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eer withdrawal intention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초

IT서비스 기술인력의 경력정체가 경력만족 및 경력변경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areer plateau on IT service engineers' career satisfaction and career withdrawal intention)

  • 박경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9권4호
    • /
    • pp.115-130
    • /
    • 2011
  • 본 연구는 IT서비스 기술인력의 경력정체(구조적 정체, 내용적 정체)가 경력만족 및 경력변경의 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161명의 IT서비스 기술인력으로 부터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구조적 정체와 내용적 정체는 각각 경력만족에 부의 유의한 상관을 갖고 있었다. 그리고 내용적 정체는 경력변경의도와 정의 유의한 상관을 갖고 있었으며, 구조적 정체는 이와 유의한 상관을 갖고 있지 않았다.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에 의한 상대적 영향력 분석 결과 구조적 정체 보다 내용적 정체가 경력만족 및 경력변경의도에 더 큰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IT서비스 기술인력의 경력정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벤처기업 구성원의 경력몰입과 직무태도간의 관계 및 조직지원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The Moderating Effects of Organization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Career Commitment and Job Attitudes)

  • 이기은;최규현
    • 산학경영연구
    • /
    • 제18권2호
    • /
    • pp.1-20
    • /
    • 2005
  • 벤처기업은 위험성이 큰 분야에서 활동하기 때문에 구성원들은 자신들의 경력에 많은 관심을 가질 수밖에 없으나 이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벤처기업 구성원의 경력몰입이 구성원의 행동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의 관계에서 조직지원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7개 벤처기업의 구성원으로부터 수거한 설문지 230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경력몰입은 구성원의 기술개발노력에는 긍정적인 방향으로, 경력변경의도와 이직의도에는 부(-)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쳤다. 조직지원의 조절효과는 경력몰입과 경력변경의도간의 관계 및 경력몰입과 이직의도간의 관계에서 나타났다.

  • PDF

임상간호사의 경력만족, 경력몰입 및 경력변경의도에 대한 구조모형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for Career Satisfaction, Career Commitment and Career Withdrawal Intention in Clinical Nurses)

  • 최현주
    • 임상간호연구
    • /
    • 제20권2호
    • /
    • pp.236-245
    • /
    • 2014
  • Purpose: Preventing frequent change and discontinuation of the nurses' carrier is one of major issues for human resource management in a health organization (HO). This study was conducted to get evidences for improvement nursing manpower management and career development of the clinical nurses through investigating affecting factors to their career withdrawal intention (CWI). Methods: A self-report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the subjects of the 590 clinical nurses with more than one year tenure from the eight hospitals in Busan city during December, 2013.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program (ver 20.0) and AMOS program (ver 20.0) for structural modeling. Results: Career satisfaction (CS) showed positive(+) effects, and increased with higher job adequacy (${\beta}=.139$, t=2.676, p=.007), job autonomy (${\beta}=.260$, t=4.815, p<.001), and career planning (${\beta}=.301$, t=5.797, p<.001). Career commitment (CC) showed positive(+) effects, and increased with higher job adequacy (${\beta}=.107$, t=2.280, p=.023), job autonomy (${\beta}=.257$, t=5.035, p<.001), career planning (${\beta}=.232$, t=4.717, p<.001), and career satisfaction (CS)(${\beta}=.123$, t=2.293, p=.022). CWI showed negative(-) effects and increased with lower CC (${\beta}=-.906$, t=-15.72, p<.001). Conclusion: Results indicate that CC and CS have important mediating roles between job adequacy, job autonomy, career planning and CWI. As CC directly influenced CWI, there is a need to strengthen CC to prevent frequent changes and discontinuation of nurses' careers and to contribute to productivity HO's.

사회복지사의 근로몰입 유형간 상호관계와 이탈의도에 미치는 효과 비교 (A study of interrelationships, and effects on withdrawal intention of social workers' commitment forms)

  • 강종수
    • 사회복지연구
    • /
    • 제37호
    • /
    • pp.267-294
    • /
    • 2008
  •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가 실천현장에서 경험하는 다양한 근로몰입의 유형 중 직무몰입 조직몰입 경력몰입 관계몰입간의 판별타당성을 확인하고, 이들 근로몰입 유형간의 상호관계 그리고 제시된 네 가지 근로몰입 유형이 이직의사와 경력변경의도라는 이탈의도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하고자 실시한 것으로, 부산 경남의 지역사회복지관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 417명에게 구조화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 제시한 사회복지사의 근로몰입 유형은 서로 구별되는 판별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해 몰입유형간의 상호관계를 분석한 결과 사회복지사가 직무에 몰입할수록 근무하는 조직과 사회복지전문직에 대한 경력 그리고 클라이언트와의 관계에 몰입하게 됨을 알 수 있다. 또한 몰입유형 중 직무몰입과 조직몰입 그리고 경력몰입은 이직의사에 그리고 경력몰입과 관계몰입은 경력변경의도에 각각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를 통해 조직관리 측면에서 조직몰입 외에 다양한 유형의 근로몰입이 존재함을 이해하고 동시에 여러 몰입유형을 높이기 위한 또는 개별적 몰입유형만을 높이기 위한 차별적 관리전략이 필요함을 제시한다.

간호사 경력개발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분석 (The analysis of trends in domestic research on career development of nurses)

  • 최현주;정귀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325-336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경력개발 관련 국내 연구의 최신 동향을 탐색하여 향후 간호 보건 분야에서 경력관련 논문의 이론적 접근과 실천적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시행하였다. 연구 대상은 2008년부터 2017년까지 10년간 국내 학술지에 실린 간호사 경력개발 관련 연구였다. 검색 데이터베이스 RISS 및 KISS등을 통해 검색어를 '간호', '간호사', '경력', '경력개발', '경력개발 프로그램', '경력관리'로 하여 검색된 논문 중 최종 29편의 논문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분석은 전체적인 동향분석을 위해 연도별, 출처별, 연구설계 및 대상자 별로 살펴보았고, 주제 별 경향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내용분석방법을 채택하였다. 내용분석 결과 상위 범주로 경력개발과 경력개발결과로 나뉘었고, 경력개발의 하위범주로 조직 경력관리, 개인경력관리 경력개발결과의 하위범주로 경력성과로 나뉘었다. 하위범주인 개인경력관리는 경력탐색, 경력계획, 경력정체, 경력단절로 구성되어 있었고, 조직경력관리는 CLS개발 및 적용, CLS 인식도 조사, 경력개발 모형구축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경력성과는 경력몰입, 조직몰입, 이직의도, CLS 적용 후 변화, 경력만족, 경력변경의도 순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그리고 가장 많이 다룬 주제는 경력성과 중 경력몰입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앞으로 경력개발 관련 간호연구의 방향성은 개인 차원과 조직차원의 욕구를 부합시킨 통합적인 연구가 필요하며, 또한 대상자, 연구설계와 연구주제에 있어서의 다양성이 요구된다.

연명의료의 중단 - 대법원 2009.5.21. 선고 2009다17417 판결과 관련하여 - (Legal Grounds for Withholding or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 석희태
    • 의료법학
    • /
    • 제10권1호
    • /
    • pp.263-305
    • /
    • 2009
  • Is it lawful to withhold or withdraw life-sustaining treatment applied to a patient in a terminal condition or permanent unconscious condition? In Korea, there are no such laws or regulations which control affairs related to the withholding or withdrawal life-support treatment and active euthanasia as the Natural Death Act or the Death with Dignity Act in the U. S. A. And in addition there has had no precedent of Supreme Court. Recently Supreme Court has pronounced a historical judgment on a terminal care case. The court allowed the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from a patient in a permanent unconscious state. Fundamentally the court judged that the continuation of that medical treatment would infringe dignity and value of a patient as a human being. And the court required some legal grounds to consider such withdrawal or withholding of medical care lawful. The legal grounds are as follow. First, the patient is in a incurable and irreversible condition and already entered a stage of death. Second, the patient executed a directive, in advance, directing the withholding or withdrawal of life-support treatment in a incurable and irreversible condition or in a terminal condition. Otherwise, at least, the patient's will would be presumed through his/her character, view of value, philosophy, religious faith and career etc. I regard if a patient is in a incurable and irreversible condition or in a terminal condition, the medical contract between a patient and a doctor would be terminated because of the actual impossibility of achievement of it's purpose. So I think the discontinuation of life-sustaining care would be legally allowed without depending on the patient's own will.

  • PDF

일 대학 치기공과 재학생의 중도탈락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Factors affecting the dropout intention in the dental technology students of D College)

  • 권순석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43-257
    • /
    • 2013
  • Purpos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 dropout intentions of the dental technology students of a college. Methods: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76 freshmen and 74 sophomores of dental technician major in an anonymous college. Results from the questionnaire called K-vision diagnosis program were computed by means of t-test, One-Way ANOVA, and correlation analysis. Results: 1. Total points of the drop out intention came to 782.14 points. Of the five categories concerned with the drop out intention, complain in college satisfaction(50.12points) was the highest and department satisfaction(47.51points) was the lowest. Of 16 subcategories, complaining in administrative supporting system proved the highest as 50.80 points and Inquiry to Professor the lowest(45.56 points). 2. Among the general characteristic gender (p<. 01), student group (p<.01), and credit (p<.05) made a meaningful statistical difference; no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found in grade, admission, and dwellings. 3. Of the five categories,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shown as follows; Department satisfaction (p<.01), College satisfaction (p<.05) under gender, Department satisfaction (p<.05) in grade, Academic integration (p<.01), Department satisfaction (p<.01) in credit. No statistical meaning was found in admission and dwellings. 4.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found under 16 subcategories as follows: Career identification(p<.01), Academic support system(p<.01), Social activity II(p<.05) in gender area, Inquiry to professor(p<.01), Learning(p<.05), Understanding learning I(p<.05) in grade area, Learning(p<.001), Career identification(p<.001), Understanding learning I(p<.01), Understanding learning II(p<.01), Inquiry to professor (p<.01), Learning ability (p<.05), Occupation (p<.05), Social Activity II(p<.05), Administrative support system (p<.05) in student group area, Credit (p<.001), Career identification (p<.01), Understanding learning I(p<.05) in credit area; admission and dwellings was statistically meaningless. 5. Of the 5 categories academic integration (r=.766) was most relevant to the dropout intention of the subjects and followed by department satisfaction (r=.735), college satisfaction (r=.554), service acceptability (r=.373), and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shown as p<.01. Conclusion: Consider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are in a pressing need for the introduction of policies and programmes aiming at preventing the dropout rates of the dental technician majors at college. In tandem with this, qualitative and viable human resource management of the dental technicians should be implemen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