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itish Library

검색결과 36건 처리시간 0.019초

대영박물관도서관의 발전과정과 그 목록규칙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British museum library and its cataloguing rules)

  • 배영활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16권
    • /
    • pp.69-98
    • /
    • 198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British Museum Library and its cataloging rules which really marked the beginning of the modern era of cataloguing.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Sir Anthony Panizzi was the most creative force in the history of the British Museum Library. He devoted himself to the formation of the British Museum Library cataloging policy and the compilation of printed catalogues. Moreover, he laid down the sound acquisitions policy and the vigorous a n.0, pplication of the copyright deposit privilege. He designed a great circular reading room and raised standards of library service and administration. (2) British Museum Library Cataloging Rules : 1. are notable for their pioneering efforts-this was the first major catalogue code-and for their influence on all subsequent codes. 2. introduced the concept of corporate authorship but has never dealt with problem very satisfactory. 3. went to great lengths to avoid title entry. 4. used a number of form heading, example for, ACADEMIES, PERIODICAL PUBLICATION, EPHEMERIDES, CATALOGUES etc.

  • PDF

영국 공공도서관의 운영 및 서비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peration and Services of Public Libraries in the U.K.)

  • 김영석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233-251
    • /
    • 2009
  • 영국은 산업혁명을 통하여 다른 나라들 보다 일찍 정치 경제 사회적으로 발전하였고, 시민들의 생활이 여유로워지면서 도서관 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발생하자, 1850년에 세계 최초로 국가차원의 도서관(및 박물관)법을 제정하여 세금으로 공공도서관을 건립하고, 무료 도서관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하였다. 현재도 영국의 공공도서관 운영 및 서비스는 우리나라를 포함하여 다른 개발도상국과 비교해서 발전되어 있고, 모범적이다. 이에 본 연구는 영국의 중앙 및 지방정부가 공공도서관 운영 및 서비스를 어떻게 발전시켜 왔고, 현재는 어떻게 운영하고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주요 선진국의 국가도서관시스템 분석 (An Analysis of National Library System of the Major Advanced Countries)

  • 윤희윤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5-31
    • /
    • 2006
  • 이 연구는 국가균형발전과 지방분권이라는 시대적 조류에 편승하여 현재의 '완전 집중형' 국가도서관시스템을 '집중-분산형'으로 재편하기 위한 이론적 배경과 논리적 근거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주요 문화선진국인 영국, 독일, 프랑스, 일본을 벤치마킹의 대상으로 삼아 각각의 분산형 국가도서관시스템 구성을 정밀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후속연구에서는 국가도서관 지역분관 건립을 위한 중장기 기본계획(기본모형, 운영체계 및 역할분담 모형, 자료보존센터 모형 등)을 제시할 것이다.

국가대표도서관의 구술 컬렉션 핵심 요소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ing the Key Factors of the Oral Collection in National Representative Library)

  • 정연경;이재영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4권2호
    • /
    • pp.53-77
    • /
    • 2020
  • 본 연구는 외국의 국가대표도서관 구술 컬렉션의 현황을 분석하여 한국의 국가대표도서관에서 구술 컬렉션을 구축할 때, 고려해야 할 핵심 요소를 도출하고자 수행되었다. 미의회도서관과 영국국립도서관, 호주국립도서관에서는 구술자료를 국가적으로 전승시켜야 할 국가지식유산으로 간주하여 일찍부터 관련 센터나 부서를 설치하고 모든 역량을 집중시켜 구술 컬렉션을 대표적인 컬렉션 중의 하나로 수집, 활용, 보존하고 있다. 이들 국가대표도서관의 구술 컬렉션 분석을 바탕으로 현재 구술 컬렉션이 전무한 국립중앙도서관이 국가대표도서관으로서 구술 컬렉션을 처음 시작할 때 고려해야 할 핵심 요소를 법령, 조직, 수집 정책, 서비스, 컬렉션, 교육 및 협업, 기금 및 후원을 중심으로 제시하였다.

영미계목록규칙 발전의 사적 고찰 (A Historical Study on the American-British Cataloging Rules)

  • 심의순;손문철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11권
    • /
    • pp.143-173
    • /
    • 1984
  • This study has been done to review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cataloging system of books with emphasis on those in England and the U. S. The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In 1844, Sir Panizzi invented what seems to be the first of its kind in history to list the inventory systematically at the British Museum. It is believed to be a complete system consisting of 91 articles. (2) A comparatively systematic system was developed in America by Jewett. in 1852. Composed of only 39 articles, the system is considered a renovative one worked out with due regard to the infrastructure of a library. (3) In 1876, a classic system based on a lexicographical order was set up by Cutter. Rated as the best one that was designed by an individual, the theory has since exercised widespreading effects on cataloging. (4) American and British library scientists collaborated in printing several editions of numerous volumes on the principles of classification, but they are not believed fully successful in establishing a consistent and compressive system. Their efforts found significance rather in their being the first international collaboration and setting a foundation upon which the international system of today has been developed. (5) The ALA Rule, published concurrently in ALA and LC in 1949, had two parts in its classification, the list of authors and that of titles. Its scientific classification has completed the cataloging of books in its developmental stage. (6) The 1967 American-British Rules integrated the cataloging systems published under separate covers by authors and titles. The system as well as the 1961 Paris System has greatly contributed to the standardization of bibliographical description throughout the English-speaking countries. The International Standard Book Description standardized Bibliographic system has enabled the librarians in different countries to exchange their bibliographical sources easily, helped to overcome the language barrier in listing and contributed to the efficient reading of bibliographical records through machines. (7) The second edition of the Angelo-American cataloging Rules, promulgated in 1978 under the influence of the international standard bibliographical description, was the one in which all the previous Rules were revised to have their strong points. The adoption of punctuation system to employ the computerized data processing and the standardization of description are expected to improve the cataloging system not only in the English speaking countries but in the Universal Bibliographic Control as well.

  • PDF

영국(英國)의 국가도서관제도(國家圖書館制度)

  • 데니스 J. 그로간
    • 정보관리연구
    • /
    • 제6권6호
    • /
    • pp.164-166
    • /
    • 1973
  • 영국(英國)에서는 대학도서관(大學圖書館), 공공도서관(公共圖書館) 및 특수도서관(特殊圖書館)을 포함하여 각종(各種)의 도서관(圖書館)이 많이 있다. 그러나 불과 몇 달전까지만 해도 국가도서관제도(國家圖書館制度)가 없었다는 것은 경이(驚異)할만한 일이며, 세계적(世界的)으로 유명(有名)한 영국박물관도서관(英國博物館圖書館)도 공식적(公式的)인 국가도서관(國家圖書館)이 아니었기 때문이다. 1972년(年)에 새로운 입법(立法)이 통과되어, 소위 "영국도서관(英國圖書館)"이라 불리우는 국립도서관(國立圖書館)이 현재(現在) 건립중(建立中)에 있는데, 이것은 영국박물관도서관(英國博物館圖書館)(British Museum Library), 국립과학발명참고도서관(國立科學發明參考圖書館)(National Reference Library of Science and Invention), 국립과학기술대출도서관(國立科學技術貸出圖書館)(National Lending Library for Science and Technology), 국립중앙도서관(國立中央圖書館)(National Central Library) 및 영국국립서지관(英國國立書誌館)(British National Bibliography)을 통합(統合)하여 3부(部)로 구성(構成)되어질 것이다.

  • PDF

국립중앙도서관의 서지통정 기능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s of Bibliographic Control in National Library of Korea)

  • 정연경;최윤경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9-43
    • /
    • 2010
  • 본 연구는 선진국의 국가대표도서관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서지통정 조직 및 운영 사례를 분석하여 국립중앙도서관이 국가서지정보센터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고 서지통정을 강화시키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먼저 문헌 연구에서 국립도서관의 정의와 역할, 서지통정의 개념과 기능에 대해 알아보았고 사례조사에서는 미의회도서관, 영국 국립도서관, 일본 국립국회도서관, 덴마크 왕립도서관, 한국의 국립중앙도서관에서 현재 운영 중인 서지 통정 관련 부서의 운영 방안과 주요 업무를 분석하였다. 국립중앙도서관의 서지통정 기능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첫째, 독립적인 서지통정 전담 부서의 설치, 둘째 서지데이터의 고품질화 및 유관 기관과의 협력 체제 강화, 셋째, 서지통정의 제반 연구 기능의 강화를 제시하였다.

영국 공공도서관 건축의 발전 과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Architecture of the Public Libraries in the U.K.)

  • 김영석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15-128
    • /
    • 2009
  • 영국은 다른 나라들 보다 일찍 시작한 산업 혁명의 영향으로 공공도서관 서비스도 다른 나라들 보다 일찍 시작할 수 있었다. 그리고 지난 150여 년 동안 공공도서관 인프라구축을 꾸준히 추진하여 현재까지도 세계 최고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영국의 각 지자체는 1850년에 제정된 공공도서관법을 근거로 하여 시민들의 편리한 도서관 이용을 돕고, 건립비용을 최소화 하면서 많은 도서관을 건립하기 위하여 다른 용도의 건물을 리모델링하는 등 20세기 전까지는 단순한 형태의 소규모 도서관 건립을 시도하였다. 우리 나라도 더 많은 공공도서관을 건립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는데, 건립비용을 최소화 하면서 더 많은 도서관을 건립하기 위해서는 소규모 이면서 단순한 형태의 도서관을 많이 건립할 필요가 있겠다.

예일 영국미술센터의 공간구성 방식과 그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patial Configuration and its Characteristics of Yale Center for British Art)

  • 김낙중;정태용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7권1호
    • /
    • pp.69-76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terior characteristics of the Yale center for British art by Louis I. Kahn. As his last realized project, the Yale center for British art shows Kahn's latter architectural thoughts about exterior/interior, space/structure and theory/practice. Kahn arranged unit space(room) around two interior courts and laminated them vertically. This spatial configuration is the result of solving the urban context which needed the continuity of street and complicated program including art museum, retail shop, studio and library. Although Kahn adpted severe formal configuration, he added changes to spatial relation. The visualization of architectural system is realized by revealing the relation of the unit space and structure. And this emphasized the presence of the center. The emphasis of tectonic expression is also the characteristics of interior in that structure is the logical part of whole building system rather than concealing object for the exterior of buildings. In the Yale center for British art, interior characteristics are summarized as spatial configuration based on the relation between unit space and two courts, the visualization of structural order,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tructure and light.

온라인 신문 아카이브 연구 국내외 구축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Online Newspaper Archive : Focusing on Domestic and International Case Studies)

  • 송주형
    • 기록학연구
    • /
    • 제48호
    • /
    • pp.93-139
    • /
    • 2016
  • 신문의 역할은 정부의 비판과 감시다. 공공의 문제에 해설과 논평을 하는가 하면 다양한 여론을 형성하고 전달한다. 메타데이터가 확실한 사진 기록물을 담고 있으며, 지역신문의 경우 로컬리티 확보의 중요한 도구다. 신문에 실린 광고와 신문의 편집 역시도 시대의 단면을 보여준다. 이런 신문의 기록학적 가치 때문에 도큐멘테이션 전략을 수립할 때도 신문은 늘 우선적으로 수집이 고려되는 기록물이다. 신문을 보존하고 관리하기 위한 신문 아카이브는 여러모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기자들이 기사를 작성하기 위해 이용하기도 하고, 다양한 학문 분야의 연구를 위한 자료로도 활용이 된다. 신문의 교육적 활용인 NIE에도 이용되지만 신문 아카이브는 디지털 시대에 들어와 더욱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미디어 자산을 통합 관리하는 MAM의 핵심에 아카이브가 위치하기 때문이다. 신문 제작뿐만 아니라 신문사 경영 등 전 영역에 걸쳐 새로운 역할을 온라인 아카이브가 하게 될 거라는 전망들이 나오고 있다. 한국에서도 이미 1991년 기사통합 DB인 KINDS가 서비스를 시작했고, 네이버에서는 뉴스 라이브러리라는 온라인 신문 아카이브를 구축해 운영하고 있다. KINDS의 경우 초기에는 뜨거운 반응이 있었으나, 현재는 이용률이 저조한 상태이다. "조선일보", "중앙일보" 등 주요 신문사가 빠져 있고, 이용자 인터페이스도 불편한 점이 많기 때문이다. 하지만 공공예산이 투입되어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는 점이나, 지방지에 대한 접근성 등은 큰 장점이다. 고신문의 경우 국립중앙도서관에서 지속적으로 디지타이징을 하고 있다. 개별 신문사들의 경우도 아카이브라고 하기 민망한 수준이자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미국의 경우 의회도서관에서 국립인문기금과 함께 역사적 신문을 디지타이징 하는 'CHRONICLING AMERICA'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 각 주의 대학과 역사협회, 공공 도서관에 기금을 줘 매년 10만 페이지의 지역신문을 디지타이징하고 있다. 영국 역시도 국립도서관이 중심이 되어 'The British NEWSPAPER Archive'라는 온라인 신문 아카이브를 구축하고 있는데, 미국과 달리 유료로 운영된다. 이곳 역시도 합동정보시스템위원회의 공공예산이 투입되었으며, 지금도 구축을 계속 이어가고 있다. 개별 신문사들은 아카이브 솔루션을 구매해 온라인 아카이브를 구축하는 경우가 많다. ProQuest Archiver, Gale Cengage-NewsVault가 대표적인 아카이브 플랫폼으로 신문 자체가 표준화되고 규격화되어 있는 만큼 이를 통한 아카이브 구축도 효율적인 방법으로 보인다. 국내의 온라인 신문 아카이브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아카이브에 대한 인식의 전환과 함께 과감한 투자 등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