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thereum

검색결과 120건 처리시간 0.024초

이더리움 노드 탐색 프로토콜 해석 및 통계 분석 (Interpretation and Statistical Analysis of Ethereum Node Discovery Protocol)

  • 김정연;주홍택
    • KNOM Review
    • /
    • 제24권2호
    • /
    • pp.48-55
    • /
    • 2021
  • 이더리움은 분산 응용 프로그램을 구축 및 배포할 수 있도록 하는 블록체인 기술 기반 개방형 소프트웨어 플랫폼이다. 이더리움은 모든 참여 노드가 동등한 권한과 권리를 갖고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완전 분산형 연결 방식을 사용한다. 이더리움 네트워크는 노드 정보를 검색하고 저장하기 위해 Kademlia 기반의 노드 탐색 프로토콜을 사용하고 있다. 동작하고 있는 이더리움 메인넷(Main Net)에서 이더리움 탐색 프로토콜을 해석하고 분석한 결과는 이더리움 P2P 네트워크의 성능향상을 위한 기초 연구임에도 불구하고 아직 그에 대한 연구결과가 없다. 본 논문에서는 이더리움 노드 탐색 과정의 패킷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와이어샤크 해석기를 개발한 결과를 제시하고, 이더리움 메인넷에서 노드 탐색 네트워크 트래픽을 수집하여 통계적인 분석을 실시한 결과를 제공한다. 이더리움 노드 탐색 과정 분석으로 네트워크 성능 향상과 취약성 연구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A Data Provenance System for Myanmar Rice Cycle Based on Ethereum Blockchain

  • Latt, Cho Nwe Zin;Rahmadika, Sandi;Rhee, Kyung-Hyune
    • Journal of Multimedia Information System
    • /
    • 제8권1호
    • /
    • pp.35-44
    • /
    • 2021
  • The Myanmar rice cycle's existing system is still relying on a third party to manage every rice data information from several organizations. It is inconvenient to supervise simultaneously due to the unreliability of information provided by organizations. Thus, the rice cycle's original data is challenging to be utterly trusted since irresponsible parties can manipulate the current state of information. Moreover, the applied system does not preserve a proper incentive for the involved parties. In this paper, we leverage the Ethereum blockchain to be adopted to tackle the aforementioned issues. The main objective is to build trust between parties in the Myanmar rice cycle system. Our proposed scheme allows customers to check and trace information about the rice cycle information without worrying about the integrity of the data. Furthermore, the authorized parties are also rewarded by the government through Ethereum smart contract features. Eventually, our scheme achieves traceability in the rice chain system and leads to the complete digitization and automation of the rice cycle information.

IoT 환경의 스마트 에이전트를 위한 이더리움 블록체인 기반의 협업 워크스페이스 (Collaborative Workspaces for IoT Smart Agents Based on the Ethereum Blockchain)

  • 진재환;엄현민;이명준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9권8호
    • /
    • pp.845-854
    • /
    • 2019
  • 사물인터넷 환경에서의 지능형 에이전트는 사람의 간섭 없이 다양한 사물들과 상호작용하여 특정 목적을 달성하는 계산 능력을 가진 자율적 개체이다. 최근 사물인터넷 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지능형 에이전트가 활용할 수 있는 자원이나 서비스의 규모가 커짐에 따라 지능형 에이전트들이 서로 간에 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환경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를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해서는 지능형 에이전트들이 다양한 그룹을 형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워크스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지능형 에이전트들 간의 효과적인 협업 환경을 위한 이더리움 기반 그룹 워크스페이스인 TSpace를 제시한다. TSpace에서는 개발된 CoAP/RESTful 웹서비스를 이용하여 사물인터넷 환경에서의 지능형 에이전트들이 이더리움 블록체인 기반 그룹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TSpace는 지능형 에이전트들이 이더리움 기반 그룹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이더리움 계정을 관리하고 이를 이용하여 이더리움 트랜잭션을 생성하는 새로운 기법을 소개한다.

이더리움 스마트 계약 프로그램의 ERC-20 API 기능 명세의 관례상 표준과 적합성 리뷰 방법 (A De Facto Standard for ERC-20 API Functional Specifications and Its Conformance Review Method for Ethereum Smart Contracts)

  • 문현아;박수용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11권10호
    • /
    • pp.399-408
    • /
    • 2022
  • 이더리움 토큰 스마트 계약의 표준 API인 ERC-20은 지갑이나 분산 거래소같은 응용 프로그램들에서 호환성을 보장하기 위해 도입되었다. 그러나 API의 동작에 대한 엄밀한 기능 명세와 표준 적합성 리뷰 도구는 지원되고 있지 않아 호환성 취약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더리움 블록체인의 ERC-20 토큰 스마트 계약 프로그램들의 관례상 표준에 부합하는지 검사하는 새로운 리뷰 절차와 이를 지원하는 도구를 제안하였다. 기존 이더리움 블록체인 시장 상위 100개의 토큰 스마트 계약 프로그램들을 ERC-20 API 기능 동작면에서 분석한 지식을 바탕으로 관례상 표준을 명시적으로 정의하였고, 이렇게 정의된 관례상 표준으로 새로운 ERC-20 스마트 계약 프로그램을 체계적으로 리뷰할 수 있는 방법을 설계할 수 있었다. 이 리뷰 방법을 지원하는 도구를 개발하고 벤치마크 프로그램에 대해 실험 평가하였다.

이더리움 기반 이메일 시스템 모델 (E-mail System Model based on Ethereum)

  • 김태경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99-106
    • /
    • 2017
  • With the advent of virtual money such as bit coins, interest in the block chain is increasing. Block Chain is a technology that supports Distributed Ledger and is a versatile technology applicable to various fields. Currently, the block chain is conducting research for various applications such as virtual money, trade finance, marketplace, power market, image contents service, and IoT. The technologies that make up the block chain are smart contract, digital signature/hash function and consensus algorithm. And these technologies operate on P2P networks. In this paper, we have studied e-mail system based on the ethereum which is one of the block chain based technologies. Most legacy mail systems use SMTP and the POP3/IMAP protocol to send and receive e-mail, and e-mail use S/MIME to protect the e-mail. However, S/MIME is vulnerable to DDoS attacks because it is configured centrally. And it also does not provide non-repudiation of mail reception. To overcome these weaknesses, we proposed an e-mail system model based on ethereum. The proposed model is able to cope with DDoS attack and forgery prevention by using block chain based technology, and reliable recording and management among block chain participants are provided, so tha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non-repudiation function of e-mail transmission and reception.

Comparative analysis of blockchain trilemma

  • Soonduck Yoo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12권1호
    • /
    • pp.41-52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proposed solutions to the Blockchain trilemma put forward by various research scholars and to draw conclusions by comparing the findings of each study. We found that the models so far developed either compromise scalability, decentralization, or security. The first model compromises decentralization. By partially centralizing the network, transaction processing speed can be improved, but security strength is weakened. Examples of this include Algorand and EOS. Because Algorand randomly selects the node that decides the consensus, the security of Algorand is better than EOS, wherein a designated selector decides. The second model recognizes that scalability causes a delay in speed when transactions are included in a block, reducing the system's efficiency. Compromising scalability makes it possible to increase decentralization. Representative examples include Bitcoin and Ethereum. Bitcoin is more vital than Ethereum in terms of security, but in terms of scalability, Ethereum is superior to Bitcoin. In the third model, information is stored and managed through various procedures at the expense of security. The application case is to weaken security by applying a layer 1 or 2 solution that stores and reroutes information. The expected effect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new perspective on the trilemma debate and to stimulate interest in continued research into the problem.

TPS Analysis, Performance Indicator of Public Blockchain Scalability

  • Hyug-Jun Ko;Seong-Soo Han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20권1호
    • /
    • pp.85-92
    • /
    • 2024
  • In recent years, Bitcoin and Ethereum have witnessed a surge in trading activity, driven by venture capital investment and funding through initial coin offerings (ICOs) and initial exchange offerings (IEOs). This heightened interest has led to kickstarting a vibrant ecosystem for blockchain development. The total number of cryptocurrencies listed on CoinMarketCap.com has reached 2,274 highlights how dynamic and wide blockchain development landscape has grown. In blockchain development, new blockchain projects are being created by forking blockchains inspired by major cryptocurrencies such as Bitcoin and Ethereum. These projects aim to address the perceived shortcomings and improve existing technologies. Altcoins, representing these alternative cryptocurrencies, are an ongoing industry effort to improve performance and security with enhancement proposals such as Bitcoin Improvement Proposals (BIP), Ethereum Improvement Proposals (EIP), and EOSIO Enhancement Proposals (EEP). With competitive attempts to improve blockchain performance and security, an ongoing performance race between various blockchains has taken shape, each claiming its own performance advantages. In this paper, we describe the transactions contained in the blocks of each representative blockchain, and find the factors that affect the transactions per second (TPS) through transaction processing and block generation processes, and suggest their relationship with scalability.

견고한 검증을 제공하는 이더리움 블록체인 기반의 여론조사 어플리케이션 (A Public Opinion Polling Application with Robust Verification Based on the Ethereum Bolckchain)

  • 진재환;엄현민;선주은;이명준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8권3호
    • /
    • pp.895-905
    • /
    • 2018
  • 여론조사는 특정 사안에 대하여 사회 집단의 성향을 알아보기 위한 수단으로서 현대 사회에 강한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 이처럼 여론 조사의 영향력이 커짐에 따라 결과물의 위·변조의 문제점이 중요한 이슈로 나타나게 되었으며 여론조사의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한 새로운 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더리움 블록체인은 이를 위한 해결방안으로서 신뢰성이 보장되는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는 분산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기 위한 환경이다. 이더리움 분산 어플리케이션은 스마트 컨트랙트를 활용하여 사용자를 위한 서비스들을 투명하고 신뢰성 있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위·변조가 사실상 불가능한 분산 장부 관리기법인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신뢰성을 보장하는 여론조사 기법에 대하여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여론조사 결과물에 대한 여론조사 대상자 개인 및 검증 기관의 견고한 검증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제안하는 기법의 유효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프라이빗 이더리움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동작하는 여론조사 분산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한다.

그래프 임베딩 및 준지도 기반의 이더리움 피싱 스캠 탐지 (Ethereum Phishing Scam Detection based on Graph Embedding and Semi-Supervised Learning)

  • 정유영;김경태;임동혁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12권5호
    • /
    • pp.165-170
    • /
    • 2023
  • 최근 블록체인 기술이 부상하면서 이를 이용한 암호화폐 플랫폼이 늘어나며 화폐 거래가 활발이 이뤄지고 있다. 그러나 암호화폐의 특성을 악용한 범죄 또한 늘어나 문제가 되고 있다. 특히 피싱 스캠은 이더리움 사이버 범죄의 과반수 이상을 차지하며 주요 보안 위협원으로 여겨지고 있다. 따라서 효과적인 피싱 스캠 탐지 방법이 시급하다. 그러나 전체 이더리움 참여 계정 주소에서 라벨링된 피싱 주소의 부족으로 인한 데이터 불균형 문제로 지도학습에 충분한 데이터 제공이 어려운 상황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이더리움 트랜잭션 네트워크를 고려한 효과적인 그래프 임베딩 기법인 trans2vec과 준지도 학습 모델 tri-training을 함께 사용하여 라벨링된 데이터 뿐만 아니라 라벨링되지 않은 데이터도 최대한 활용하는 피싱 스캠 탐지 방법을 제안한다.

이더리움 채굴 및 활용 방안 (Ethereum Mining and a Plan of Practical Use)

  • 최효현;윤도진;이종윤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6년도 제54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4권2호
    • /
    • pp.211-212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가상화폐이자 전자 거래의 신뢰성 있는 계약을 보장해 줄 수 있는 이더리움 (Ethereum)의 채굴 과정을 소개하고 향후 활용 방안을 제안한다. 이더리움의 거래 내역은 블록체인 (BlockChain)에 저장이 되며, 반영구적으로 삭제가 불가능하다. 이로써 전자상거래의 최대 단점인 사기 거래가 사전에 방지가 되고, 안전하고 깨끗한 거래가 성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표이다. 이더리움 채굴을 위해서는 비디오카드의 GPU (Graphics Processing Unit)를 이용하였으며, 지갑 생성, 비디오카드 드라이버 설치, pool 서버 가입, 채굴 소프트웨어 설치 및 GPU 오버클럭킹 등의 과정을 수행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