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aster Preparedness Committee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5초

도서관과 기록관의 자연재난 대비 계획수립 핵심 요소 고찰 (The Study of Key Elements to Establish Natural Disaster Preparedness Plan in Libraries and Archives)

  • 이상백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01-119
    • /
    • 2019
  • 이 연구는 한국의 도서관과 기록관이 자연 재난 대비 계획을 수립하는 데 참고해야 하는 핵심 요소 검토를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국내에서는 그간 도서관과 기록관의 자연 재난 대비 계획과 관련한 연구가 충분히 진행되지 않았기 때문에 국외에서 폭넓게 진행된 선행연구를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국외 연구에서 공통으로 확인되는 재난 대비 계획수립을 위한 핵심 요소는 크게 6가지로 종합할 수 있었다. 먼저 재난 대비 계획의 시작을 위해서 '재난 대비 위원회가 조직되고 업무가 분담'되어야 하며, 재난에 취약한 '위험은 미리 평가되고 관리' 되어야 한다. 또한 모든 직원이 재난 발생 시 '즉각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핸드북'이 마련되어야 하며, 재난 발생 후 재난 규모에 따른 전략적 복구와 업무 복귀를 위한 '복구 및 업무 연속성 계획'이 검토되어야 한다. 그리고 직원의 재난 대처 역량과 재난 대비 계획을 강화하기 위해서 '훈련'이 필요하며, 재난 대비에 관한 다양한 관점을 확보하고 대규모 재난 대응과 복구 대비를 위해서 관련 기관 간 '협력 활동'도 고려되어야 한다. 이 논문이 향후 국내 도서관과 기록관의 재난대비 계획수립 검토에 일조하기를 기대한다.

DACUM 기법과 전문가회의를 통한 방재분야 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urriculum Development for Disaster Management by DACUM Technique and Expert Committee)

  • 민금영;정덕훈;심형섭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11권3호
    • /
    • pp.63-73
    • /
    • 2011
  • 본 연구는 방재분야의 교육과정 개발을 위해 DACUM 기법을 이용하여 개발한 교육과정과 전문가회의를 통해 개발한 교육 과정을 비교 분석하여 방재분야의 교육과정을 개발하였다. 첫째, DACUM 기법을 이용한 교육과정 개발은 방재분야의 직무를 예방, 대비, 대응, 복구 등 4가지 직무로 구분하고, 각 직무별로 3명의 방재전문가와 1명의 교육전문가가 3회씩의 워크삽을 통해 예방직무에서 9개 과정, 대비 직무에서 12개 과정, 대비 직무에서 7개 과정, 복구 직무에서 4개의 교육과정을 개발하였다. 둘째, 전문가회의를 통해 교육과정을 개발하였다. 전문가회의는 5명의 방재전문가와 3명의 교육전문가가 4회의 회의를 거쳐 35개의 교육과정을 개발하였다. 이를 통해 DACUM 기법과 전문가회의를 통해 도출된 교육과정을 전문가들의 토론을 거쳐 최종적으로 예방 및 대비 직무에서 31개 과정과 대응 및 복구 직무에서 14개의 교육과정을 개발하였으며, 추가적으로 인적재난에서 6개 과정과 관리자별 4개 과정을 개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