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ffects of Bibliotherapy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28초

발달적 독서치료 프로그램 운영의 효과 - 시범학교의 사례연구 - (The Effects of Developmental Bibliotherapy in School : In the Case of the Model School)

  • 권은경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139-164
    • /
    • 2007
  • 본 논문은 대구광역시 교육청이 독서치료 시범학교로 지정한 중학교의 독서치료 프로그램 운영효과를 분석한 것이다. 참여 학생은 77명이며 내재화 문제와 외현화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두 개의 프로그램에 분리 배치되었으며 각각 15회 실시되었다. 두 프로그램은 각 문제 영역에서 매우 긍정적이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를 얻었으며, 독서치료 목표와 독서자료에 따라 뚜렷한 효과의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 독서치료는 내재화 문제, 여학생에게 더 큰 효과가 있었다. 독서치료 프로그램은 독서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므로 발달적 독서치료는 향후 자가 독서치료로 발전할 수 있도록 독서교육과 연계될 필요가 있다.

독서치료 효과 측정을 위한 질적 심리평가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The Development of a Qualitative Psychological Assessment of Bibliotherapy and the Examination of it Efficacy)

  • 임성관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141-168
    • /
    • 2014
  • 공공도서관과 대학도서관을 비롯한 우리나라 문헌정보학계에서는 독서치료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고 다양한 독서치료 방법도 적용되고 있다. 하지만 그동안 독서치료 영역에서는 단순하고 획일적인 질문을 사용하여 내담자를 이해하고 진단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므로 독서치료에 적합한 심리평가도구에 대한 개발이 필요한 상황이다. 왜냐하면 독서치료에서 심리평가도구는 프로그램에 대한 효과 검증에 앞서 독서치료사가 치료 대상자를 이해할 수 있는 기본적인 정보원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또한 자료 선정 및 관련 활동을 설계하는 기초가 되는 중요한 도구가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독서치료 효과 측정을 위한 질적 심리평가도구로 활용할 수 있는 면담과 행동평가, 종합평가 보고서 양식을 개발하고, 실제 독서치료 프로그램 장면에 적용한 사례들을 제시하였다.

독서치료를 통한 대학생의 행복지수 제고에 관한 연구 (The Effect of Bibliotherapy on the Happiness Index of University Students)

  • 이승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287-308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행복지수를 제고할 수 있는 독서치료 프로그램을 계획하여 실시하고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중요한 사실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독서치료를 통하여 행복지수를 제고할 수 있다. 세부적 요소별로 살펴보면 삶의 만족도 제고의 효과가 가장 확실하고, 긍정적 감정의 제고 측면은 유의미한 효과가 있으며, 부정적 감정을 감소시키기는 힘든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존의 국내 문헌에서 많이 다루어진 독서치료 메커니즘 즉 동일시, 카타르시스, 통찰을 통한 치유 효과 외에도 행복해지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스킬 즉 명상, 기도, 현재에 집중하기, 그리고 기타 마음관리 기법의 학습 및 실시를 통하여 치유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셋째, 독서능력이 뛰어난 대학생을 대상으로 독서치료를 시행하는 경우, 치유서를 선택함에 있어 참여자의 자율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내담자-참여자 중심 독서치료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Developing a Theoretical Model for Clients-participants Centered Bibliotherapy)

  • 임성관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65-81
    • /
    • 2017
  • 심리치료는 심리 정서적 어려움을 호소하는 사람들을 돕기 위한 활동 분야이다. 따라서 심리치료사들은 치료 장면에서 만나는 내담자 및 참여자들을 적절히 돕기 위해 이론적 배경을 쌓고 수련을 통해 실습 경험도 채워 나간다. 더불어 적정 치료 모형을 만들어 방법과 효과에 대해 알리고 활용한다. 그런데 우리나라의 독서치료 분야는 이미 20년 가까운 역사를 갖고 있음에도 여러 대상과 목표에 맞는 치료 모형이 개발 및 제안되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간중심상담 이론을 바탕으로 독서치료의 주체가 되는 내담자-참여자들을 중심에 둔 독서치료 모형을 개발해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향후 여러 대상과 목표에 맞는 독서치료 모형 개발의 기초 및 참고가 될 것이다.

대학생 행복지수 제고를 위한 독서치료 적용에 관한 연구 (Application of Bibliotherapy to Enhance the Happiness of University Students)

  • 이승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391-408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새로운 독서치료 프로그램을 계획한 후에 실시하고 평가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 1) 새 독서치료 프로그램을 통하여 행복지수를 제고할 수 있었다. 세부적 요소별로 살펴보면 삶의 만족도 제고 측면에서 유의미한 효과가 있으며, 긍정적 감정 빈도의 제고는 비교적 힘든 것으로 나타났고, 부정적 감정 빈도의 감소 효과가 가장 확실한 것으로 나타났다. 2) 행복지수를 구성하고 있는 각 요소에 대한 독서치료 프로그램의 영향은 상황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3) 종교 및 영성 자료에 대한 반응은 사람마다 편차가 상대적으로 크다.

독서치료가 경증 치매노인의 인지도와 우울증에 미치는 효과 - S 독서치료연구회 임상사례를 중심으로 - (Effects on the Bibliotherapy for Depressed and Remark of Dotard Dementias Old Adults)

  • 황인담;박준식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505-522
    • /
    • 2008
  • 본 연구서는 인지장애나 경증 치매로 의심되는 65세 이상 90세 이하의 남녀 노인 12명을 실험집단으로 선정하여 6개월간 독서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독서치료가 치매노인의 인지도와 우울증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연구하였다. 측정도구는 신뢰도와 타당도가 검증된 한국판 MMSE-K와 우울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단축형 노인 우울척도를 사용하였다. 치매노인을 위한 독서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인지도는 향상되고 우울증은 감소함으로써 독서치료가 경증 치매노인의 증상을 호전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영어권 및 국내 독서치료용 도서 비교 분석 - 인문학적 독서치료의 필요성에 관한 제안 - (A Comparative Analysis of Bibliotherapy Books in the UK, US, and Korea: A Suggestion for the Humanistic Approach to Bibliotherapy)

  • 김정주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105-123
    • /
    • 2016
  • 본 연구는 영국, 미국, 우리나라에서 많이 사용되는 독서치료 도서목록에 수록된 성인 대상 독서치료용 도서의 스펙트럼을 분석한다. 영미권 독서치료 도서목록이 독서치료를 주관하는 기관이나 단체에 따라 구성상의 다양성을 보이는 것에 비해 우리나라의 성인용 독서치료 도서는 주관 기관에 따른 차이 없이 논픽션이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한다. 세부적인 카테고리에서 영미권 대학 및 공공기관의 독서치료 추천도서목록에서 가장 높은 순위를 차지하는 논픽션 도서는 의학 서적을 포함하는 "건강, 운동, 다이어트" 관련 도서이며, 이것은 이들 기관에서 독서치료가 임상적 치료 효과가 있는 어느 정도 전문적인 영역으로 인정받고 있음을 보여준다. 반면에 우리나라의 독서치료 도서목록에 수록된 도서들은 인문(심리), 자기계발, 문학(에세이) 등 이른바 "자기계발 이데올로기와 결합한 심리학 서적"이 60% 이상을 차지한다. 연구자는 독서치료가 정신의학, 심리학, 문헌정보학, 인문학적 배경을 바탕으로 하는 학제적 실천이라는 인식 하에, 독서치료가 인문학적 통찰에 의존함으로써, 참자가들에게 단순히 책을 읽고 문제적 상황이나 증상 이전의 상태를 회복하게 하는 것이 아니라 삶과 세계에 대한 깊은 성찰을 통하여 내적으로 성숙한 인간으로 변모하는 데 도움을 주어야 한다고 제안한다.

독서요법이 대학생의 자아정체감 정립에 미치는 효과 (A study of the Effects of Bibliotherapy in Establishing Ego-Identity of the University Students)

  • 이희정;박옥화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331-351
    • /
    • 2001
  • 본 연구의 목적은 일생 중 자아정체감이 가장 많이 발달하는 시기에 있는 대학생들에게 독서요법을 실시하여 자아정체감 정립에 독서가 어떻게 작용하는가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첫째, 대학생들에게 독서요법이 자아정체감 정립에 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해 보았으며 둘째, 대학도서관에서 적극적인 참고봉사의 하나로서 독서지도가 필요함을 입증하였다.

  • PDF

소외 청소년들의 책임감 증진을 위한 독서치료 프로그램 사례연구 (A Bibliotherapy Program Case Study for the Responsibility Promotion of Alienated Youth)

  • 임성관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87-110
    • /
    • 2016
  • 우리나라에서는 독서치료를 바탕으로 한 책임감 증진 프로그램 개발 적용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다. 특히 소외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은 전무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집단 독서치료 프로그램을 통해 소외 청소년들의 책임감을 증진시켜주는데 있다. 이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본 연구는 수원청소년문화센터에서 모집한 소외 청소년 11명을 대상으로 2015년 11월부터 12월까지 8회기 동안 책임감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을 구안 및 적용하였으며, 이상로 등(1989)이 제작한 표준화 성격진단 검사 중 책임감 척도로 검증을 실시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프로그램은 소외 청소년들의 책임감을 증진시켜주는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소외 청소년을 위한 책임감 증진 프로그램이 교육 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는 이론적 근거와 시사점을 제공하며, 이를 토대로 다양한 방법을 심도 있게 확대시켜 나갈 필요가 있을 것이다.

그림책을 활용한 독서치료프로그램이 고등학교 부적응 학생의 학교적응 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Bibliotherapy Program Using Picture Books on School Adaptation Ability of Maladjusted High School Students)

  • 김은승;조미아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57-183
    • /
    • 2017
  • 본 연구는 그림책을 활용한 독서치료 프로그램을 고등학교 부적응 학생을 대상으로 적용하여 학교생활 적응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경기도 용인시 소재 P고등학교 1, 2학년 학생 중 학교생활 부적응학생으로 파악된 11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그림책을 활용한 독서치료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학생들의 학교생활 적응능력이 향상되었으며 학교생활 적응능력의 하위요인인 교사관계, 교우관계, 학교수업, 학교규칙 영역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