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valuation of Library Collection

검색결과 100건 처리시간 0.019초

연구도서관 장서의 양적 질적 평가에 관한 분석적 고찰 (An Analytical Study on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Evaluation of Research Library Collection)

  • 유소영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8권
    • /
    • pp.233-263
    • /
    • 198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bring out the most reasonable and feasible evaluation methods of research library collection in Korea. At the very outset, writer tried to define the purpose and the necessity of collection evaluation. Writer described a collection evaluation is to gain the data for decision making on selection policy, weeding and storage project, and explained it is one of the procedures of a collection development system operation of being explained as repeated three procedures through a collection development plan, an implimentation of the set plan(selection process) and a collection evaluation. Writer also pointed out the fact many libraries in Korea are apt to by pass or overlook this important process. Writer then defined the criteria of a collection evaluation as the measurement of the proportion of library holding's capability to meet users' demands and that of the degree of total collection's utilization. Writer introduced and analysed seven existing collection evaluation methods and concluded the method by a survey of users' needs and opinion and the method by a circulation survey are the most feasible and reasonable methods that can be applied. Writer also added that using above two evaluation methods together can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collection evaluation.

  • PDF

우리나라 공공도서관의 장서성과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llection Performance Evaluation of Public Libraries in Korea)

  • 이수상;이순영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4권3호
    • /
    • pp.81-104
    • /
    • 2023
  • 이 연구는 부산광역시 금정구 소재 3개 공공도서관을 사례로 하여, EBSM과 collectionHQ에서 제시하는 핵심성과 지표를 적용하여 장서성과평가를 시도한 사례연구이다. 장서의 성과를 중심으로 평가하는 장서성과평가에 집중하며, 개별 도서관 평가뿐만 아니라 평가결과에 나타난 도서관별 차이를 검토하였다. 연구에서 선정한 핵심성과지표는 누더기 아이템, 사망 아이템, 인기저자 공급, 인기주제 공급, 과잉재고 주제분야와 재고부족 주제분야이다. 주요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누더기 아이템 평가에서 3개 도서관 모두 전체 아이템에서 누더기 아이템의 비율이 낮게 나타났다. 둘째, 사망 아이템의 경우, 3개 도서관 모두 높은 비율로 나타나, collectionHQ에서 제안한 기준값을 초과하였다. 셋째, 인기저자 상위 10명을 확인하였으며, 도서관마다 차이가 났다. 넷째, 인기주제 공급 평가에서는 3개 도서관 모두 기준값에 미치는 인기주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도서관별로 상위 10개의 인기주제를 식별하였다. 다섯째, 과잉재고 주제분야 평가에서는 금샘도서관은 과잉재고 주제분야가 하나도 없었지만, 금정도서관과 서동도서관에서는 다수의 주제분야가 과잉재고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재고부족 주제분야 평가에서는 금샘도서관에서만 재고부족 주제분야가 나타났다.

전문도서관(專門圖書館)의 장서평가(藏書評價)에 관한 사례연구(事例硏究) -한국농촌경제연구원(韓國農村經濟硏究院) 자료실(資料室)을 중심(中心)으로- (A Study on the Library Collection Evaluation in the Research Library -The Case of Library and Information Division,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 조성자
    • 정보관리연구
    • /
    • 제23권2호
    • /
    • pp.14-39
    • /
    • 1992
  • 장서운영(藏書運營)의 효율성은 적은 수의 자료(資料)를 운영하면서 많은 수의 자료를 운영하는 것과 같은 이용률을 유지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전문도서관(專門圖書館)인 한국농촌경제연구원(韓國農村經濟硏究院) 자료실의 장서를 평가하여 효율적인 이용자 봉사와 앞으로의 장서개발(藏書開發)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硏究方法)은 통계에 의한 분석으로 자료의 이용조사와 상대이용분석, 인용리스트에 의한 소장유무 분석, 설문지 방법을 사용하였다.

  • PDF

국가 지식정보의 효율적인 유통체제 구축을 위한 대학 리포지토리 평가 지표 개발: dCollection을 중심으로 (Developing an Evaluation Indicator of Institutional Repositories toward Efficient Distribution Infrastructure of National Knowledge focusing on the dCollection)

  • 김현희;곽병희;안태경;장우권;이수영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85-107
    • /
    • 2005
  • 기관 리포지토리에 대한 평가지표를 개발하기 위하여 국내외 기관 리포지토리에 대한 문헌 연구를 통하여 평가요소를 도출하였으며, 도출된 평가 요소들이 도서관 업무 현장에서의 적용가능성과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국내외 16개 대학도서관을 대상으로 사례연구와 20개 대학도서관을 대상으로 델파이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4개 평가영역과 29개 평가지표를 도출하였다. 제안된 평가지표는 향후 dCollection 사업을 수행하는 대학도서관의 운영현황을 객관적으로 평가하여 바람직한 방향으로 운영을 개선할 수 있는 하나의 지침으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이용계수를 적용한 공공도서관 소설장서 평가 (Evaluation of the Fiction Collection of Public Libraries Based on Use Factor)

  • 윤희윤;김일영
    • 정보관리연구
    • /
    • 제42권4호
    • /
    • pp.175-194
    • /
    • 2011
  • 본 연구는 이용계수를 적용하여 국내 공공도서관의 소설장서를 평가하고 장서개발기능을 제고시키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 한국문학은 언어별 문학에서의 장서구성 및 이용대출 비중이 각각 62.6%와 54.3%로 가장 높았음에도 불구하고 이용계수(0.87)는 기준값(1.00)보다 낮았다. 또한 한국현대소설은 한국소설의 세목별 장서구성 및 이용대출에서의 비중이 각각 65.60%와 51.36%로 가장 높음에도 이용계수(0.78)는 기준값보다 낮았고 연도별 이용계수도 최근 연도에 근접할수록 감소하고 있다. 그 이유는 장서개발이 부실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공공도서관은 장서개발정책 및 소설장서개발지침의 수립, 소설자료선정위원회의 구성, 소설자료개발 전담사서제 도입, 소설자료 선정도구의 개발과 활용, 소설장서의 주기적 평가와 같은 방안의 도입을 적극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대출 및 상호대차 통계를 활용한 작은도서관 장서 평가에 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Small Library Collection Evaluation Utilizing Circulation Statistics and Interlibrary Loan Data)

  • 박영애;이재윤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333-356
    • /
    • 2010
  • 작은도서관은 일반적인 공공도서관에 비해서 장서의 양과 다양성이 부족하므로 실증적인 분석에 기초하여 장서를 평가하고 개발해야할 필요성이 더욱 절실하다. 이 연구에서는 전통적으로 장서평가에 사용하는 소장 데이터와 대출 데이터 이외에 작은도서관에서 특히 활발한 상호대차 데이터를 함께 분석하여 작은도서관을 위한 장서평가방법을 사례와 함께 제시하고자 하였다. 자료 수집과 분석은 한 지역 내에서 상호대차가 운영되는 작은도서관 14개관을 대상으로 하였고 장서량과 이용량(대출 + 상호대차)을 비교하여 각 도서관의 특징을 파악하였다. 또한 KDC의 강 단위로 구분한 주제별 장서 통계와 이용 통계에 대한 분석을 통해 작은도서관에서 활발히 이용되는 주제 분야와 정책적인 대처가 필요한 주제 분야를 파악할 수 있었다.

대학도서관의 자료 이용에 관한 연구 - A대학도서관 이용자의 대출통계 분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ollection Use of an Academic Library: Focused on the Analysis of Circulation Statistics of the A-Academic Library Users)

  • 김선애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115-131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도서관 이용자들의 대출기록을 이용하여 자료이용행태를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A대학도서관의 2012년 3월부터 2013년 2월말 사이에 발생한 264,804건의 대출관련 데이터를 수집하여 사용하였다. 자료의 주제별 그리고 이용자 유형에 따른 자료이용행태 분석을 위해, 전체 주제를 16개군으로 구분하였으며, 이용자 유형은 5개 집단(학부생, 대학원생, 교수, 직원, 기타이용자)으로 구분하였다. 이를 통해 대학도서관 이용자들의 주제별 자료이용 정도, 이용자 유형에 따른 주제별 자료이용 정도, 최신자료에 대한 주제별 선호도, 이용자 유형에 따른 최신자료의 선호도 등을 분석하였다.

국가장서개발정책 기본모형 연구 (Developing a Basic Framework for the Korean National Collection Policy)

  • 장혜란;홍현진;노영희;오의경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193-215
    • /
    • 2009
  • 정보자원의 지속적 증가와 다양화 그리고 네트워크를 이용한 정보 접근과 활용 등 정보환경의 변화로 도서관 장서개발 정책은 더욱 정교하게 변화되어야 하는 상황에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은 이러한 시대적 조류를 반영하고 그 역할과 사명을 다하기 위하여 보다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국가장서개발정책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와 주요 선진국의 국립도서관 장서개발정책을 조사하고 이를 기반으로 우리나라 국가장서 구축을 위한 기본모형을 도출하였다. 기본모형은 크게 하이브리드장서 구축, 협동연계장서 구축, 장서 평가, 그리고 장서개발정책 성문화 등 네 가지의 서브모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모형별 세부 내용과 추진방안이 제시되었다.

공공도서관 장서평가를 위한 소장도서 이용도 및 핵심장서 분석에 관한 연구 - 광진정보도서관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nalysis of Rate of Use and Core Collection for Collection Evaluation in Public Libraries: in the Case of Gwangjin District Public Library)

  • 오지은;정동열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201-221
    • /
    • 2015
  • 본 연구는 국내 공공도서관의 장서개발정책을 위하여 장서평가 방법을 실증적 데이터에 적용함으로서 그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서울시 광진정보도서관의 최근 10년간 장서대출 데이터를 활용하여 도서관 장서평가 방법 중에서 가장 신뢰성이 높은 Bonn의 이용계수, 소장도서 장서회전율과 Trueswell의 80/20 법칙을 적용하였다. 분석내용은 소장도서의 전체적 분석과 주제별 분석으로 장서평가에 대한 실질적인 가치와 의미를 부여하도록 하였다. 주요 분석항목으로는 연도별로 소장도서 전체 및 주제별 이용도 분석과 연도별로 대출 핵심장서의 비중 분석으로 구성되어 있다. 분석 결과, 장서 전체 이용도와 주제별 이용도의 변화를 분석함으로써 도서관에서 수행된 업무와 이용도 간의 관련성을 파악할 수 있으며, 장서대출 데이터 분석으로 이용자들의 장서 이용패턴에 대한 변화와 도서관 프로그램에 대한 지역주민의 평가를 파악할 수 있다. 아울러 대출도서 핵심장서의 비중 분석을 통하여 효과적인 수서정책을 위한 근거자료를 제시할 수 있다.

종합대학 도서관장서의 적정량기준 설정에 관한 고찰 -미국의 종합대학도서관기준을 중심으로- (Problems in Quantification of Adequacy of Academic Library Collections -Critical Analysis of Standards for Academic Libraries in the U.S.-)

  • 정용선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8권
    • /
    • pp.183-207
    • /
    • 1981
  • Library standards have been the source of considerable controversy, whereas many problems are involved in developing stardard for university library collections. For evaluation purposes, standards should be precise, quantifiable and measurable. In the United States, however, standards for academic libraries are limited to qualitative statements and principles. Quantitative standards, when given, are ususally related to the number of population in the institution being served, or the prescribed quantitative objectives are often arbitrarily formulated by value judgements. The study in this paper attempts to explain the problems involved in developing quantitative standard for academic library collections. Two problems facing in the formulation of the optimal size of collection are identified. One is the theoretically faulty concept of adequacy of collection to meet the situations of diversity of university libraies, and the other is the difficulties in quantification and measurement, along with the lack of concept of adequacy of collection. However, quantification of adequate size of collection is proved to be useful on the pratical level, even though not valid theoretically. ACRL, Clapp/Jordan and Voigt developed formulas or models for setting the optimal size of a library collection for any particular university library.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analysis of the above formulas. ACRL standard was drawn from obervation and analysis of statistcs in leading library collections. In academic field, this judgement appears to have been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a high-grade institution would be apt to have a good library collection. This study criticizes ACRL standard for its failure to include some determinants of measurements, and points out the limitations of the standard. In contrast. Clapp/Jordan developed a formula rather scientifically based upon bibliographical sources. This is similarly empirical but has the advantage of bringing into play the elements which make universities diverse in nature. Both ACRL and Clapp/Jordan formulas share two major defects. (1) the specific subject needs of the collection are not indiacted directly, and (2) percentage rate of growth is an indicator in measuring the potential utility of a collection. Thus both formulas failed to provide a basis for meaningful evaluation. Voigt further developed a model for determining acquisition rates for currently published materials based on bibliographic technique. Voigt model encourages experimentation with different programs and different allocations of input resources, designed to meet the needs of the library's particular population. Standard for university library collections can be formulated in terms of input(traditional indicator), or additionally, in terms of output(cost-effectiveness). Cost effectiveness is expressed as user satisfaction, ability to provide wanted materials within a reasonable time period. Thus simple quantitative method does not cover all the situations of diversity of university library collections, nor measures the effectiveness of collections. Valid standard could not be established without further research.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