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perience dependency

검색결과 73건 처리시간 0.026초

부모로부터의 학대피해경험이 청소년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위축과 휴대폰 의존도의 매개효과- (The Effects of Maltreatment By Parents On Teenagers' Depression: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Withdrawal and Cell Phone Dependency)

  • 김옥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213-221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로부터의 학대피해경험이 청소년의 우울에 미치는 관계를 파악해보고, 나아가 사회적 위축 및 휴대폰 의존도가 부모로부터의 학대피해경험과 우울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분석해보고자 한다. 분석을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의 초등학교 4학년을 대상으로 한 5차년도 조사 자료를 기반으로 총 1,969명의 청소년을 분석대상으로 하였고, 자료방법은 SPSS 18.0과 AMOS 20.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상관관계와 구조방정식(SEM)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 첫째, 부모로부터의 학대피해경험은 청소년의 우울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로부터의 학대피해경험은 청소년의 사회적 위축과 휴대폰 의존도에 각각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셋째, 청소년의 사회적 위축과 휴대폰 의존도는 청소년의 우울에 각각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넷째, 부모로부터의 학대피해경험과 청소년의 우울과의 관계에 있어 사회적 위축과 휴대폰 의존도가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DSM(Design Structure Matrix)을 이용한 Transmission-Lever 설계과정의 체계화 (Design Process Systematization of Transmission-Lever Using the DSM)

  • 천준원;박지형;김태수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763-767
    • /
    • 2002
  • This paper explores a structuring method for solid modeling processes of an automobile automatic transmission-lever design. The aim of this work is to establish standard procedures to minimize iterations and trial and errors during the product development process to increase development time and costs. The design of the transmission-lever is periodically required to be changed with the model change of an automobile. The transmission-lever design process has mainly depended on the designer's experience. It causes to make difficulties to handle the dependency of components. The design process can be improved by resolving the dependency problem using the DSM. The process of applying the DSM provides a systematic way for the solid modeling of transmission-lever by the consideration of geometry dependency.

  • PDF

다단계 생산로트크기 결정문제의 분석과 단순화 방법 (A Methodology for Analysis and Simplification of Multi-level Dynamic Production Lot Sizing Problems)

  • 김갑환;박순오
    • 한국경영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13-26
    • /
    • 1999
  • When we try to design a production planning system for a manufacturing company, it is a time consuming task to analyze various planning activities and identify inter-relationship among a lot of decisions made for the production planning. Most of the research efforts have been concentrated to well-organized independent decision-making problems that may usually be identified only after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cision-making process as a whole. In this paper, a methodology is suggested to characterize the whole process of the production planning for a manufacturing company and reduce the complexity of decision-making problems. The methodology is based on an experience of developing a production planning software for an automobile component manufacturer in korea. First, it is explained how to identify and represent the dependency among various decision-making variables. And a methodology is proposed to analyze the identified dependency among decision variables and identify decision-making process. Lastly, a practical example is provided to illustrate the analysis procedure in this paper.

  • PDF

DSM을 활용한 타워크레인 양중계획 최적화에 관한 연구 (Optimization of T/C Lifting Plan using Dependency Structure Matrix (DSM))

  • 김승호;김상용;전지훈;안성훈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51-159
    • /
    • 2016
  • 건설프로젝트에서 요구되는 중요한 장비 중 하나는 타워크레인 이다. 특히, 대부분의 고층건물 공사에서는 자재들의 이동작업들을 수행하기 위해 타워크레인이 더욱 요구되어진다. 따라서 타워크레인의 양중계획은 공사기간과 비용의 측면에서도 중요하다 할 수 있다. 하지만, 건설현장 대부분의 양중계획은 여전히 합리적인 작업의 분석없이 현장 관리자들의 경험과 직관에 의존하여 행해지고 있다. Dependency structure matrix (DSM)는 CPM과 Pert 같은 기존의 툴과는 다르게 작업 활동 순서 계획과 정보관리를 하는데 있어서 유용한 툴이다. 본 연구는 타워크레인의 양중 관리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실제 건설 현장의 Case study를 통해 타워크레인 양중관리의 새로운 틀을 DSM을 이용하여 제시 할 것이다. DSM을 이용한 T/C의 양중계획의 Case study를 통해 나타난 결과는 기준층 양중 계획에 있어서 T/C의 양중계획을 최적화 시키는데 매우 유용하다는 결론을 보여주었다.

빈곤 여성 한부모 자활 경험의 재구성 -자활, 복지의존, 일의 의미- (Reconstruction of the Experience of Single Mothers in Poverty -The Meaning of Self-Sufficiency, Welfare Dependency, and Work-)

  • 정혜숙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7권4호
    • /
    • pp.251-277
    • /
    • 2015
  • 본 질적연구는 '아래로부터의 관점(bottom-up approach)'에 근거하여 빈곤 여성 한부모의 자활 경험을 재구성하였다. 국가와 지역사회가 제공하는 복지가 "쓰러진 그들의 손을 잡아 일으켜 준", "남편 대신"이었다는 연구참여자들의 메시지를 통해 '복지의존'은 그들 스스로와 자녀의 삶을 지켜내는데 긴요한 도움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그들에게 자활이란 '복지의존으로부터 벗어난 상태'라기보다 '복지의존을 통해 이루어갈 수 있는 과정적 지향'이며, 경제력 외에도 자존감을 세우고 자신의 가치를 찾을 수 있는 일을 통해 찾아나갈 수 있는 길이다. 빈곤 여성 한부모의 자활을 돕기 위해서는 '일을 통한 탈수급'의 성급한 초점보다는 그들이 겪고 있는 심리사회적 스트레스를 다루어 자활 잠재력을 복원하고 장기적 차원의 자활을 성취하는데 필요한 직업 능력 개발과 자녀 보육 및 교육 지원 서비스의 확충이 선행되어야 한다. 한편 현재 자활 사업이 참여자들에게 비추어진 '종속과 낙인'의 이미지를 벗고 근로연계복지의 애초 의미를 살리기 위해서는, 사업 참여 동기와 과정에 대한 내부자관점을 반영하는 수행 및 평가시스템을 갖추고 그들의 욕구와 관심에 따른 맞춤형 자활사업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 PDF

임신부의 자녀관 : 성선호와 임신동기 (Pregnant Women's Value of Children: Sex Preference and Pregnancy Motivation)

  • 박경애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25-33
    • /
    • 1993
  • Sex preference and pregnancy motivation are analyzed using the data of 117 pregnant women in Chonju City. The results indicate that women prefer son, regardless of various sociodemographic variables such as pregnancy experience, number of children, women's education, occupation, income, religion, experience, number of children, women's education, occupation, income, religion, and men's education and occupation. Sex preference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by women's marital status and age, and children's sex composition. The analysis on 19 pregnancy motivation items shows that pregnancy motivation differs by women's occupation, marital status, number of children, education and their partner's education. Factor analysis on pregnancy motivation items reveals six dimensions for all pregnancy: economic ability, value of child-care, psychological stability, family lineage, old economic dependency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mensions for son preference compared with daughter preference.

  • PDF

Z세대의 이어폰 사용 행태 분석을 통한 사용자 경험 연구 (A Study on the User Experience through Analysis of Earphones Use Behavior of Generation Z)

  • 구은서;김승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3호
    • /
    • pp.317-323
    • /
    • 2020
  • 본 연구는 이어폰의 구매 전부터 폐기까지 이어지는 과정에서 Z세대가 고객, 사용자로서 경험하는 요소에 대한 사용 행태를 분석하여 각 단계에 중점을 두어야 할 요소를 찾아 디자인, 기능 등의 사용자 경험을 향상한 제품 개발에 기초가 되고자 하는 연구이다. 이어폰의 고객 경험 및 사용자 경험에 대한 설문과 심층 인터뷰를 통해 Z세대의 이어폰 사용 행태를 분석하였다. 분석을 통해 공통적 또는 특징적으로 보이는 연구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브랜드 의존도 바탕의 사용자 경험과 경험의 공유 양상, 단순화된 디자인과 편의성 추구 등이었고 이는 Z세대의 라이프 스타일이 바탕이 된 연구 결과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향후 소비의 주체가 될 Z세대의 특성을 활용할 제품 연구와 마케팅 전략에 기초 연구가 될 것이라고 기대한다.

미국 한인 가정폭력피해 한부모 빈곤여성들의 자활 경험 (The Self-Sufficiency Experience of Korean-American Single Mothers with the History of Domestic Violence in Poverty)

  • 정혜숙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5권4호
    • /
    • pp.245-269
    • /
    • 2013
  • 미국의 복지개혁 이후 근로연계와 더불어 가정폭력분야 여성복지에서 가장 중요한 정책 목표 중 하나로 설정된 것은 '자활(self-sufficiency)'이다. 본 연구는 '아래로부터의 관점(bottom-up approach)'에 근거하여 가정폭력피해로 한부모가 된 미국 한인 빈곤 여성들의 자활 경험을 심층적으로 탐색하기 위해 질적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를 통해, 참여자들에게 '자활'은 '경제적 자립뿐만 아니라 정신적 자립 능력을 모두 갖추어 나가는 삶의 지속적 과제이자 과정'으로 확인되었다. 그들의 자활로의 도전들은 자활 과정 초기 가정폭력피해의 후유증으로 무너진 자활 잠재력의 복원이 필요한 시기와 장기적 차원에서 자활 과정을 유지해야 하는 자활 지탱력의 개발 시기를 포함한다. 이 도전들에 대처하기 위한 그들의 욕구는 '친정집 같은 도움과 지원', '선택과 집중의 복지지원', '성숙한 의존과 자활' 그리고 '생계유지가 아닌 꿈의 성취로서의 자활' 등으로 확인되었다. 가정폭력피해 한부모의 특수성과 이민자로서의 현실에 민감한 자활 정책 및 서비스 개선의 구체적 전략들이 제안되었다.

  • PDF

회복중인 알코올 의존자 부부를 위한 프로그램 요구도 조사 연구 (The Study of Needs about Program for Recovering Alcoholic Couples)

  • 이현주;김순옥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3권2호
    • /
    • pp.93-106
    • /
    • 2005
  • Despite the importance of the marital treatment in the recovery process of alcohol dependency, the domestic situation lacks the programs for recovering alcoholic couples. It is very hard to find any program for couples with an alcoholic in recovery. Most of the related researches only deal with hospitalized patients and their families due to their limitations in contact with appropriate subjects. This imposes a limit in their expert and validity. This research finds its aim in investigating the needs of recovering alcoholic couples and of clinical professionals, and providing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program for recovering alcoholic couples. This research was studied with 20 recovering alcoholic couples with a mean duration of 3.9 years of sobriety and 10 clinical professionals with a mean duration of 7.5 years of alcohol-abuse counseling experience. As a result, it appeared that a marital program that covers communication skills, sex, domestic violence, financial problems and original family issues in relation with codependency would be appropriate; the program would also involve issues about relapse.

정보기술 아웃소싱에서 고객이 전문업체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기 위한 전략적 선택에 관한 연구 : 자원의존 및 기회주의 이론 관점에서 (Clients' Strategic Choices to Mitigate Their Dependence on Vendors in IT Outsourcing : Resource Dependence and Opportunism Prospects)

  • 이재남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67-193
    • /
    • 2008
  • Clients' outsourcing strategies noted in the IT outsourcing literature generate varying levels of client dependence on vendors. This study investigates clients' efforts to mitigate such dependence by utilizing multiple vendors. We use the theoretical lenses of resource dependency and opportunism to study this phenomenon. Specifically. we consider degree of outsourcing, duration of contract, and externalization of control as strategic choices that engender vulnerabilities that clients seek to offset by using multiple vendors. This study then considers the basis of the outsourcing relationships, clients' satisfaction with the relationships. and clients' IT workforce size as conditions that induce clients' concerns about vendor opportunism. This study argues that these conditions can exacerbate clients' experience of vulnerability. further encouraging clients' use of multiple vendors. The research model developed is tested in a survey of firms in South Korea. Results suggest a strong impact of outsourcing strategic choices on the number of vendors used by clients. The anticipated moderating effects of opportunism were only weakly supported by the data though.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results are considered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offer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