ}C)$에서는 저장 7일 동안 변화를 보이지 않았고, 상온$(25^{\circ}C)$에서는 2일, 실온$(35^{\circ}C)$에서는 2일 이전에 번데기 산가의 기준규격치인 5.0을 초과하였다. 또한, 상온$(25^{\circ}C)$에서 저장하는 동안 biogenic amine는 histamine과 tyramine이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를 바탕으로 산가와 histamine, tyramine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저장기간과 산가는 simple linear식으로, 산가와 histamine, tyramine의 변화는 2차 simple linear관계식으로 제시되었다. 결과적으로 식용 번데기에 있어 산가 이외에 biogenic amine인 histamine과 tyramine이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가짐으로써 새로운 품질지표로 사용이 가능하였다.

Biogenic Amine Degradation by Bacillus Species Isolated from Traditional Fermented Soybean Food and Detection of Decarboxylase-Related Genes

  • Eom, Jeong Seon;Seo, Bo Young;Choi, Hye Su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5권9호
    • /
    • pp.1519-1527
    • /
    • 2015
  • Biogenic amines in some food products present considerable toxicological risks as potential human carcinogens when consumed in excess concentration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degradation of the biogenic amines histamine and tyramine and the presence of genes encoding histidine and tyrosine decarboxylases and amine oxidase in Bacillus species isolated from fermented soybean food. No expression of histidine and tyrosine decarboxylase genes (hdc and tydc) were detected in the Bacillus species isolated (B. subtilis HJ0-6, B. subtilis D'J53-4, and B. idriensis RD13-10), although substantial levels of amine oxidase gene (yobN) expression were observed. We also found that the three selected strains, as non-biogenic amineproducing bacteria, were significantly able to degrade the biogenic amines histamine and tyramine.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selected Bacillus species could be used as a starter culture for the control of biogenic amine accumulation and degradation in food. Our study findings also provided the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potential biological control agents against these biogenic amines for use in the food preservation and food safety sectors.

Bacillus cereus에 대한 길항적 저해 작용과 biogenic amines 분해 능력을 지닌 Bacillus licheniformis SCK A08 균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Bacillus licheniformis SCK A08 with Antagonistic Property Against Bacillus cereus and Degrading Capacity of Biogenic Amines)

  • 이은실;김용상;류명선;정도연;엄태붕;조성호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40-46
    • /
    • 2014
  • Biogenic amine은 주로 단백질이 풍부한 전통장류 중 된장과 간장에서 높게 발생하고 있다. 현재까지 국내외 식중독 사고를 보면 biogenic amine중 tyramine, histamine과 putrescine에 의한 보고가 있다. 전통장류의 biogenic amine에 대한 위생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통장류 제조에 적합한 발효미생물 중에서 biogenic amine 비생성 및 분해하는 미생물을 선발하여 종균으로 적용한다면 biogenic amine에 대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우수한 발효능력과 함께 유해균에 대해 강한 길항 능력을 지니며, biogenic amine을 생산하지 않지만 높은 분해능력을 보이는 균주를 선발하여 장류제조 종균으로의 이용가능성을 실증하였다. 결론적으로 선발된 장류발효균주를 종균으로 이용하여 메주제조 및 청국장 제조 등에 이용한다면 biogenic amine과 Bacillus cereus를 안전한 수준으로 낮출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고, 전통장류의 HACCP적용을 위한 HAZARD를 관리하는 우수한 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향후에는 단일 균종만 종균으로 사용할 경우 전통장류의 우수한 풍미를 재현하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종균들을 적절하게 조합한 혼합발효를 통해 제조한다면 풍미가 좋을 뿐만 아니라, 위생문제를 해결한 우수한 장류를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식품 내 바이오제닉아민 신속검출기술 개발 동향 (Rapid Detection Methods for Biogenic Amines in Foods)

  • 이재익;김영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41-147
    • /
    • 2012
  • BA은 치즈, 와인, 젓갈, 소시지, 된장 등 미생물에 의한 발효과정을 거치는 식품뿐만 아니라 채소류, 과일, 육류와 같은 비발효 식품군에서도 발견된다. 식품 내 BA 오염에 대한 관리를 목적으로 제조공정 및 유통과정에서 신속하게 다량의 시료를 분석하고 제품에 대한 항시 모니터링 기술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BA 특이항체 및 BA 분해효소를 이용하는 BA 검출 및 센싱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HisN 특이 항체를 이용한 ELISA 키트는 상용화 되었으며 다양한 식품에 적용되고 있다. 산화적 탈아미노반응을 촉매하는 아민산화효소는 항체기반의 ELISA 방식에 비해 다양한 BA 분석에 사용되고 있으며, 효소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H_2O_2$의 산화환원반응에 의해 발생하는 전류를 측정함으로써 BA의 함량을 정량할 수 있는 전류측정식 바이오센서 개발에 적용되고 있다. BA 신속검출을 위한 바이오센서의 개발 연구 동향에 발맞추어 국내 전통발효식품에 적합한 기술개발이 요구되며, 산업현장 적용 연구를 거쳐 국내 전통발효식품의 안전성을 확보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Selection of indigenous starter culture for safety and its effect on reduction of biogenic amine content in Moo som

  • Tangwatcharin, Pussadee;Nithisantawakhup, Jiraroj;Sorapukdee, Supalu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2권10호
    • /
    • pp.1580-1590
    • /
    • 2019
  • Objective: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select one strain of Lactobacillus plantarum (L. plantarum) for a potential indigenous safe starter culture with low level antibiotic resistant and low biogenic amine production and evaluate its effect on biogenic amines reduction in Moo som. Methods: Three strains of indigenous L. plantarum starter culture (KL101, KL102, and KL103) were selected based on their safety including antibiotic resistance and decarboxylase activity, and fermentation property as compared with a commercial starter culture (L. plantarum TISIR543). Subsequently, the effect of the selected indigenous safe starter culture on biogenic amines formation during Moo som fermentation was studied. Results: KL102 and TISIR 543 were susceptible to penicillin G, tetracycline, chloramphenicol, erythromycin, gentamycin, streptomycin, vancomycin, ciprofloxacin and trimethoprim (MIC90 ranging from 0.25 to $4{\mu}g/mL$). All strains were negative amino acid-decarboxylase for lysis of biogenic amines in screening medium. For fermentation in Moo som broth, a relatively high maximum growth rate of KL102 and TISIR543 resulted in a generation time than in the other strains (p<0.05). These strain counts were constant during the end of fermentation. Similarly, KL102 or TISIR543 addition supported increases of lactic acid bacterial count and total acidity in Moo som fermentation. For biogenic amine reduction, tyramine, putrescine, histamine and spermine contents in Moo som decreased significantly by the addition KL102 during 1 d of fermentation (p<0.05). In final product, histamine, spermine and tryptamine contents in Moo som inoculated with KL102 were lower amount those with TISIR543 (p<0.05). Conclusion: KL102 was a suitable starter culture to reduce the biogenic amine formation in Moo som.

Improvement of Decarboxylating Agar Medium for Screening Biogenic Amine-Producting Bacteria in Kimchi

  • Mah, Jae-Hyung;Shin, Soon-Young;Lee, Heung-Shick;Cho, Hong-Yon;Hwang, Han-Joo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1권3호
    • /
    • pp.491-496
    • /
    • 2001
  • A modification of decarboxylating agar medium as described by niven was performed to improve the detection method of biogenic amine-producing bacteria and to eliminate the false-positive. A total of 120 bacterial strains isolated from kimchi were used to evaluate different dicarboxylating agar media and for screening biogenic amines. Potential false-positives ranged from approximately 66 to 79% of the strains tested in the already well-known media. In our improved medium, none of the 120 strains showed the potential false-positives. There was a good agreement (81.7%-87.5%) between the results obtained by the improved medium and by HPLC analysis. Consequently, this medium was greatly improved in screening biogenic amine-producing bacteria and discarding false-positives. Of the 120 kimchi isolates, 14.2, 18.3, 37.5, and 0.8% were found by HPLC to be the producers of histamine, tyramine, putrescine (as a form of spermine), and cadaverine, respectively. The proportion of biogenic amine producer during kimchi fermentation increased to a maximum at an immature period and decreased thereafte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