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udget Assignment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1초

우리나라 학교도서관 기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Domestic School Library Standard)

  • 목수정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21-234
    • /
    • 2011
  • 국내에서 적용되고 있는 학교도서관 기준을 분석하여 기준별 특이성과 차이성을 조사하였다. 현행 적용되는 기준으로 7가지 학교도서관 기준이 조사되었으며, 분석결과, 예산편성, 교육서비스, 자료, 인력 등 4가지 주요 문제점이 진단되었다. 기존 학교도서관 기준을 검토하여 학교 도서관의 변화에 따른 새로운 학교도서관 기준의 개선안을 제안하였다.

예산과 공간 제약하에서 크랭크샤프트 생산라인의 생산능력 증대를 위한 시뮬레이션 기반의 연구 (A Simulation Based Study on Increasing Production Capacity in a Crankshaft Line Considering Limited Budget and Space)

  • 왕관;송수;신양우;문덕희
    • 대한산업공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481-491
    • /
    • 2014
  • In this paper, we discussed a problem for improving the throughput of a crankshaft manufacturing line in an automotive factory in which the budget for purchasing new machines and installing additional buffers is limited. We also considered the constraint of available space for both of machine and buffer. Although this problem seems like a kind of buffer allocation problem, it is different from buffer allocation problem because additional machines are also considered. Thus, it is not easy to calculate the throughput by mathematical model, and therefore simulation model was developed using $ARENA^{(R)}$ for estimating throughput. To determine the investment plan, a modified Arrow Assignment Rule under some constraints was suggested and it was applied to the real case.

학교시설물 유지관리를 위한 공사 분류 체계 분석 (Analysis of Construction Work Breakdown Structure of Maintenance of Educational Facility)

  • 류한국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5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251-252
    • /
    • 2015
  • Enough school facility maintenance data should be accumulated in a database or data warehouse in order to supply information about school facility correct maintenance budget plan, budget assignment, and cycle and rate of maintenance or replacement. For those, this research analyze the present school facility maintenance practice and budget and construction cost structur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this study analyze the present practice of maintenance and replacement and obtain LCC(Life cycle cost) data, perform expert interview and then establish construction work breakdown structure of maintenance of educational facility by combining work breakdown structure(WBS) and cost breakdown structure(CBS).

  • PDF

공급 사슬 확장을 위한 네트워크 재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Network Redesign for Supply Chain Expansion)

  • 송병덕;오용희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141-153
    • /
    • 2012
  • 시장 상황의 변화에 따라 상품의 효율적인 공급을 위해 기업은 한정된 예산 내에서 공급 사슬을 변화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경쟁의 심화로 공급 사슬 내에서의 비용 절감뿐만 아니라 적절한 공급 사슬의 구성을 통해 상품의 정시 배송 등 고객 만족도를 높이는 것은 점점 더 중요한 요소로 고려되고 있는 추세이다. 본 연구에서는 공급 사슬 확장에 따른 네트워크 재설계 문제를 다루고 있으며 이에 따른 수리 모형을 제안한다. 또한 유전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예산 제한의 변화에 따른 총 가중 거리의 변화를 계산하여 경영진의 의사결정을 도울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한다.

네트워크에서 루머 중심성 기반 질의를 통한 루머의 근원 추정 (Estimating the Rumor Source by Rumor Centrality Based Query in Networks)

  • 최재영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8권7호
    • /
    • pp.275-288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네트워크에서 충분히 많은 노드가 루머를 들었을 때 그 근원이 어디서부터 시작 되었는지를 추론하는 문제를 고려한다. 이것은 신기술의 확산, 인터넷에서의 컴퓨터 바이러스/스팸 감염, 인기 있는 주제의 tweeting 및 retweeting과 같은 많은 실제 환경에서 네트워크의 정보 확산이 빠르게 진행되고, 이 정보 중 일부는 다른 노드에게 악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이 문제는 선행연구에 의해 감염된 노드의 수가 충분히 많으면 정규 트리의 경우에도 탐지 확률이 31%를 초과 할 수 없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네트워크에 감염된 후보 노드에게 몇 가지 추가 질의를 하는 방법에 대해 조사하고 네트워크 관리자가 한정된 자산을 가지고 있을 때 각 노드에 대한 질의의 수를 어떻게 분배하는지에 대한 자산 할당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제안한 방법에 대하여 다양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고 기존 선행 연구보다 우수한 성능을 확인하였다.

The SWG Component Technology Classification Scheme Researchthrough the Technology Trend Analysis

  • Son, Hong Min;Hu, Jong Wa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8권11호
    • /
    • pp.945-955
    • /
    • 2015
  • The technology of the SWG (Smart Water Grid) as one of most important national projects results in significant assignment that is closely associated with systematic management and effective operation. The individual component technics are required to establish directory and classification for the purpose of effectively managing their information related to research and development (R&D). The national science technology (S&T) standard classification tree which results in the representative example has been established with an intention to manage R&D information, human resource, and budget. It has been also revised every five years and then used in the various fields related to the evaluation, administration, and prediction of the national R&D projects. In addition, the standard classification system for R&D projects has been widely used in the UNESCO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and EU (European Union) since the Frascati Manual was established in the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SWG techniques to develop the standard S&T classification tree for research management and evaluation. For this, it is essential to draw the core techniques for the SWG, which are incorporated with IT (Information Technology), NT (Nano Technology), and BT (Biology Technology).

장래교통수요예측을 고려한 도로 유지관리 방안 (Road Maintenance Planning with Traffic Demand Forecasting)

  • 김정민;최승현;도명식;한대석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8권3호
    • /
    • pp.47-57
    • /
    • 2016
  • PURPOSES :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existing traffic demand forecasting method and the traffic demand forecasting method considering future regional development plans and new road construction and expansion plans using a four-step traffic demand forecast for a more objective and sophisticated national highway maintenance. This study ultimately aims to present future pavement deterioration and budget forecasting planning based on the examination. METHODS : This study used the latest data offered by the Korea Transport Data Base (KTDB) as the basic data for demand forecast. The analysis scope was set using the Daejeon Metropolitan City's O/D and network data. This study used a traffic demand program called TransCad, and performed a traffic assignment by vehicle type through the application of a user equilibrium-based multi-class assignment technique. This study forecasted future traffic demand by verifying whether or not a realistic traffic pattern was expressed similarly by undertaking a calibration process. This study performed a life cycle cost analysis based on traffic using the forecasted future demand or existing past pattern, or by assuming the constant traffic demand. The maintenance criteria were decided according to equivalent single axle loads (ESAL). The maintenance period in the concerned section was calculated in this study. This study also computed the maintenance costs using a construction method by applying the maintenance criteria considering the ESAL. The road user costs were calculated by using the user cost calculation logic applied to the Korean Pavement Management System, which is the existing study outcome. RESULTS : This study ascertained that the increase and decrease of traffic occurred in the concerned section according to the future development plans. Furthermore, there were differences from demand forecasting that did not consider the development plans. Realistic and accurate demand forecasting supported an optimized decision making that efficiently assigns maintenance costs, and can be used as very important basic information for maintenance decision making. CONCLUSIONS : Therefore, decision making for a more efficient and sophisticated road management than the method assuming future traffic can be expected to be the same as the existing pattern or steady traffic demand. The reflection of a reliable forecasting of the future traffic demand to life cycle cost analysis (LCCA) can be a very vital factor because many studies are generally performed without considering the future traffic demand or with an analysis through setting a scenario upon LCCA within a pavement management system.

「학교도서관진흥법」 규정 인력 배치에 따른 지역 간 교육격차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ducational Gap between Regions according to the Manpower Allocation under the 「School Library Promotion Act」)

  • 강봉숙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7권3호
    • /
    • pp.231-248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도서관 투입지표와 산출지표의 지역 간 격차에 대한 논의를 통해 학교도서관 교육의 지역 간 교육격차를 해소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학교도서관진흥법」에서 규정하는 인력 배치 여부별로 학교도서관 투입지표와 산출지표의 차이 및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학교도서관진흥법」 규정 인력 배치 여부와 장서 수, 자료구입비, 좌석 수, 대출자료 수, 그리고 학생 수는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학교도서관진흥법」 규정 인력 배치는 성취도평가 최저 등급인 학생 비율이 2분의 1이상인 과목 수와는 음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지역 특성별로 「학교도서관진흥법」 규정 인력 배치 여부를 조사한 결과 수도권, 광역시, 도단위 순으로 배치율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차이를 보이며 수도권과 광역시에 높게 배치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지역 특성에 따라 가계 당 순자산액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에 기반하여 경제적 여건이 풍족한 대도시 지역에 도단위에 비해 더 높은 「학교도서관진흥법」 규정 인력 배치율이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의 조사 내용을 바탕으로 지역 간, 계층 간 교육격차 해소를 위해 상대적으로 열악한 도단위 지역, 작은 학교에도 균등하게 「학교도서관진흥법」 규정 인력이 조속히 배치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유럽연합(EU) 지역정책의 발전에 관한 일고(一考): 구조기금 개혁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volution of EU Regional Policies: Focusing on the Reform of Structural Fund)

  • 정홍열
    • 국제지역연구
    • /
    • 제15권2호
    • /
    • pp.351-381
    • /
    • 2011
  • 세계의 모든 국가들은 국가내 지역간 경제적 격차 문제를 가지고 있으며, 특히 유럽연합(EU)의 경우 경제적 발전단계가 각기 다른 27개 회원국들로 구성되어 있어 이러한 지역간 격차문제는 더욱 심각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유럽연합 초기에는 지역정책을 주로 회원국의 손에 맡겨두고 공동체 차원에서는 적극적인 지역정책을 펼치지는 않았다. 그 후 1970년대에 새로운 회원국을 받아들이는 과정에서 유럽지역개발기금(ERDF)을 신설하게 되었고, 이를 계기로 유럽연합의 지역정책은 공동체내에서 주요한 정책으로 부상하였다. 특히 유럽연합이 1980년대 회원국들 간의 단일시장을 추구하고, 1990년대에 경제통화동맹(EMU)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지역정책의 역할이 더욱 강화되었고 관련된 기금의 규모가 4배 가까이 증가하게 되었다. 최근에는 중 동유럽국가로 회원국이 확장되면서 회원국들 간의 사회 경제적 격차가 더욱 확대되어 이의 해소를 위한 연합차원에서의 지역정책 역할이 그 어느 때 보다도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시점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 논문에서는 EU가 설립초기부터 지역간 불평등 문제들을 해소하기 위해 시행해 왔던 지역정책들의 내용과 배경, 발전과정 등을 검토해 본다.

대중교통 환승센터 입지선정 모형 연구 (A Model and Algorithm for Optimizing the Location of Transit Transfer Centers)

  • 유경상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25-133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카드 데이터를 이용하여 서울시의 대중교통 환승통행 현황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환승체계 효율화의 필요성을 살펴보았다. 특별히 환승효율성 제고를 위한 환승센터 건립 시 그 입지선정을 위한 수리모형을 이중구조모형으로 구축/제시하였다. 상위모형은 입지결정 모형으로 지역별 환승센터 개수 및 총건설비용 예산 제약하에서 총통행비용을 최소화하는 선형 0-1 정수모형이고, 하위 모형은 환승센터 입지 여부에 따른 사용자 평형 경로 선택 모형으로 구성된다. 모형의 해법으로 상위 및 하위 모형의 해를 순차적으로 구하는 방법을 제시하였고, 예제네트워크 적용을 통해 해법의 수렴성과 모형의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본 논문에서 구축된 모형과 해법을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최적의 환승센터 입지를 결정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실제 네트워크에 적용하기 위한 방법론을 검토한 결과 본 논문의 모형과 해법이 현실에서도 충분히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