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ouble mediation effect

검색결과 46건 처리시간 0.025초

노인의 과거수용과 자살생각의 관계: 노화태도와 우울의 이중매개효과 (The Effect of Past Acceptance on Suicidal Ideation in Old Age: Verification of Double Mediation of Attitude to aging and Depression)

  • 이은진;김성희;남석인
    • 한국노년학
    • /
    • 제41권4호
    • /
    • pp.527-546
    • /
    • 2021
  • 본 연구는 노인의 과거수용이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노화태도와 우울의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서울 및 경기도 지역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2017년 2월부터 8월까지 대면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최종적으로 329명의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 방법으로는 SPSS PROCESS macro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매개변수가 2개인 직렬다 중매개모형 검증을 통해 이중매개효과를 확인하였으며, 부트스트랩을 활용하여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과거수용은 노화태도에, 노화태도는 우울에, 우울은 자살생각에 각각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노인의 과거수용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직접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노인의 과거수용과 자살생각의 관계에서 노화태도와 우울을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자살생각에 이르는 경로만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이중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노인의 우울 감소와 자살 예방을 위한 긍정적인 과거수용과 노화태도 증진 방안을 정책적·실천적 측면에서 제시하였다.

감성리더십이 은행원의 혁신행동과 심리적 우울에 미치는 영향: 이중매개효과 분석 (The Effects of Emotional Leadership on Innovative Behavior and Psychological Depression of Bankers: Analysis of Double Mediation Effect)

  • 임광민;권혁기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4권6호
    • /
    • pp.107-118
    • /
    • 2019
  • 본 연구는 은행원을 대상으로 감성리더십이 자기효능감과 직무열의의 매개를 통해 혁신행동과 심리적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가설들을 설정하고 은행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여 최종 294부를 분석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해 회귀분석과 이중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SPSS Process Macro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감성리더십은 자기효능감에 정(+)적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며, 자기효능감은 직무열의 및 혁신행동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열의는 심리적 우울에 부(-)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자기효능감과 직무열의는 모두 완전매개효과를 보여주고 있다.

체험형 패션 매장에서의 쇼핑몰입이 브랜드 옹호행동에 미치는 영향 - 감정반응과 경험적 쇼핑가치 및 점포애착의 순차적 다중매개 효과 검증 - (Effects of Shopping Flow in Experiential Fashion Stores on Brand Advocacy - Multi-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Response, Experimental Shopping Value, and Store Attachment -)

  • 최미영;김우빈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431-442
    • /
    • 2022
  • Despite the rapid reorganization of the center of consumption online, the fashion industry is still strengthening brand marketing using offline store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sychological mechanisms of shopping flow by three mediators that influence the e-word of mouth(e-WOM) as a marketing performance variable in recent marketing.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online for 241 women in their 20s and 30s. The significance of multi-mediated pathways was verified using Process 3.5 Model 6. The results for multiple mediation paths are as follows. First, the direct effect of shopping flow on brand advocacy was not significant. Second, analysis of the significance of the indirect effect via simple mediation found that the path mediated by shopping value in the path from the shopping flow to brand advocacy was significant. Third, analysis of the indirect effect by double mediation revealed all three double mediating effects of shopping flow on brand advocacy were significant(emotional response and shopping value, emotional response and store attachment, shopping value and store attachment). Fourth, analysis of the significance of the indirect effect by sequential multiple mediation established the indirect effect leading to emotional response, shopping value, and store attachment was significan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operation of an experiential fashion store is not just a means for sales, but a communication tool that improves and promotes the brand advocacy by providing brand experience in a store.

노인의 기본심리욕구와 성공적 노화의 관계: 자아통합감과 문화역량의 이중 매개효과 및 지혜의 조절된 매개효과 (The Relationships of Basic Pychological Needs and Successful Aging of Elderly: Double Mediating Effect of Ego-Integrity and Cultural Competency, and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Wisdom)

  • 조영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0호
    • /
    • pp.357-365
    • /
    • 2021
  • 본 연구는 노인의 성공적 노화와 기본심리욕구의 관계에서 자아통합감과 문화역량의 이중매개 효과와 지혜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2020년 6월부터 2021년 3월까지 J도, S 특별시, D 광역시에 소재한 14개의 노인복지센터와 노인종합대학을 정기적으로 이용하는 60세 이상 노인 211명이었다. 자료수집은 자가 보고식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WIN 23.0 Program과 SPSS PROCESS MACRO을 활용하여 Hayes의 6번과 91번 모델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기본심리욕구와 성공적 노화의 관계에서 자아통합감과 문화역량이 이중 매개하여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쳤으며, 자아통합감과 문화역량을 지혜가 조절 매개하여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주었다. 그러므로 기본심리욕구충족을 위한 노력과 지혜에 따른 자아통합감과 문화역량 강화를 위한 노인복지정책과 전략개발이 요구된다.

사이즈 추천 서비스의 지속사용의도에 관한 연구 -기대일치모형의 적용과 친숙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ntinuance Intention of Size Recommendation Services -Focusing on the Application of Expectation-Confirmation Model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Familiarity-)

  • 서상우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350-366
    • /
    • 2024
  • This study aimed to clarify the continuance intention of users of size recommendation services. The expectation-confirmation model framed the analysis of the 180 data points collected. The analysis determined the mediating effects of perceived usefulness and satisf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xpectation-confirmation and continuance intention.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familiarity was also analyzed, and a path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PROCESS macro. Results showed that expectation-confirma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erceived usefulness, satisfaction, and continuance intention. Findings indicated that perceived usefulness affected satisfaction and continuance intention and confirmed that satisfaction affected continuance inten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xpectation-confirmation and continuance intention, mediation analysis verified the mediation and double mediation of perceived usefulness and satisfaction. In the group with an above-average familiarity value, moderation analysis confirmed a moderating effect between perceived usefulness and satisfaction. Above-average familiarity values also confirmed that the moderating effect on continuance intention was significant.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전위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 내면화된 수치심과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 (The Influences of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on Displaced Aggression -Mediating Effects of Internalized Shame and Rejection Sensitivity-)

  • 금다정;정은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6호
    • /
    • pp.609-622
    • /
    • 2020
  • 본 연구는 대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전위공격성의 관계에서 내면화된 수치심과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대상은 대학생 406명이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AMOS, Mplus를 사용하여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구조방정식,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첫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 내면화된 수치심, 거부민감성, 전위공격성은 모두 정적상관을 나타내었다. 둘째, 내면화된 수치심은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전위공격성 관계에서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거부민감성은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전위공격성의 관계에서 매개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내면화된 수치심과 거부민감성은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전위공격성의 관계에서 이중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상황과 대상에 대해 과도하게 공격성을 나타내는 대학생들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전위공격성을 다루는 상담 장면에서 활용 할 수 있을 것이다.

대학생이 지각한 가족건강성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대인관계능력과 자기효능감의 이중매개효과 (The Effects of Family Strengths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on Self-esteem: Focusing on the Double Mediation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and Self-Efficacy)

  • 신은미;이종우;이화성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4호
    • /
    • pp.177-183
    • /
    • 2021
  • 본 연구는 가족건강성과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에서 대인관계능력과 자기효능감의 이중매개효과를 분석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충청북도 C시와 전라북도 J시 대학교에서 편의표집한 34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2019년 11월 1개월간 실시하였고, 분석은 SPSS Win. 25와 SPSS PROCESS Macro를 활용하였다. 적용된 통계기법은 평균비교분석(t-test, One-ANOVA), 상관관계분석, 그리고 PROCESS Macro 모델 6번을 활용한 이중매개효과분석이었다. 주요 연구 결과는 첫째, 자아존중감은 교육계열 전공 대학생들이 다른 전공계열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둘째, 상관분석 결과 자아존중감은 가족건강성, 대인관계능력 및 자기효능감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이중매개효과분석 결과 대인관계능력과 자기효능감이 가족건강성과 자아존중감과의 관계에서 이중 매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대인관계능력과 자기효능감을 활용하여 대학생의 자아존중감을 증진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유년층의 스마트 미디어 리터러시 유형과 부모와 교사의 중재 영향 (Patterns of Childhood's Smart Media Literacy and Effect of Parents' and Teachers' Mediation)

  • 장석준;박창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7호
    • /
    • pp.122-134
    • /
    • 2016
  • 본 연구는 유년층에게 나타나는 스마트 미디어 리터러시 유형을 알아보고 이에 따른 부모 및 교사의 중재유형의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유년층의 경우, 향후의 미디어 교육 방향에 있어 요인 형성이 이루어지는 시기인 만큼 스마트 미디어 리터러시 유형과 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 것이 의미있는 일이다. 연구결과, 유년층의 스마트 미디어 사용에 있어서 '지각리터러시'와 '비판리터러시'와 같은 유형의 리터러시 패턴을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지각리터러시에 대한 영향력으로 성별, 학년, 이용시간, 부모 맞벌이, 부모의 적극적 중재, 소극적 중재 그리고 교사의 적극적 중재, 소극적 중재가 유의미한 변인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비판리터러시의 경우 이용시간, 부모 맞벌이 그리고 부모의 적극적 소극적 중재가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지각리터러시와 비교하여 성별과 학년 그리고 교사의 중재는 영향력을 가지고 있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유년층의 경우 학교에서의 교사 영향력보다는 가정에서의 부모 영향력이 크다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사회 정책적으로도 이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중국 고등학생의 정서지능과 학습몰입의 관계에서 학습동기와 그릿의 이중매개효과 (Doubl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Motivation and Grit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Learning Engagement in Chinese High School Students)

  • 나지문;고윤택;이창식
    • 산업진흥연구
    • /
    • 제9권1호
    • /
    • pp.213-221
    • /
    • 2024
  • 본 연구는 중국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학습동기와 그릿이 정서지능과 학습몰입의 관계에서 이중매개하는지를 확인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자료는 중국의 한 고등학교에서 유의표집한 고등학생 30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하여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PC+ Win ver. 25.0과 SPSS PROCESS macro ver. 4.2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적용된 통계방법은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분석 및 이중매개효과 분석이었다.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지능, 학습동기, 그릿 및 학습몰입은 모두 정적인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고등학생들의 학습동기와 그릿이 정서지능과 학습몰입의 관계에서 이중매개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고등학생들의 정서지능만이 아니라 학습동기와 그릿을 활용하여 학업몰입을 증진키실 수 있는 방안을 제언하였다.

The Effects of College Life Adaptability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of College Students: Mediating Effects of Major Satisfaction, Job Stress, and Self-Directed Learning

  • Il-Hyun, Yun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0권4호
    • /
    • pp.245-254
    • /
    • 2022
  • This study is a study to empirically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n college life adaptat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multi-mediated effects of major satisfaction, job stress, and self-directed learning. For this study, 216 university students were enrolled. For the collected data, SPSS Process macro was used.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there were multiple parallel mediating effects and multiple serial mediating effects on major satisfaction, job stress, and self-directed learning between college life adaptabili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econd, the path of simple mediation and double mediation effect was found between college life adaptat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ased on the research, the necessity of revitalizing the program for revitalization of teaching activities and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activities in the major field and improvement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university life adaptation ability and follow-up research were sugg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