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positional representation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초

Efficient 3D Model based Face Representation and Recognition Algorithmusing Pixel-to-Vertex Map (PVM)

  • Jeong, Kang-Hun;Moon, Hyeon-Joon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5권1호
    • /
    • pp.228-246
    • /
    • 2011
  • A 3D model based approach for a face representation and recognition algorithm has been investigated as a robust solution for pose and illumination variation. Since a generative 3D face model consists of a large number of vertices, a 3D model based face recognition system is generally inefficient in computation time and complexity. In this paper, we propose a novel 3D face representation algorithm based on a pixel to vertex map (PVM) to optimize the number of vertices. We explore shape and texture coefficient vectors of the 3D model by fitting it to an input face using inverse compositional image alignment (ICIA) to evaluate face recognition performanc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face representation and recognition algorithm is efficient in computation time while maintaining reasonable accuracy.

Stack LSTM 기반 한국어 의존 파싱을 위한 음절과 형태소의 결합 단어 표상 방법 (Improving Stack LSTMs by Combining Syllables and Morphemes for Korean Dependency Parsing)

  • 나승훈;신종훈;김강일
    • 한국어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정보학회 2016년도 제28회 한글및한국어정보처리학술대회
    • /
    • pp.9-13
    • /
    • 2016
  • Stack LSTM기반 의존 파싱은 전이 기반 파싱에서 스택과 버퍼의 내용을 Stack LSTM으로 인코딩하여 이들을 조합하여 파서 상태 벡터(parser state representation)를 유도해 낸후 다음 전이 액션을 결정하는 방식이다. Stack LSTM기반 의존 파싱에서는 버퍼 초기화를 위해 단어 표상 (word representation) 방식이 중요한데, 한국어와 같이 형태적으로 복잡한 언어 (morphologically rich language)의 경우에는 무수히 많은 단어가 파생될 수 있어 이들 언어에 대해 단어 임베딩 벡터를 직접적으로 얻는 방식에는 한계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Stack LSTM 을 한국어 의존 파싱에 적용하기 위해 음절-태그과 형태소의 표상들을 결합 (hybrid)하여 단어 표상을 얻어내는 합성 방법을 제안한다. Sejong 테스트셋에서 실험 결과, 제안 단어표상 방법은 음절-태그 및 형태소를 이용한 방법을 더욱 개선시켜 UAS 93.65% (Rigid평가셋에서는 90.44%)의 우수한 성능을 보여주었다.

  • PDF

Stack LSTM 기반 한국어 의존 파싱을 위한 음절과 형태소의 결합 단어 표상 방법 (Improving Stack LSTMs by Combining Syllables and Morphemes for Korean Dependency Parsing)

  • 나승훈;신종훈;김강일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2016년도 제28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9-13
    • /
    • 2016
  • Stack LSTM기반 의존 파싱은 전이 기반 파싱에서 스택과 버퍼의 내용을 Stack LSTM으로 인코딩하여 이들을 조합하여 파서 상태 벡터(parser state representation)를 유도해 낸후 다음 전이 액션을 결정하는 방식이다. Stack LSTM기반 의존 파싱에서는 버퍼 초기화를 위해 단어 표상 (word representation) 방식이 중요한데, 한국어와 같이 형태적으로 복잡한 언어 (morphologically rich language)의 경우에는 무수히 많은 단어가 파생될 수 있어 이들 언어에 대해 단어 임베딩 벡터를 직접적으로 얻는 방식에는 한계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Stack LSTM 을 한국어 의존 파싱에 적용하기 위해 음절-태그과 형태소의 표상들을 결합 (hybrid)하여 단어 표상을 얻어내는 합성 방법을 제안한다. Sejong 테스트셋에서 실험 결과, 제안 단어 표상 방법은 음절-태그 및 형태소를 이용한 방법을 더욱 개선시켜 UAS 93.65% (Rigid평가셋에서는 90.44%)의 우수한 성능을 보여주었다.

  • PDF

리뷰에서의 고객의견의 다층적 지식표현 (Multilayer Knowledge Representation of Customer's Opinion in Reviews)

  • ;원광복;옥철영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2018년도 제30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652-657
    • /
    • 2018
  •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e-commerce, many customers can now express their opinion on various kinds of product at discussion groups, merchant sites, social networks, etc. Discerning a consensus opinion about a product sold online is difficult due to more and more reviews become available on the internet. Opinion Mining, also known as Sentiment analysis, is the task of automatically detecting and understanding the sentimental expressions about a product from customer textual reviews. Recently, researchers have proposed various approaches for evaluation in sentiment mining by applying several techniques for document, sentence and aspect level. Aspect-based sentiment analysis is getting widely interesting of researchers; however, more complex algorithms are needed to address this issue precisely with larger corpora. This paper introduces an approach of knowledge representation for the task of analyzing product aspect rating. We focus on how to form the nature of sentiment representation from textual opinion by utilizing the representation learning methods which include word embedding and compositional vector models. Our experiment is performed on a dataset of reviews from electronic domain and the obtained result show that the proposed system achieved outstanding methods in previous studies.

  • PDF

시맨틱 웹 서비스 기술을 위한 수행 온톨로지 (Competence Ontology for Semantic Web Services Description)

  • 오지훈;최병석;정영식;주수종;한성국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1B권4호
    • /
    • pp.457-464
    • /
    • 2004
  • DAML-S/OWL-S, WSMF 및 BPEL4WS와 같은 웹 서비스 기술방식은 웹 서비스의 기능적(functionality) 측면만을 표현하고 있기 때문에, 웹 서비스(Web Service)의 개념적, 의미적 기능을 표현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웹 서비스의 기능적 측면과 의미적 측면을 통합적으로 표현하기 위해서 수행 온톨로지(Competence Ontology)를 구축하여 웹 서비스를 기술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을 제시한다. 또한 시스템 내부적으로는 Data Mediator(D-Mediator)와 Control Mediator(C-Mediator)를 이용하여 서로 이질적인 서비스간의 상호연동 및 합성을 가능하게 한다.

Container 성질과 중력을 고려한 공간과 객체의 통합적 공간관계 표현 모델 (A Comprehensive Representation Model for Spatial Relations among Regions and Physical Objects considering Property of Container and Gravity)

  • 박종희;임영재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7권3호
    • /
    • pp.194-204
    • /
    • 2010
  • 실세계의 공간이나 이에 대응되는 가상세계의 공간은 공간의 일부인 지역(region)들과 그것들을 차지하고 있는 물리적 객체(physical object)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공간 구성요소들간의 공간관계의 표현의 실제와의 부합성과 다양성은 이러한 공간에서 활동하는 에이전트의 공간관계 추론이나 이벤트(event)의 전개의 사설성과 정교함의 바탕이 된다. GIS나 AI 분야에서 연구되고 있는 기존의 공간관계 모델들은 객체의 규모에 따라 이원화된 영역에 적절한 모델들이거나 제한된 위상관계만 표현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지역과 객체를 가진 일반적 공간의 통합적 표현에는 부적합하다. 본 연구에서 개발될 공간표현 모델은, 첫째 대규모 공간과 소규모 공간 관계에 통합적으로 적용가능한 계층구조를 바탕으로 구성한다. 둘째, 소규모 객체들간에도 disjoint나 touch와 같이 제한된 위상 공간관계(topological relations)만이 아닌 접촉관계와 구성요소객체들의 조합을 바탕으로 하여 충분히 다양한 공간관계를 표현할 수 있도록 세분화한다. 셋째, solid object에 대비되는 container성질을 추가하고 중력 방향을 고려하여 공간관계를 추가로 다양화한다. 본 연구의 결과인 중력의 영향을 고려한 통합적 공간관계 모델은 컴퓨터상에서 실세계와 유사한 복잡한 가상공간을 공간적 사건들과 연관지어 정밀하게 시뮬레이션할 수 있게 하고 가상공간에서 에이전트들이 행동을 할 때 공간적 측면의 상황판단을 할 수 있도록 가상공간에 대한 에이전트들의 공간적 지식을 표현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Mario Botta 주거 건축의 특성 분석 (An Analysis of Mario Botta's residential design)

  • 조희라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2권4호
    • /
    • pp.195-203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Mario Botta's residential design. The characteristics of Mario Botta's residential design are following as : 1. The residential design of Mario Botta planed from 1960' to 1970's is based on the style composition method of modern design, specially by the influence of Le Corbusier and Louis I. Kahn. Botta's residential design of the 1980's is generally affected by A. Palladio, and is characterized as the representation of classic standard. The residential design of the 1980's shows the establishment level of Mario Botta's residential design, and produces particular Botta's facade. 2. The characteristics of Mario Botta's spatial composition on residential design could be implicated by the spatial distribution of each floor which is divided by three floors, simple and primitive volume which has a symmetry, opening through the massive elimination n the center of front, double skin, the contrast between void and solid, and the inflow of light through the top-light. 3. Most Botta's residential designs have Loggia in the center of facade working as a buffer space which joins outside and inside space together. They also lead the spatial continuous flow. The inside space is combined by the light coming through top-light and vertical opening. 4. They have high accomplishment in complicating details. They show the outside design of a horizontal belt according to the module of concrete block and the decorated design using compositional materials such as an unevenness piled up askew concrete block .

  • PDF

인스타그램에 나타난 멀티 페르소나 패션이미지에 관한 연구 - "부캐"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multi-persona fashion images in Instagram - Focusing on the case of "secondary-characters" -)

  • 김종선
    • 복식문화연구
    • /
    • 제29권4호
    • /
    • pp.603-615
    • /
    • 2021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emantic network structure of keywords and the visual composition of images extracted from Instagram in relation to the multi-persona phenomenon with in fashion imagery, which has recently been attracting attention. To this end, the concept of a 'secondary character', which forms a separate identity from a 'main character' on various social media platforms as well as on the airwaves, was considered as the spread of multi-persona and #SecondaryCharacter on Instagram was investigated. 3,801 keywords were collected after crawling the data using Python and morphological analysis was undertaken using KoNLP. The semantic network structure was then examined by conducting a CONCOR analysis using UCINET and Netdraw to determine the top 50 keywords. The results were then classified into a total of 6 clusters. In accordance with the meaning and context of the keywords included in each cluster, group names were assigned : virtual characters, relationship with the main character, hobbies, daily record, N-job person, media and marketing. Image analysis considered the technical, compositional, and social styles of the media based on Gillian Rose's visual analysis method. The results determined that Instagram uses fashion images that virtualize one's face to produce multi-persona representation s that show various occupations, describe different types of hobbies, and depict situations pertaining to various social roles.

현대 남성 스커트의 성별이미지에 따른 디자인 특성과 남성적 이미지의 확장 (Design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Male Skirt and Expansion of the Masculine Image)

  • 류림정;이지현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327-340
    • /
    • 2015
  • Male skirt is found in traditional costumes all over the world. Due to the development of tailoring skills in the early Middle ages, men started wearing breeches and pantaloons gradually distinguishing the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menswear and womenswear. Since then, skirt became the strong representation of the female gender, symbolizing the feminism. However, under the influences of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diversification in 2000s, gender identity has been diversely expressed in modern fashion allowing male gender to embrace different sexual identitie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nature of male skirts, which have been popularized in modern men's fashion through both the expressional elements and compositional elements. This study associates design elements of male skirt, gradually appearing in the contemporary men's fashion with the sexual symbolism and reinterpreted it's significance in the flow of the modern fashion. Reinterpretation of the gender image in costumes are considered to contribute to the cultural context and extension in diversity. These research results forms a basic foundation to expand in studies of men's fashion design and gender image of costumes through cultural contexts and it's changes. It is considered that this can lay groundwork to make various attempts at passing over the archetype of the gender image besides the continuous appearance of male skirt in the field of fashion design.

자연물을 모티브로 활용한 정보디자인의 시각화 기법 (The Visual Representation Methods based on natural objects in Information Design)

  • 정현정;류시천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3권2호
    • /
    • pp.20-28
    • /
    • 2014
  • 정보디자인에서 중요하게 다루고 있는 정보의 생성, 전달, 처리하는 문제는 인류의 발전 과정과 함께 진화해오고 있다 현대에는 빅데이터 등과 같이 방대하고 복잡하며 인위적인 형태의 정보가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이 같은 정보를 어떻게 효과적으로 디자인 할 수 있는지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는 방대하고 복잡한 정보를 사용자가 쉽게 지각하고 인지 할 수 있도록하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서 자연물을 모티브로 한 시각화 기법에 관해 탐구하였다. 예로부터 자연은 인간의 많은 조형 활동에 영향을 주고 있다. 또한 자연물은 시각적으로 최적화된 형상을 지니며 제품디자인, 건축디자인 등과 같은 다양한 디자인분야에서 디자이너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영감과 감성을 제공한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를 통해 자연 물을 정보디자인에서 활용하기 위한 원리로서 '자연물의 구조적 원리'와 '자연물에 대한 관찰 및 분석 원리'를 제안하였다. 또한 이러한 2가지 원리를 정보디자인의 '시각적 재현요소'와 연결시켜서 자연 물을 모티브로 한 정보디자인 연구모형을 제시하였고 사례연구를 통해 그 가능성을 탐색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