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SH

검색결과 1,271건 처리시간 0.026초

에탄을 공급이 흰쥐 조직중의 Glutathione 및 지질산화 수준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thanol Administration on Glutathione and Lipid Peroxide Levels in Rat Liver and Cerebellum)

  • 이정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85-292
    • /
    • 1991
  • 에탄올의 급성적 및 만성적 투여가 흰쥐의 간 및 소뇌 중의 glutathione(GSH) 양상과 지질과산화물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간조직에서는, 만성적 에탄을 투여 (6~9g/kg, per day, 10% 음료수로서, 4주간)에 의해 총 GSH 농도가 14. 5% 저하되었고, 산화형 GSH(GSSG)는 변화가 없었으며, 따라서 GSSG/총 GSH 비율은 증가하였다. 그러나 지질과산화 수준은 변함이 없었다. 급성적 에탄올 투여에 의해 간 조직 중 지질과산화 수준이 상승되고 총 GSH 농도가 감소함은 이미 보고되고 있다. 본 실험에서는 이와 관련시켜 급성적 에탄을 투여 (50mmole/kg, i.p.)후 post-hepatic 혈장 중의 총 GSH 수준을 측정한 결과 현저히 상승하였다. 이러한 GSH의 간에서 혈액으로의 유출은, GSH의 항산화적 소모 이외에도, 급성적 그리고 아마도 만성적인 에탄을 투여에 의한 간 조직 중의 총 GSH의 감소의 한 가능한 원인으로서 간접적으로나마 추정될 수 있겠다. 소뇌에서 는 급성적 에탄을 투여는 지질과산화 수준을 증가시켰으나 GSH 양상은 변화시키지 않았으면, 만성적인 경우엔 모두 변동시키지 못하였다.

  • PDF

E.coli K-12 균주로부터 글루타치온 합성 유전자의 클로닝 (Cloning of Genes for the Biosynthesis of Glutathione from E. coIi K-12)

  • 남용석;박영인;이세영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575-582
    • /
    • 1991
  • 글루타치온 생산증대를 도모하기 위하여 글루타치온 합성에 관여하는 효소들인 GSH-I 및 GSH-II 유전자들 pBR322 벡터에 클로닝하였다. gshI 유전자를 클로닝하기 위하여 GSH-I 효소활성이 결여된 GS903 균주를 분리하였다. E. coli K-12 염색체 DNA로부터 분리된 3.6Kb PstI DNA 절편을 pBR322 벡터에 클로닝하였다. gshII 유전자는 2.2Kb PstI-BamHI DNA 절편내에 존재하며 이 절편을 pUC13 벡터에 클로닝하였다. 플라스미드의 copy number와 gsh 유전자들을 포함하고 있는 삽입 DNA의 크기의 차이에 의한 gsh 유전자들의 발현 정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pGH1090, pGH101, pGH200, pGH201, pLF4, pLF6 그리고 pGH300같은 여러 플라스미드를 사용함으로써 gshI 유전자의 발현이 의해 2배이상 증가하였다. 그러나 벡터 플라스미드내에 존재하는 gsh 유전자들을 포함하는 삽입 DNA의 크기의 차이에 의해서는 gsh 유전자들의 발현이 영향을 받지 않았다.

  • PDF

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픽을 이용한 Glutathione 분리 (Separation of Glutathione by Ion Exchange Chromatography)

  • 김정훈;손영종;구윤모
    • KSBB Journal
    • /
    • 제13권1호
    • /
    • pp.77-82
    • /
    • 1998
  • 미생물 효소에 의해 생산된 생산모액 내의 글루타치온(L-${\gamma}$-glutamyl-L-cysteinylglycine, GSH)을 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분리하였다. GSH와 결합하는 수지를 선택하기 위해 여러 수지와 GSH 수용액을 사용하여 회분식 흡착실험을 한 결과, pH 8.0에서 음이온 교환수지인 Q-sepharose와 QAE- sephadex에 GSH가 결합하였으나, QAE-sephadex는 수지와 결합된 GSH를 이탈시키기 위해 사용된 salt에 의해 부피가 줄어들어 부적합하였다. GSH 분리를 위한 기초실험을 위하여 GSH, cysteine, glutamate, glycine, $\gamma$-glutamylcysteine, ATP, glucose의 혼합액에서 GSH와 $\gamma$-glutamylcysteine를 다른 물질로부터 1차 분리할 수 있었다. NaCl의 농도를 조절하여 두 물질이 중첩되는 현상을 제거하여 분리하고자 하였으며, GSH의 tailing현상을 줄이도록 노력하였다. NaCl(35mM)을 용해시킨 Tris buffer를 사용함으로써 두 물질의 분리가 가능하였고, 생산모액을 사용하여 실험한 결과, 혼합 시료와 유사한 분리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Standard solution에서의 GSH 분리결과 72.6%의 회수율을 보였으며, 생산 모액에서는 84.4%의 회수율을 각각 보였다.

  • PDF

Selective Extraction and Quantification of Glutathione using Maleimide-Presenting Gold Nanoparticles

  • Oh, Hongseok;Lee, Jeongwook;Yeo, Woon-Seok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5권10호
    • /
    • pp.3047-3051
    • /
    • 2014
  • In this paper, we describe a new method for the selective extraction and quantification of glutathione (GSH) using matrix-assisted laser desorption/ionization time-of-flight mass spectrometry (MALDI-TOF MS) and maleimide-presenting gold nanoparticles (Mal-AuNPs). Our strategy utilizes the Michael addition to selectively extract GSH, from chosen samples, onto the maleimide of Mal-AuNPs. After the extraction step, the GSH bound to the AuNPs was analyzed by MALDI-TOF MS in the presence of an internal standard which was prepared by reacting Mal-AuNPs with isotope-labeled GSH ($GSH^*$). The $GSH^*$ has the same structure as GSH but a higher molecular weight, and therefore, enables absolute quantification of GSH by comparing the mass signal intensities of the GSH- and $GSH^*$-conjugated alkanethiols. Our strategy was verified by analyzing GSH-spiked fetal bovine serum and NIH 3T3 cells.

$Saccharomyces$ $cerevisiae$에서 $N$-acetyl-L-cysteine 처리와 감마선 조사에 따른 Glutathione Peroxidase 유전자 발현 (Gene Expression of Glutathione Peroxidase in $Saccharomyces$ $cerevisiae$ Treated with $N$-acetyl-L-cysteine and Gamma-rays)

  • 박지영;백동원;모하마드닐리;김진규
    • 환경생물
    • /
    • 제29권4호
    • /
    • pp.258-264
    • /
    • 2011
  • Glutathione (GSH)은 직접적으로 활성산소종을 제거하거나 GSH peroxidase와 같은 활성산소종 제거 효소의 조효소로써, 산화적 스트레스로부터 세포를 방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GSH peroxidase는 두 분자의 GSH을 이용해 세포 내 과산화수소를 물로 전환한다. $N$-acetyl-L cysteine (NAC)는 항산화제 중 하나로 세포 내 GSH의 전구물질로 이용된다. 본 연구는, 0mM에서 20mM의 NAC 단독 처리 또는 100 Gy 감마선과 복합 처리한 효모세포에서 GSH peroxidase를 코드화(encoding)하는 유전자인 $GPX1$$GPX2$의 전사적 발현을 통해 GSH, NAC와 GSH peroxidase의 연관성을 알아보았다. $GPX1$$GPX2$의 전사적 발현은 NAC와 100 Gy 감마선에 의해 유도되었다. 조사된 효모세포에서 NAC의 증가 농도에 따라 GSH peroxidase 두 유전자의 발현은 감소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NAC에 의해 증가된 세포 내 GSH는 GSH peroxidase 유전자의 전사적 발현을 유도하며, NAC는 감마선으로부터 생성된 활성산소종 직접적 제거와 GSH peroxidase 유전자의 전사적 발현을 유도함으로써 세포를 보호할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E. coli에서 글루타치온 생산 증가를 위한 재조합 플라스미드의 구성 (Construction Various Recombiant Plasmids for the Enhancement of Glutathione Production in E. coli.)

  • 남용석;이세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253-261
    • /
    • 1997
  • E. coli에서 글루타치온 생산 증가를 위해서 E. coli에서 분리한 gehI과 gshII유전자를 함유하고 있는 여러 재조합 플라스미드를 구성하여 도입하였다.pBR325 벡터에 gehI 유전자를 각각 1-3개를 포함한 재조합 플라스미드 및 gehI과 gehII 유전자를 동시에 갖는 재조합 플라스미드를 구성하였다. 계속적으로 반복된 gehI 유전자가 증폭된 E. colidml $\gamma $-gluramylcysteine synthetase의 효소활성은 삽입된 gehI 유전자의 부에 따라 증가하였다. 구성된 재조합 플라스미드를 함유한 E.coli의 글루타치온 생산능을 accetate kinase반응을 ATP재생계로 사용하여 조사한 결과 반복된 gehI 유전자를 함유한 E.coli의 글루타치온 생산능력은 삽입된 gehI 유전자의 수에 비례한여 증가하였으며, gehI 유전자의 추가적인 도입에 의해 글루타치온 생산능력은 2배 증가하였다. E.coli에서 글루타치온의 효소적 생산은 주로 \gamma $-gluramylcysteine synthetase의 효소활성에 의해 영향을 받았다. 가장 높은 글루타치온 생산능은 pGH501 (pUC8-gsh.I.II.III) 플라스미드를 갖는 균주에서 관찰되었다.

  • PDF

몰약(沒藥)이 자궁경부암세포(子宮經部癌細胞)(HeLa Cell)의 Apoptosis에 미치는 영향(影響) (Myrrha-induced Apoptosis in Human Cervical Carcinoma HeLa Cells)

  • 박종규;조옥현;김송백;조한백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97-110
    • /
    • 2006
  • Purpose : To address the ability of Myrrha (MY) to induce cell death,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MY on apoptosis. In human cervical carcinoma HeLa cells, apoptosis occurred following MY exposure in a dose-dependent manner. Methods : We have tested several kinds of anti-oxidants to investigate the MY-induced apoptotic mechanism. Among the anti-oxidants, N-acetyl cysteine(NAC) or reduced glutathione (GSH) protects MY-induced apoptosis. NAC is an aminothiol and synthetic precursor of intracellular cysteine and GSH. To confirm the role of GSH in MY-induced apoptosis, methionine and cystathionine-glutathione extrusion inhibitors were treated in the presence of MY. Results : NAC, GSH, methionine or cystathionine led to protective effect against MY-induced apoptosis in HeLa cells. The GSH and GSH-associated reagents regulate MY-induced cytochrome c release and the resultant caspase-3 activation. Furthermore, the two specific inhibitors of carrier-mediated GSH extrusion, methionine and cystathionine demonstrate GSH extrusion occurs via a specific mechanism. While decreasing GSH extrusion and protecting against MY-induced apoptosis, methionine and cystathionine failed to exert anti-apoptotic activity in cells previously deprived of GSH. Conclusion : the target of the protection is indeed GSH extrusion. This shows that the protective effect is achieved by forcing GSH to stay within the cells during apoptogenic treatment. All this evidence indicates the extrusion of GSH precedes andis responsible for the apoptosis, probably by altering the intracellular redox state, thus giving a rationale for the development of redox-dependent apoptosis in MY-treated human cervical carcinoma HeLa cells.

  • PDF

PROTECTIVE EFFECT OF SELENIUM ON GLUTATHIONE METABOLISM BY MERCURY TOXICITY IN THE CHO CELLS

  • Byun, Boo-Hyung;Cho, Su-Jung;Chung, An-Sik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7권2호
    • /
    • pp.141-149
    • /
    • 1991
  • The treatment with 5ng/ml of mercuric chloride caused time-dependent decreases, and in the activities of GSH S-transferase and GSH-peroxidase, and in the concentration of GSH in CHO cells. Three hours after treatment of $Hg^{2+}$, the activity of GSH S-transferase was decreased to almost half value of control group and the activity of GSH-peroxidase was reduced significantly at 6 hr after treatment. The concentration of GSH was decreased 2 hr after treatment of $Hg^{2+}$ and was decreased to nearly half value of control group 3 hr after treatment.

  • PDF

Glucagon과 insulin이 glutathione 항상성에 미치는 영향: 세포신호전달체계 및 glutathione transport system의 역할 (Effects of Glucagon and Insulin on Glutathione Homeostasis: Role of Cellular Signaling Pathways and Glutathione Transport System)

  • 김봉희;오정민;윤강욱;김충현;김상겸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22권3호
    • /
    • pp.227-233
    • /
    • 2007
  • It has been reported that hepatic glutathione (GSH) levels are decreased in diabetic patients, and glucagon increases hepatic efflux of GSH into blood. The signaling pathways responsible for mediating the glucagon effects on GSH efflux, however, are unknown. The signaling pathways involved in the regulation of GSH efflux in response to glucagon and insulin were examined in primary cultured rat hepatocytes. The GSH concentrations in the culture medium were markedly increased by the addition of glucagon, although cellular GSH levels are significantly decreased by glucagon. Insulin was also increased the GSH concentrations in the culture medium, but which is reflected in elevations of both cellular GSH and protein. Treatment of cells with 8-bromo-cAMP or dibutyryl-cAMP also resulted in elevation of the GSH concentrations in the culture medium. Pretreatment with H89, a selective inhibitor of protein kinase A, before glucagon addition markedly attenuated the glucagon effect. These results suggest that glucagon changes GSH homeostasis via elevation of GSH efflux, which may be responsible for decrease in hepatic GSH levels observed in diabetic condition. Furthermore, the present study implicates cAMP and protein kinase A in mediating the effect of glucagon on GSH efflux in primary cultured rat hepatocytes.

Cisplatin 투여 후 백서의 간 및 신장에서 Glutathione 대사의 변화 (The Change of Glutathione Metabolism in Liver and Kidney of Cisplatin treated Rats)

  • 김성용;정재용;김재룡;김정희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1권2호
    • /
    • pp.262-269
    • /
    • 1994
  • Cisplatin을 투여한 흰쥐의 간장 및 신장에서GSH의 역할을 관찰하고자 총 GSH의 농도, GSH peroxidase 및 GSH reductase이 효소활성도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총 GSH의 양(mM/g protein)은 간에서는 cisplatin을 투여한 군($1.51{\pm}0.28$)이 대조군(0.95+0.28)에 비해 현저히 증가하였으며 (p<0.01), 신장에서도 cisplatin 투여군(0$0.87{\pm}0.20$)이 대조군($0.60{\pm}0.14$)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GSH peroxidase의 활성도(${\mu}M$ NADPH/mg protein/min)는 간장에서 cisplatin을 투여한 군($348.0{\pm}18.54$)이 대조군(415.5+53.15)에 비해 현저히 감소하였으며(p<0.01), 신장에서도 cisplatin 투여군($380.5{\pm}51.86$)이 대조군($327.2{\pm}20.36$)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1). GSH reductase의 활성도(${\mu}M$ NADPH/mg protein/min)는 간장에서 cisplatin 투여군($3.09{\pm}0.88$)이 대조군(2.28+0.61)에 비해 현저히 증가하였으며(p<0.01), 신장에서도 cisplatin 투여군($3.30{\pm}1.01$)에 비해 cisplatin 투여군($8.50{\pm}2.62$)이 현저히 증가하였다(p<0.01). Cisplatin 투여로 인한 해독작용은 간에서는GSH의 양이 신장과 비교시 현저히 증가하였고 GSH reductase의 증가 및 GSH peroxidase의 감소로cisplatin해독에 GSH가 많이 이용되어 해독작용이 신장보다 더 잘 일어났으며 신장에서는 GSH가 증가하였으나 두 효소 모두 증가하였으므로 GSH가 일부 산화형으로 이용되어 간에서 보다는 해독작용이 적게 나타난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