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ensus

검색결과 585건 처리시간 0.024초

미국 센서스의 변화와 향후 전망: 2000년의 경험과 2010년의 계획을 중심으로 (Transformation and Future Prospect in the U.S. Census: Focusing on 2000 Census Experience and 2010 Census Plans)

  • 전광희
    • 한국인구학
    • /
    • 제31권2호
    • /
    • pp.101-132
    • /
    • 2008
  • 이 글은 1990년부터 진행된 미국의 인구센서스의 변화와 향후의 전망에 대해서 2000년의 경험과 2010년의 계획을 중심으로 논의한다. 먼저, 2000년 센서스의 준비과정에서 미국 과학원학술평의회 국가통계위원회가 작성한 2000년 센서스 개선안의 내용을 통계적 추정방법 도입, 응답률 개선방안, long form 개선방안, 소수민족 집계누락, 인구센서스 대체방안, 센서스 비실시 연도 소지역통계 확보방안, 센서스 프레임 정비 등으로 살펴보고, 1998년 대법원 판결 이후 2000년 센서스에서 통계적 추정방법을 이용한 미국판 One Number Census를 추진하지 못하게 된 경위를 검토한다. 다음은 2010년 인구센서스의 핵심적 특성의 하나인 long form과 short form의 분리, 곧 short form은 전통적 센서스, 곧 전수조사와 현장실사의 원칙을 준수하는 방식으로 그대로 두고, long form을 대체하여 순환센서스로 진행되는 American Community Survey에 대해서는 그 과정과 주요 특성을 검토한다. MAF/TIGER는 인구센서스의 집계과정에서 정확성을 향상 하고자 하는 또 하나의 특성으로, 이것은 2010년 센서스에서 모바일 컴퓨터를 도입하는 하이테크 센서스를 목표로 기획된 것이었다. 이 글은 미국 센서스에서 short form과 long form의 분리가 대법원 판결로 우연히 일어난 것이 아니라는 점을 강조하기는 하지만, 미국 센서스는 2008년 현재, 인구조사국의 모바일컴퓨터 개발실패로 60만 비정규직 조사원의 고용을 불가피하게 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로 말미암아 2010년 미국 센서스의 정확성에 대한 우려감이 증대하고 있음을 지적한다.

가우시안 잡음과 계산량을 고려한 하이브리드 센서스 변환 (Hybrid census transform considering gaussian noise and computational complexity)

  • 정성환;강성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8호
    • /
    • pp.3983-3991
    • /
    • 2013
  • 스테레오 매칭 중 센서스 변환은 방사 왜곡과 밝기 변화에 강한 특징이 있다. 본 논문은 미니 센서스 변환과 일반화된 센서스 변환을 동시에 이용한 하이브리드 센서스 변환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하이브리드 센서스 변환 방법은 미니 센서스 변환의 적은 계산량과 일반화된 센서스 변환의 잡음에 강인한 특성을 반영하여 설계되었다.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후처리 과정까지 포함하여 스테레오 매칭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하이브리드 센서스 변환은 일반화된 센서스 변환과 성능이 비슷하였고, 계산량은 미니 센서스 변환과 일반화된 센서스의 중간값을 갖는다.

어가실태조사를 통한 농림어업총조사의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of the Fisheries Census on Fisheries Households)

  • 차철표;신용민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5권2호
    • /
    • pp.458-477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fine the problems of the Fisheries Census of Korea and to make better policies for improvement. In order to complete the purpose, the research team has firstly conducted a survey in the six regions to reinvestigate the yes or no for accuracy of the primary data related to the Fisheries Census. Moreover, the team has defined the problems of the Fisheries Census through conducting a survey for the experts and users of the fisheries statistics. Also, the team has derived the short/long term improvement of Fisheries Census through out this survey. This study has proposed that the name of census should be changed from the Fisheries Census to the Fishing Industry Census, the owners of distribution & processing companies, and their employees should be included in order to figure out the total size of the fishing industry and to plan right policies. In addition, the right information can evaluate the long-term planning for the fishing industry. The proposals from this study require a lot of changes on the Fisheries Census; so, it is impossible to adopt the proposals right from the Fisheries Census of 2015. Therefore, the changes should be adopted from the next Fisheries Census.

어업조사통계의 품질진단과 개선에 관한 연구 (Quality Diagnosis and Improvement of Fisheries Census Statistic)

  • 표희동;김종천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2권4호
    • /
    • pp.553-565
    • /
    • 2010
  • The paper aims to evaluate the quality of fisheries census statistic and to provide some desirable directions and improvements for the future fisheries census, conducted by the Government. For the quality diagnosis of fisheries census statistic, specific processes of fisheries census and statistical qualities of each dimension are surveyed and evaluated by a Government's practician, two external examiners and a research group. Results show that census design, data analysis and quality control are evaluated relatively low in specific processes, and accessibility and comparability are evaluated relatively lower than relevance, accuracy, timeliness and consistency in statistical qualities. For minimizing the sampling errors, the probability proportion method should be employed in sampling methods from currently simple sampling method. In addition, fisheries census statistic is desirable to include and compare with those of different countries for consumer oriented data system.

캐나다의 도시권 획정 (Census Metropolitan Area/Census Agglomeration in Canada)

  • 변필성;김광익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261-272
    • /
    • 2006
  • 본고는 캐나다의 도시권 획정을 고찰하였다. 구체적으로 캐나다 통계청(Statistics Canada)이 센서스 연도마다 정의하는 Census Metropolitan Area/census Agglomeration(CMA/CA)에 초점을 맞추었다. CMA/CA의 획정은 도시지역의 공간적 정의를 위한 밀도접근, 토지이용 접근, 기능지역 접근 중에서 기능지역 접근에 근거한다. 그러나 CMA/CA는 그 획정과정에서 밀도접근 및 토지이용접근을 토대로 캐나다 통계청이 정의하는 등질지역으로서의 도시지역(Urban Area, UA)을 활용한다는 특성을 갖는다. 실제로 인구 10,000명 이상의 UA는 CMA/CA의 중심부가 된다. 캐나다의 CMA/CA 고찰을 통해, 본고는 우리나라 도시권 획정에 고려할만한 주요사항을 제시하였다.

  • PDF

인구주택총조사 대안 방법으로의 순환총조사 (Rolling Census as an Alternative to the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 김규성
    • 한국조사연구학회지:조사연구
    • /
    • 제10권2호
    • /
    • pp.97-114
    • /
    • 2009
  • 인구주택총조사는 국가기본통계조사로서의 중요성과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여러 가지 조사실행의 현실적인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다. 많은 조사비용과 수집되는 정보의 양의 감소, 그리고 긴 조사 주기 등이 현행 총조사에 제기되는 문제점들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전통적인 총조사의 대안의 하나로 순환총조사가 대두되었다. 순환총조사에서는 국가 전체를 여러 해에 걸쳐 조사하므로 조사결과를 자주 생산하여 시의성이 개선되고 조사비용을 균등 분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반면, 한 순간에 국가 전체를 조망하는 특성이 상실되고 현장조사에서 외부의 영향이 증가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이 논문에서는 순환총조사의 사례로 프랑스 순환총조사와 미국지역사회조사를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그리고 현행 총조사의 대안으로 순환총조사를 도입할 때 검토해야 하는 사항 중, 순환표본 선정, 모집단 갱신, 합성추정, 순환표본 실행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 PDF

선성김씨족보 소재 고려말 장적의 복원 (Restoration of the register of houses, inhabitants and their ancestry in the late Koryo period which is in the Sunsung Kim family registers)

  • 윤상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20권
    • /
    • pp.241-284
    • /
    • 1993
  • Through the restoration, we can find that the register of houses, inhabitants and their ancestry, which is in the Sunsung Kim family registers, was fundamentally the census register of Kim Roe including more ancestry transformed into the lists of house, inhabitants and their ancestry of Kim Roe, Kim Bang-Seek, Kim Sung-Sae and Kim Hee-Bo. And we can find also the original forms were considerably damaged. That is, in the course of transformation, considerable parts of the contents of ancestry were not needed, so they were removed, the recordings of brotherandsisters, sons and their servants were also removed. By comparing of the restored census register of Kim Roe and the Sunsung Kim family registers, we can know the fact that when they published the family registers, the contents of the founder to the ninth descendants were totally depended on the census register of Kim Roe. The Census Register of King Taejo of Choson Dynasty(National Treasure No. 131) which has been recorded almost same periods as the census register of Kim Roe was remained as an original state. Therefore, it was greatly helpful for restoring the census register of Kim Roe. There were few materials which we can know the way of ordinary life in Koryo period. But through the census register of Kim Roe and the census Register of King Taejo of Choson Dynasty, we have a glimpse of their life history. Nevertheless we can find some demerits in the census register of Kim Roe as followers : First, it is not an original but a transformed one, while the Census Register of King Taejo of Choson Dynasty is first materials. Second, it was recorded the only one family. Finally, it was omitted the parts of his brotherandsisters, children and servants who lived with their master. According to these demerits its worth of materials for history will be descended more or less. Therefore, when we use this material, we should treat it more considerably.

  • PDF

북한인구의 성 및 연령구조에 대한 재검토: 1994 인구센서스 자료를 중심으로 (Sex and Age Composition of the North Korean Population: An Evaluation of the 1994 North Korean Census Data)

  • 김두섭
    • 한국인구학
    • /
    • 제24권2호
    • /
    • pp.117-147
    • /
    • 2001
  • 이 연구는 북한의 1994년 인구센서스 자료에 나타난 성 및 연령구조를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우선 1994년 1월 남북분단 이후 최초로 실시된 북한 인구센서스의 배경과 특징을 설명하고, 아울러 가용한 자료들을 활용하여 북한인구의 추세와 현황을 개관하였다. 이 연구의 초점은 북한 인구센서스 자료의 성 및 연령구조와 관련된 몇 가지 문제를 제기하고, 이를 재검토하는 데 맞추어져 있다. 북한이 제공하고 있는 인구자료에는 16-25세 연령집단의 남녀 성비가 비정상적으로 낮게 나타나고 있다. 또한 총인구규모에 있어서도 연령별 인구합계와 지역별 인구합계가 다르게 기재되어 있다. 이 연구에서는 북한 인구센서스 자료에 나타난 성 및 연령구조의 특징과 정확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몇 가지 지수들이 작성되었으며, 이러한 작업을 토대로 북한인구의 성 및 연령별 분포를 재구성하여 수정인구를 추정하는 시도가 이루어졌다.

  • PDF

도시·환경분석을 위한 센서스와 수치지도의 통합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Census, Digital Maps, and GIS Applications of the Census Data for Urban and Environmental Analysis)

  • 구자문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39-51
    • /
    • 1998
  • 본 연구의 목적은 센서스자료를 수치지도와 결합하여 도시 환경분석에 활용하기 위하여 이들의 보완 및 활용에 대한 기초연구를 수행하는데 있다. 센서스자료의 보완을 위하여 가구소득과 주택가격을 조사항목에 첨가할 것과 미국의 PUMS와 같은 1~5%의 표본조사를 제안하였으며, 센서스 최소분석단위를 현재의 읍 면 동 단위에서 이를 5~10지역 정도로 세분화한 인구 5,000명 정도를 기준으로한 센서스트랙을 제안하였다. 수치지도의 빠른 제작과 원활한 활용을 위해서는 지자체들이 1:1000 혹은 1:1200 축척 수치지도들을 자체 제작하려고 노력하는 대신에 국립지리원 제작의 1:5000 축척의 수치지도를 기본도로 활용하여 재정상의 부담을 줄이면서 빠르게 TIGER File화 할 것을 제안하였다.

Imputation Methods for the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2000 in Korea

  • Kim, Young-Won;Ryu, Jeabok;Park, Jinwoo;Lee, Jaewon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제10권2호
    • /
    • pp.575-583
    • /
    • 2003
  • We proposed imputation strategies for the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2000 in Korea. The total area of floor space and marital status which have relatively high non-response rates in the Census are considered to develope the effective missing value imputation procedures. The Classification and Regression Tree(CART) is employed to construct the imputation cells for hot-deck imputation, as well as to predict missing value by model-based approach. We compare three imputation methods which include CART model-based imputation, hot-deck imputation based on CART and logical hot-deck imputation proposed by The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proposed hot-deck imputation based on CART is very efficient and strongly recommenda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