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rling

검색결과 120건 처리시간 0.026초

MDP에 의한 컬링 전략 선정 (Markov Decision Process for Curling Strategies)

  • 배기욱;박동현;김동현;신하용
    • 대한산업공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65-72
    • /
    • 2016
  • Curling is compared to the Chess because of variety and importance of strategies. For winning the Curling game, selecting optimal strategies at decision making points are important. However, there is lack of research on optimal strategies for Curling. 'Aggressive' and 'Conservative' strategies are common strategies of Curling; nevertheless, even those two strategies have never been studied before. In this study, Markov Decision Process would be applied for Curling strategy analysis. Those two strategies are defined as actions of Markov Decision Process. By solving the model, the optimal strategy could be found at any in-game states.

주차장 무근콘크리트 컬링에 관한 실험적 연구 (Prediction of Drying Shrinkage behavior of Half PC Slab)

  • 서태석;최훈제;공민호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7년도 추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88-89
    • /
    • 2017
  • Curling is caused by the shrinkage difference between surface and bottom side of concrete, and the cracks can be occurred by vehicle load after curling. It is important to investigate and predict the curling behavior to minimize the quality defect of concrete due to the curling. Therefore, the experimental and analytical investigation was carried out.

  • PDF

환경하중에 의한 장스팬 콘크리트 포장 슬래브의 컬링 거동 특성 분석 (Curling Behavior of Long-Span Concrete Pavement Slab under Environmental Loads)

  • 김성민;심재수;박희범;윤동주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1권3호
    • /
    • pp.151-161
    • /
    • 2009
  • 본 연구는 장스팬 콘크리트 포장 슬래브가 환경하중을 받아 컬링 거동을 할 때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먼저 장스팬 포장 슬래브의 유한요소해석 모델을 구성하여 컬링 시 응력분포 특성 및 슬래브 길이, 두께, 하부지지층 강성, 슬래브 단부 구속 등이 컬링 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실제 시공된 장스팬 포장 슬래브를 이용하여 현장에서 환경하중에 의한 거동을 측정함으로써 컬링 거동 특성을 실험적으로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장스팬 포장 슬래브는 단부에서 부터 슬래브 중앙을 따라 어느 정도 안쪽으로 들어오면 컬링에 의한 수직변위가 발생하지 않으며 응력은 이곳에서부터 일정하게 최대치를 보이게 된다. 장스팬 포장 슬래브의 길이 및 하부지지층의 강성은 최대 컬링 응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슬래브 단부의 구속은 컬링 응력이 단부까지 발생하게 하지만 최대 컬링 응력의 크기에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 PDF

안드로이드 기반의 컬링 게임 개발 (Development of Curling Game based on Android Mobile Platform)

  • 조재현;고세환;김연희;임해철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6권3호
    • /
    • pp.169-177
    • /
    • 2010
  • As expectations about success of smart phones that install Android, an open mobile platform which was developed by Google, are increasing, the development of applications based on the Android has attracted a lot of interest. Especially, game applications have been well received by users. In this paper, we develop an application based on the Android for curling which was adopted as a competitive sport in the Winter Olympic Games. Curling is a sport game played by two teams. The rules of the game are simple, but it is an intelligent one that requires various strategies for victory. In this paper, the curling game based on the Android provides functions, such as pitching, sweeping, collision, and foul handling, that are required in real curling game by using technologies, such as touch screen or accelerometer sensor.

국가대표 컬링 대표팀 지원을 위한 컬링 패드 성능 시험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 curling pad performance test system to support Korea curling team)

  • 김태완;이상철;길세기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10호
    • /
    • pp.25-30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국가대표 컬링(curling) 선수들이 사용하는 컬링 패드(pad)의 성능을 평가 할 수 있는 시험 장비를 개발 하였다. 개발된 장비는 얼음을 생성 할 수 있는 수조, 수조에서 생성된 얼음 표면에 패드를 밀착시켜 스위핑(sweeping, 패드 왕복 운동)을 수행 할 수 있는 패드 구동 장치 및 얼음 속 온도를 측정 할 수 있는 측정 장치로 구성되었다. 수조와 구동 장치는 챔버(chamber) 형태의 구조물 내부에 설치하여, 챔버 내부 공기의 온도와 습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제작 하였다. 개발된 시스템을 이용하여 8종의 컬링 패드에 대하여 스위핑 수행 시 얼음 속 온도 변화를 관찰한 결과, 컬링 패드에 따라 서로 다른 온도 변화가 관찰되었다. 실험을 통하여 관찰된 얼음 온도 상승이 빠른 패드와 선수들이 선호하는 패드가 일치하여, 연구에서 수행한 컬링 패드 스위핑에 의한 얼음 온도 변화를 측정하는 시험방법이 패드의 성능을 가늠하는 유효한 방법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지반위에 놓인 콘크리트 슬래브의 온도하중 하의 컬링 거동 및 하부층 영향 실험적 분석 (Experimental Analysis of Curling Behavior of Concrete Slabs on Grade under Temperature Loading and Underlying Layers' Effects)

  • 김성민;박희범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0권4호
    • /
    • pp.171-180
    • /
    • 2008
  • 본 연구는 지반위에 놓여진 콘크리트 슬래브가 온도하중을 받아서 컬링할 때의 거동을 실내 실험을 통해 분석하고 슬래브를 지지하고 있는 하부층의 구성이 슬래브의 컬링 거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실험을 위해 콘크리트슬래브를 제작하고 온도측정센서를 장착하였으며 인위로 온도하중을 가하며 슬래브의 여러 위치에서 변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하부층은 두 가지의 관점을 고려하여 구성하였으며, 첫째는 단일 하부층을 이용하여 재료와 두께를 달리하여 지지력을 다르게 하는 경우이며, 둘째는 하부층을 복층으로 구성하되 복합지지력은 일정하나 슬래브와 직접 접촉하는 상위하부층의 재료성질을 다르게 하는 경우이다. 실험결과 시간에 따른 슬래브의 수직 변위 변화는 온도구배의 변화와 거의 일치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컬링 거동의 특성을 컬업 구간과 컬다운 구간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하부층의 지지력은 커질수록 슬래브의 중앙과 코너의 수직 변위 차이는 감소하게 되며 최상위 하부충의 재료 성질이 컬링 거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연단거리를 변수로 갖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STS201) 일면전단 볼트접합부의 최대내력에 관한 해석연구 (Analysis Study on Ultimate Strength of Single-shear Bolted Connections with Austenitic Stainless Steel(STS201) with Varied End and Edge distances)

  • 차은영;황보경;이후창;김태수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1권5호
    • /
    • pp.1-11
    • /
    • 2017
  • This study focused on the ultimate behaviors(ultimate strength and fracture mode ) of single shear bolted connection with austenitic sainless steel(STS201) and curling effect on the ultimate strength using finite element analysis based on test results. Main variables are end distance in the parallel direction to loading and edge distance in the perpendicular direction to loading. The validation of finite element analysis procedures was verified through the comparisons of ultimate strength, fracture mode and curling(out-of-plane deformation) occurrence between test results and numerical predictions. Curling was observed in both test and analysis results and it reduced the ultimate strength of single- shear bolted connections with relatively long end distances. Strength reduction ratios caused by curling were estimated quantitatively by maximum 19%, 32%, respectively for specimens with edge distance, 48 mm and 60 mm compared with strengths of uncurled connections with restrained out-of-plane deformation. Finally, analysis strengths were compared with current design strengths and it is found that design block shear equations did not provide the accurate predictions for bolted connections with strength reduction by curling.

휠체어 컬링 샷 정확도 향상을 위한 훈련장비 개발 (Development of Shot Accuracy Trainer for Wheelchair Curling)

  • 길세기;이현빈;김태완;이상철;황종학;심현민;한영환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377-383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휠체어 컬링 샷정확도 향상을 위한 압박형 훈련장비를 제안하였다. 제안된 장비는 가이드폭 조절을 퉁해 샷의 좌 우정확도 향상을 위한 심리적 압박을 제공하고, 레이저디스턴스 모듈 세트를 통해 샷의 강도 정확도 향상을 제공함으로써 종합적인 샷의 정확도 향상을 꾀할 수 있으며, 샷 진행영상 피드백을 통해 현장에서의 즉각적인 경기력 분석을 지원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휠체어 컬링 대표팀 코칭스태프, 협회관계자, 아이스메이커 등과의 파일럿 시험을 수행하고 의견을 청취한 결과, 종합적인 샷 정확도 훈련, 심리적 압박, 경기력 분석에서의 개발장비의 유용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지하주차장 무근콘크리트 컬링제어를 위한 연구 (Study for Curling Control of Plain Concrete in Underground Parking Lot)

  • 서태석;최훈제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43-249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건축구조물의 지하주차장 무근콘크리트의 컬링제어를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국내의 경우, 지하주차장 무근콘크리트의 수축균열을 제어하기 위해 섬유보강제가 사용되고 있지만, 수축균열과 컬링변형 제어에는 큰 도움이 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므로, 수축균열과 컬링 변형을 최소화하는 방안으로 수축저감제 (Shrinkage Reducing Agent: 글리콜 기반의 수축저감제, 이하 SRA)를 사용하였다. 또한 정량적인 컬링제어를 위하여 무근콘크리트를 켄티레버 보로 가정하여 처짐이론을 적용한 간이예측기술을 제안하였으며, 실측값과 비교하여 컬링변형 예측의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SRA 1.0% 콘크리트가 SRA 0.0% 콘크리트보다 컬링 변형이 30% 정도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전반적으로 켄틸레버 보의 처짐이론으로 무근 콘크리트의 컬링변형을 예측하는 것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