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ook curation operation status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5초

학교도서관 북큐레이션 운영에 대한 사서의 인식조사 연구 - 부산지역 초등학교 도서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Librarians on the Operation of School Library Book Curation: Focused on Elementary School Libraries in Busan)

  • 김미나;강은영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5-31
    • /
    • 2022
  • 이 연구는 부산지역 초등학교 도서관의 북큐레이션 운영에 대한 사서의 인식을 조사하여 분석한 다음, 학교도서관에서의 북큐레이션 활성화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2021년 기준 국가도서관통계시스템의 학교도서관 현황을 활용하여 부산지역 304개 학교도서관 목록을 확보하여 사서가 배치되어 있는 121개 학교도서관을 선정한 다음 설문조사에 참여하기로 한 83개관을 최종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북큐레이션 운영현황과 사서와 사서교사의 인식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도서관 북큐레이션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1) 북큐레이션에 대한 전문화된 교육의 확대와 제공, 2) 학교도서관 북큐레이션 운영에 관한 자료의 개발과 보급, 3) 북큐레이션에 대한 역량강화를 위한 사서들의 지속적인 노력, 4) 학교도서관 사서 간의 협력과 정보 공유 등을 제안하였다.

초등학교 학교도서관의 북 큐레이션 운영 현황 연구 (A Study on the Operation of Book Curation in Elementary School Library)

  • 곽순임;오의경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4호
    • /
    • pp.415-422
    • /
    • 2023
  • 이 연구의 목적은 사서교사를 대상으로, 북 큐레이션의 현황, 북 큐레이션의 필요성과 효과성에 대한 인식 태도를 조사하여 향후 북 큐레이션 서비스의 개선 방안을 논의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51명의 경기 지역 사서교사를 대상으로 북 큐레이션의 운영 현황을 설문형식으로 조사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응답자의 86.3%가 북 큐레이션 운영 경험을 가지고 있었고, 둘째, 북 큐레이션 서비스를 하는 가장 중요한 이유는 학생들에게 다양한 주제의 자원을 소개하기 위한 것이었으며, 셋째, 북 큐레이션의 주제는 도서 관련 행사와 사회적 이슈를 반영하여 선정하며, 넷째, 사서교사들은 북큐레이션에 대한 교육을 받지 않고 서비스를 수행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마지막으로, 북 큐레이션 서비스가 필요하다는 인식은 높지만 공간과 예산의 부족 등으로 운영상 어려움을 겪고 있다.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는 이 연구가 북 큐레이션의 실제를 보고하는 데이터로 학술적 기여가 있으며, 도서관의 자원이 사장되지 않고 이용자와 적극적으로 매칭되기 위하여, 사서교사의 전문적 교육, 교육과정과의 연계 등이 필요하며, 향후 연구는 선행연구들에서 공통적으로 제기된 문제를 제거할 수 있어야 한다고 제언하였다.

학교도서관의 북큐레이션 활성화 방안에 대한 탐색적 연구 - 인천 중등 학교도서관 사례 및 현황 분석을 중심으로 - (An Exploratory Study on the Activation of Book Curation in School Libraries: Focused on the Case and Current Status Analysis of Secondary School Library in Incheon)

  • 오혜민 ;곽승진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115-137
    • /
    • 2022
  • 본 연구는 중등 학교도서관 북큐레이션 사례 조사와 담당자의 북큐레이션에 대한 인식 분석을 통해 중등 학교도서관 북큐레이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문헌조사와 함께, 인천광역시교육청 중등 학교 중 상시 운영이 이루어지는 전수 192개 학교도서관 담당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 인천 중등 사서교사 4명과 문헌정보학과 교수 1명을 대상으로 인터뷰, 학교도서관 방문 관찰을 병행하였다. 이를 통해 북큐레이션 활성화 방안으로 학교도서관 담당자의 증원, 교과교사와의 협력과 정보 공유, 북큐레이션 운영을 위한 매뉴얼 확립, 주제 선정 사례집 출판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