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ata Literacy

검색결과 577건 처리시간 0.023초

인문학 기반 데이터 리터러시 개념에 대한 연구 (A Study about the Concept of Data Literacy based on Digital Humanities)

  • 한상우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223-236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문헌정보학 중심의 인문학 기반 데이터 리터러시 개념과 세부 역량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내외 데이터, 정보, 디지털 리터러시 등의 관련 연구를 비교 분석하여 데이터 리터러시의 개념을 정의하고, 인문학 관련 개념으로 디지털 인문학 주요 개념을 연계하여 11개 항목의 인문학 기반 데이터 리터러시의 기본 요소를 설계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데이터 리터러시 프레임워크 설계의 기초자료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인문학 기반 데이터 리터러시 모형 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sign of Data Literacy Model Based on Digital Humanities)

  • 한상우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79-195
    • /
    • 2020
  • 데이터의 중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최근 데이터 리터러시가 중요한 개념으로 등장하였다. 본 연구는 인문학 기반 데이터 리터러시 모형을 설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데이터 리터러시 관련 연구를 분석하여 도출한 데이터 리터러시 세부 역량과 디지털 인문학 교육 프로그램의 주요 내용을 분석하여 인문학의 주요한 교육 내용을 결합하여 데이터 리터러시 모형을 설계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인 데이터 리터러시 모형을 적용하여 대학에서 데이터 리터러시 교과 운영시 적용이 가능할 것이며, 향후 데이터 리터러시의 효과성을 평가하는 후속연구를 제안하고자 한다.

데이터 리터러시 개념에 대한 재접근 및 도서관 정보서비스에의 적용 (Re-approach to the Concept of Data Literacy and Its Application to Library Information Services)

  • 이정미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3권1호
    • /
    • pp.159-179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데이터 리터러시라는 개념에 대한 재접근을 시도하는 연구로 개념에 대한 정리와 함께 여타 다른 리터러시와의 차이점은 무엇이고, 도서관 정보서비스에 데이터 리터러시를 활용하는 이유와 방법은 무엇인가에 대한 해답을 도출하고자 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데이터 리터러시는 다른 리터러시 개념들과의 상호작용에 있어 가장 중심적인 역할을 하는, 미래사회 인류가 살아가는데 필수적인 데이터기반 문제해결능력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러한 개념정의를 바탕으로 도서관 정보서비스에 데이터 리터러시를 적용할 때 교육 서비스와 연구지원 서비스 측면 모두에 활용을 제안하였으며 각각의 구체적 서비스안을 제시하였다. 결과적으로 데이터 기반 사회에 이용자에게 필요한 데이터 활용 능력을 데이터 리터러시로 규정하고 여타 다른 리터러시와의 차이점을 구분함으로써 데이터 리터러시가 왜 현대 사회에 이용자에게 필요한 데이터 활용 능력인가를 설명하고자 했으며 이를 통해 어떠한 도서관 정보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을지에 대한 고민과 제안으로 마무리했다.

예비교사의 데이터 리터러시 역량 증진을 위한 빅데이터 분석 교양강좌의 개발 및 적용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Big Data Analysis Course for the Improvement of the Data Literacy Competency of Teacher Training College Students)

  • 김슬기;김태영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6권2호
    • /
    • pp.141-151
    • /
    • 2022
  • 최근, 급격히 발전하는 미래 디지털 사회를 살아갈 학생들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데이터 리터러시 관련 기초소양 교육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일반 대학과 교육 대학에서도 기초소양으로서 빅데이터 및 데이터 리터러시 향상을 위한 교육의 수요가 많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예비교사를 위한 빅데이터 분석 교양강좌를 설계 및 적용하고 데이터 리터러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투입 프로그램에 대한 흥미도와 이해도 분석 결과, 예비교사의 수준에 적절한 형태임을 확인했으며, 데이터 리터러시의 '지식', '기능', '가치와 태도'의 모든 영역에서 유의미한 역량의 향상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가 체계적인 데이터 리터러시 관련 교육 연구에 도움을 주어 학생과 예비교사들의 데이터 리터러시를 증진하는데 이바지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초등학생의 데이터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AI 데이터 과학 교육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AI Data Science Education Program to Foster Data Litera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홍지연;김영식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4권6호
    • /
    • pp.633-641
    • /
    • 2020
  • 인공지능으로 구현되는 지능과 데이터 및 네트워크 기술에 기반한 지능정보기술의 발전은 사회 전반에 혁신을 유발하고 광범위한 사회, 경제적 파급력을 보여주고 있다. 이에 국외는 물론 국내에서도 다가오는 미래사회를 이끌어갈 인재 양성을 위해 AI 교육을 서두르고 있는 실정이다. 데이터는 인공지능의 중요한 부분으로서 데이터를 수집, 처리, 분석하여 데이터 기반의 의사결정을 할 수 있는 데이터 리터러시는 AI 소양과 더불어 함께 신장시켜야 할 중요한 역량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의 데이터 리터러시를 키워줄 수 있는 AI 데이터과학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이를 실험반에 적용, 사전-사후 대응표본 t-test를 통해 그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데이터 리터러시의 네 가지 세부 역량인 데이터 이해, 수집, 분석, 표현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된 결과를 나타내어 AI 데이터과학 교육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데이터 리터러시 향상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이주노동자의 의료정보문해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Level of Health Literacy of Migrant Workers in Korea)

  • 이정미;이은주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69-277
    • /
    • 2013
  • Purpose: The purposes of the study were to identify level of health literacy and factors influencing health literacy of migrant worker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using a cross sectional correlational design. Participants were 128 migrant workers in Korea.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ANOVA, Scheff$\acute{e}$ test,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with the SPSS 18.0 program. Results: The health literacy level of migrant worker was low and they had difficulty in understanding patient education materials and medical forms. Factors influencing health literacy were residential areas (city or rural), education level, length of stay in Korea, and ability to understand spoken Korean. Regression model accounted for 14.2% of the variance in health literacy. Conclusion: Lower levels of health literacy make it difficult for migrant works to visit medical facilities and perform health behaviors appropriately. Therefore, diverse strategies should be developed by nurses to enhance the health literacy level of migrant workers.

Determinants of Financial Literacy and Digital Literacy on Financial Performance in Driving Post-Pandemic Economic Recovery

  • Dura, Justita
    • Journal of Contemporary Eastern Asia
    • /
    • 제21권2호
    • /
    • pp.47-68
    • /
    • 2022
  • Micro,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East Java, Indonesia) are one of the businesses that drive developing nations' economies with various challenges, particularly in finance and digitalization. The impact of financial literacy and the use of digitalization can affect the recording and reporting of company performance. This is quantitative research, and the population in this research is SMEs in East Java, with 401 SMEs from various businesses for the sample used. This research uses the primary data method of SMEs in East Java with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s a data analysis tool. The results showed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financial literacy and financial performance, and digital literacy was based on financial performance. However, digital literacy could not moderate financial literacy with the financial performance of East Java SMEs. Much of the untapped potential in this study was adopted from financial governance and digitalization. It is hoped that the subsequent study will examine other phenomena on the variables used in the post-pandemic.

한국형 데이터 시각화 리터러시 평가 개발 및 연구 동향 분석 (Development on Korean Visualization Literacy Assessment Test(K-VLAT) and Research Trend Analysis)

  • 김하늘;김성희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5권11호
    • /
    • pp.1696-1707
    • /
    • 2021
  • 최근 정보 기술의 성장에 따라 디지털, 데이터, 인공지능 리터러시와 같은 다양한 리터러시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빅데이터 분석에서 필수적이고, 일상생활 모바일 앱에서도 다양하게 쓰이는 데이터 시각화에 초점을 두고 있으며, 데이터 시각화 활용 능력을 측정하는 데이터 시각화 리터러시 평가 체계에 대해서 다룬다. 2016년에 개발된 영문형 데이터 시각화 활용 능력을 측정하는 평가 체계(VLAT, Visualization Literacy Assessment Test)에 대해서 설명하고, 한국형에 맞춰 개발한 K-VLAT 평가 체계를 소개한다. K-VLAT은 국내 사용자의 맥락에 맞춰 12개의 시각화와 53개의 문항을 웹서비스를 통해 제공한다. 또한, 데이터 시각화 리터러시의 연구 방향을 이해하기 위해서, 영문형 VLAT을 참조한 79건의 논문을 분석하였다. 연구 목적을 4개의 대분야 및 11개의 소분야로 분류하였으며, 데이터 시각화 리터러시와 관련한 인지, 체계에 대한 확장, 교육과의 연계, 사용자 중심형 대시보드 개발 및 효과 평가 등에 활용되고 있다. 이에 따른 K-VLAT의 향후 활용 방안에 대해서 논의한다.

농촌 지역 노인의 기능적 의료정보 이해능력 실태와 영향요인 (Influencing Factors on Functional Health Literacy among the Rural Elderly)

  • 박지연;전경자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75-85
    • /
    • 201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the status of the functional health literacy of the elderly living in a rural community and to identify the influencing factors on the functional health literacy. Methods: Subjects(n=238) aged over 60 years were selected for data collection. Functional health literacy was measured by Korean Health Literacy, which consisted of 15 items including eight numeracy and seven comprehension item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with Scheffe tes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The mean score of total functional health literacy was $6.66{\pm}3.31$, numeracy was $3.52{\pm}1.76$, and comprehension was $3.41{\pm}2.10$. Of the subjects, 39.1% showed a low score below the median split. In the results of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he factors affecting functional health literacy were basic literacy, age, number of chronic diseases, self-reported health status, and gender. These factors accounted for 33.0% of functional health literacy.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terventions for improving functional health literacy are necessary to enhance elders' ability of self-care management. In addition, it is needed to take into account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depending on their gender, age, and health status.

Entrepreneurial Performance: The Role of Literacy and Skills

  • SARIWULAN, Tuty;SUPARNO, Suparno;DISMAN, Disman;AHMAN, Eeng;SUWATNO, Suwatno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7권11호
    • /
    • pp.269-280
    • /
    • 2020
  • This research aims to determine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digital literacy, economic literacy, and entrepreneurial skills on the performance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in garment clusters in the Bulak tourism industry Depok. Carrying out quantitative research with survey methods, data collection is using a questionnaire technique with 90 respondents, via saturation sampling. This research data analysis uses SPSS software version 25.0. Path analysis is used to determine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between variables. The results showed digital literacy, economic literacy, and entrepreneurial skills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affect the performance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The main finding in this study is that digital literacy has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performance of SME entrepreneurs,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The results of the study provide input on performance development strategies for SME entrepreneurs through digital literacy, including digital business relationships, online facilities, and networks. The findings are also complementary to the factors shaping the performance of SME entrepreneurs in the digital age. The research results show that digital literacy has the greatest direct and indirect influence on the performance of SME entrepreneurs; this shows the essential contribution of digital literacy in developing business and marketing networ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