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ration

검색결과 192건 처리시간 0.035초

특화도서관의 큐레이션 서비스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uration Services of Specialized Library)

  • 곽우정;노영희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53-75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특화도서관의 정책 현황을 살펴보고, 도서관계 및 유사기관, 포털 및 미디어기업의 큐레이션 서비스 현황을 분석하여 특화도서관의 큐레이션 서비스 제공 정책 방향을 제안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다양한 큐레이터 참여를 통해 큐레이션 정보를 수집 선별하고, 주기적으로 큐레이션 정보를 웹사이트 및 온라인 게이트웨이를 업데이트함으로써 소장 장서에 대한 인식을 확대하고 이용을 극대화한다. 둘째, 연구지원서비스, 1:1 맞춤형 큐레이션 서비스, 북 큐레이션 등 특화도서관의 큐레이션 서비스의 범위를 다양화한다. 셋째, 특화 주제와 관련하여 디지털 큐레이션 서비스를 구축한다. 넷째, 내부에 비콘을 설치하고 정보 전달 매체에서 받은 정보를 기반으로 이용자의 움직이는 동선과 공간에 머무르는 시간 등과 같은 데이터를 통해 개인화된 이용자 서비스를 제공한다.

도서관에서 큐레이션 서비스에 대한 이해: 참고서비스의 혁신인가? 진화인가? (Understanding the Curation Service in Libraries: Is it a Revolution or an Evolution of Reference Service?)

  • Ranasinghe, W.M. Tharanga Dilruk;Chung, Jun Min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215-235
    • /
    • 2019
  • 박물관과 미술관에서 유래된 것으로 잘 알려진 큐레이션은 오늘날 큐레이션 커머스에서 큐레이션 데이터베이스까지 다양한 다른 분야에서 널리 적용되고 있다. 도서관도 데이터 큐레이션, 디지털 큐레이션, 콘텐츠 큐레이션, 북 큐레이션, 소셜 큐레이션 등 다양한 형태의 큐레이션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큐레이션 서비스와 도서관 서비스의 관계는 적절히 연구되지 않았다. 본 논문의 목적은 큐레이션 서비스와 도서관 서비스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두 서비스의 이질감을 해소하는 것이다. 특히 이 논문은 큐레이션 서비스와 도서관 참고서비스의 관계에 주목한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광범위한 문헌 검토와 몇 가지 실제 사례를 살펴 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21세기 도서관 참고서비스가 직면한 과제와 큐레이션의 적용가능성, 두 개념의 유래와 의미를 분석하고 비교해보았다. 그 결과, 본 논문은 큐레이션이 도서관의 새로운 개념이 아니라 변화하는 정보환경과 이용자 요구에 대응한 도서관 참고서비스의 자연스러운 진화라고 제안한다. 게다가 도서관은 디지털 시대의 정보 환경의 변화 및 이용자 기대 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큐레이션 서비스를 혁명으로 생각하지 않고 도서관 참고서비스의 자연스러운 진화임을 인식해야 한다고 결론짓고 있다.

패션 큐레이션 서비스 이용자의 쇼핑성향, 이용동기 및 선호 이미지 유형이 패션제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Impacts of Fashion Curation Users' Shopping Orientation, Usage Motives and Preferred Image Types on Fashion Product Purchase Intentions)

  • 김지우;정혜정;김영삼;오경화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796-808
    • /
    • 2017
  • This research shows how fashion curation service consumers (both fashion and image consultants) reveal different aspects towards a preferred image type among the correlation of fashion curation service usage motivation and fashion shopping propensity. These preferences also included the purchase intentions for fashion display service products. This study surveyed 300 men and women between the ages of 20-30 who were the main consumers of fashion curation services. 'Convenience, fashion trend, and exploratory' increased purchase intentions for fashion shopping propensity, 'information search for utility, entertainment, and personal expression' increased purchase intentions for fashion curation services and 'brand identity, consumer lifestyle, and product information' increased factors for the fashion curation service preferred image type. Consumer preferences varied according to different fashion curation service image type; however, all consumer group syndicated a difference in fashion curation service actions. For instance, fashion curation service consumers preferred a consumer lifestyle image, convenience, hedonic shopping orientation, and personal expression motivation had a positive influence on product purchase intention. However, the shopping orientation of 'fashion trend, practical information exploration, and entertainment motivation' had an optimistic influence on product purchase intentions for fashion curation service consumers who preferred a brand identity image and a product information image.

학교도서관 북큐레이션 운영에 대한 사서의 인식조사 연구 - 부산지역 초등학교 도서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Librarians on the Operation of School Library Book Curation: Focused on Elementary School Libraries in Busan)

  • 김미나;강은영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5-31
    • /
    • 2022
  • 이 연구는 부산지역 초등학교 도서관의 북큐레이션 운영에 대한 사서의 인식을 조사하여 분석한 다음, 학교도서관에서의 북큐레이션 활성화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2021년 기준 국가도서관통계시스템의 학교도서관 현황을 활용하여 부산지역 304개 학교도서관 목록을 확보하여 사서가 배치되어 있는 121개 학교도서관을 선정한 다음 설문조사에 참여하기로 한 83개관을 최종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북큐레이션 운영현황과 사서와 사서교사의 인식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도서관 북큐레이션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1) 북큐레이션에 대한 전문화된 교육의 확대와 제공, 2) 학교도서관 북큐레이션 운영에 관한 자료의 개발과 보급, 3) 북큐레이션에 대한 역량강화를 위한 사서들의 지속적인 노력, 4) 학교도서관 사서 간의 협력과 정보 공유 등을 제안하였다.

활동이론을 중심으로 한 연구데이터 큐레이션 개념 모델 제안 (Proposal of a Conceptual Model for Research Data Curation based on Activity Theory)

  • 한나은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4권1호
    • /
    • pp.167-190
    • /
    • 2023
  • 본 연구는 활동이론을 이론적 틀로 활용하여 연구데이터 큐레이션 모델을 분석한 문헌 연구로, 활동이론에서 사용하는 활동의 구성 요소들을 바탕으로 여러 연구데이터 큐레이션 모델을 분석했을 뿐만 아니라 연구데이터 큐레이션 활동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도서관계에서 논의가 필요한 현안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를 기반으로 새로운 연구데이터 큐레이션 개념 모델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에 제안된 5개의 디지털 큐레이션 생애주기모델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분석하고 각각의 모델에서 산발적으로 제시되는 활동요인들을 분석하여 공통요인을 추출하고 새로운 모델로 통합하여 새로운 연구데이터 큐레이션 개념 모델을 제안하였다. 또한, 도서관 및 리포지토리에서 연구데이터 큐레이션 활동을 수행함에 있어서 고려해야 할 6가지의 현안들을 분석하고 논의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되는 연구데이터 큐레이션 개념 모델은 총 10단계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활동의 단계에서 고려해야 할 실천적 문제와 모순을 포함하고 있다.

초등학교 학교도서관의 북 큐레이션 운영 현황 연구 (A Study on the Operation of Book Curation in Elementary School Library)

  • 곽순임;오의경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4호
    • /
    • pp.415-422
    • /
    • 2023
  • 이 연구의 목적은 사서교사를 대상으로, 북 큐레이션의 현황, 북 큐레이션의 필요성과 효과성에 대한 인식 태도를 조사하여 향후 북 큐레이션 서비스의 개선 방안을 논의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51명의 경기 지역 사서교사를 대상으로 북 큐레이션의 운영 현황을 설문형식으로 조사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응답자의 86.3%가 북 큐레이션 운영 경험을 가지고 있었고, 둘째, 북 큐레이션 서비스를 하는 가장 중요한 이유는 학생들에게 다양한 주제의 자원을 소개하기 위한 것이었으며, 셋째, 북 큐레이션의 주제는 도서 관련 행사와 사회적 이슈를 반영하여 선정하며, 넷째, 사서교사들은 북큐레이션에 대한 교육을 받지 않고 서비스를 수행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마지막으로, 북 큐레이션 서비스가 필요하다는 인식은 높지만 공간과 예산의 부족 등으로 운영상 어려움을 겪고 있다.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는 이 연구가 북 큐레이션의 실제를 보고하는 데이터로 학술적 기여가 있으며, 도서관의 자원이 사장되지 않고 이용자와 적극적으로 매칭되기 위하여, 사서교사의 전문적 교육, 교육과정과의 연계 등이 필요하며, 향후 연구는 선행연구들에서 공통적으로 제기된 문제를 제거할 수 있어야 한다고 제언하였다.

A Study on the Effect of Service Quality, Consumer Empathy and Shopping Value on Curation Commerce Satisfaction

  • KANG, Min-Jung
    • 유통과학연구
    • /
    • 제18권6호
    • /
    • pp.5-14
    • /
    • 2020
  • Purpose: This study was based on curation commerce that has been rapidly developing. It looked into the effect of curation commerce's quality of service factors (information quality, information interest quality, interaction quality, and personalization quality) on satisfaction and the mediating effect of consumer empathy and shopping value between service qualities and consumers' satisfaction with curation commerce.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e survey was conducted on 273 consumers who used Chinese curation commerce services. The research data was analyzed using the Smart PLS 3.0 program. The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with reliability and validity analyses of the questionnaire and hypothesis test. Results: As a result, only the quality of information had a direct impact on satisfaction. The remaining service quaility factors (information interest quality, interaction quality, and personalization quality) were found to affect satisfaction through utilitarian value or consumer empathy. Conclus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elected the service quality factors experienced by consumers about curation commerce services in line with the bright market prospects of curation services. In addit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was to reveal the psychological mechanism of the process in which the quality of service reaches consumer satisfaction.

The Effect of Cosmetics Curation Service Quality Attributes on Consumer's Intention to Use

  • Heo, Sungmin;Choi, Woosuk
    • 패션비즈니스
    • /
    • 제22권6호
    • /
    • pp.70-82
    • /
    • 2018
  • In modern society, the means of sharing information has expanded from existing personal computers and mobile devices to a variety of smart devices rapidly increasing information production. Recently, curations have extended to online businesses. There has been wide use of curation services in the cosmetics curation market. In this study, focuses on factors which cosmetics curators have in mind. In relation to the impact of cosmetics curation quality properties on usability, the effects of the medium of satisfaction and confidence are to be verified. For this study, a survey of 378 women in their 20s and 40s who had experience with curations was done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3.0 and AMOS 23.0 statistics programs. The results showed that information quality and personalization quality of cosmetics curation service were important factors affecting customer satisfaction. Personalization quality also had a positive effect on trust. System quality has a positive impact on trust and further influence on intention to use. This indicates that the trust on the curation service depends on the stability of system. However, design quality was found to have no significant effect on satisfaction and trust. In future, the research related to application and utilization of big data-based cosmetic curation will be further expanded.

연구·학습 지원을 위한 대학도서관의 콘텐츠 큐레이션 전략 (Content Curation Strategies of University Libraries for Research and Learning Support)

  • 오선혜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3권3호
    • /
    • pp.287-314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이용자의 학습과 연구를 지원하기 위한 대학도서관의 콘텐츠 큐레이션 전략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으로 먼저 문헌연구를 통해 콘텐츠 큐레이션의 개념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후 대학도서관과 국가도서관, 콘텐츠 기업 등의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 현황과 사례를 분석하여 시사점을 발견하였다. 연구의 결과, 대학도서관의 성공적인 콘텐츠 큐레이션을 위한 전략으로 양질의 콘텐츠 제공, 선제적 정보서비스 역할 수행, 콘텐츠의 최신성 확보, 이용자 참여를 통한 상호작용성 확보, 개인화 알고리즘 개발의 다섯 가지로 제안하였다.

전문도서관의 디지털 큐레이션 프로세스 분석 (An Analysis on Digital Curation Process in Special Libraries)

  • 서은경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247-271
    • /
    • 2017
  • 현재와 장래에 이용될 신뢰할 수 있는 디지털 정보를 유지하고, 가치를 부여하는 디지털 큐레이션은 전문도서관에서의 중요한 업무로 인지되기 시작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디지털정보 환경 하에서 전문도서관이 수행하고 있는 디지털 큐레이션 업무에 대한 전반적인 실태조사와 현재 전문도서관에서 수행되는 큐레이션 업무 수준 및 전문도서관 사서가 인지하는 큐레이션 업무의 중요도 정도를 파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먼저 디지털 큐레이션 프로세스를 대표할 수 있는 활동범주와 이에 해당되는 세부업무를 도출한 후, 이에 대한 전문도서관의 수행정도와 중요정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첫째, 전문도서관의 디지털 큐레이션 활동은 전반적으로 미흡하였고 이에 대한 중요도 인식도 그다지 높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전문도서관 사서들이 기관으로부터 지원을 받지 못하는 어려움을 겪고 있고 내부적으로는 장기적인 정책 및 업무절차를 수립하지 못하여 체계적인 디지털 큐레이션을 못하고 있으며, 셋째, 사서들은 여전히 도서관의 전통적인 업무 사이클인 정보조직-소장-이용을 중요시 여기고 이 업무들을 중심으로 하여 디지털 큐레이션 활동을 수행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새로운 개념으로 새로운 실무와 기술을 익혀야 수행할 수 있는 디지털 보존에 대한 중요도 인지와 이와 관련된 기술적 역량을 확장시키는 노력이 요구됨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