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ocode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초

개최장소 추출을 위한 LGG의 구축 (Construction of LGG for Extracting Meeting Location)

  • 김경렬;최동현;김은경;최기선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2011년도 제23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49-54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회의공지 이메일을 대상으로 하는 개최장소 추출시스템에 대하여 소개한다. 개최장소 추출 시스템은 두 단계로 구성되는데, 첫 번째 단계는 본문에 포함된 개최장소의 추출이고, 두 번째 단계는 추출된 개최장소의 Geocoding이다. 개최장소의 추출을 위하여 문맥 패턴을 분석하여 개최장소가 포함된 문장 주변의 패턴을 반영하는 Local-Grammar Graph를 구축하며, 개최장소의 Geocoding을 위하여는 Addr2Geocode API를 사용한다. 본 논문은 일정공지메일의 개최장소를 추출하기 위한 LGG 방법론 기반의 어휘-통사적 언어 정보를 기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PDF

The Implementation of OPENLS Presentation Service in Location Based System

  • Heo, Tae-Wook;Lee, Jun-Wook;Kim, Sung-Soo;Park, Jong-Hyun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ACRS 2003 ISRS
    • /
    • pp.555-557
    • /
    • 2003
  • Location-based services allow consumers to receive services based on their geographic location data. For example, businesses can provide information to find traffic facility, public restaurant, a hospital, and a station based on the consumer’s location at a particular moment. Also, they wish to grasp a accurate location based service in mobile device or PDA. So, this paper shows that presentation service offers a base-map to be overlaid OpenLS (Open Location Services)’s directory service, route determination service, geocode and reverse-geocode service. The presentation service is the portrayal of a map and portrayal of feature as map overlays.

  • PDF

Implementation of a SAR GeoCoding Module based on component

  • Kim, Kwang-Yong;Jeong, Soo;Kim, Kyung-Ok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ACRS 2003 ISRS
    • /
    • pp.337-339
    • /
    • 2003
  • This paper describes the SAR geocoding module, which is the sub-module of a IRHIS ('Integrated RS s/w for High resolution satellite ImageS'): package of 'Development of High Resolution Satellite Image Processing Technique' project in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ETRI). The function of this module is following. 1) Orbit Type : ERS1/ERS2, RADARSAT 2) Data Format : SAR CEOS Format(Single Look Complex) 3) Function: - Geocode : Generate a map projected SAR image based on only orbit information - Orthorectify: Generate a rigorous geocoded SAR image with a DEM information In this paper, we briefly describe the algorithm that is adopted to the functions, and component architecture.

  • PDF

A Geocoding Method Implemented for Hierarchical Areal Addressing System in Korea

  • Lee, Ji-Yeong;Kim, Hag-Yeol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4권4호
    • /
    • pp.403-419
    • /
    • 2006
  • 현재 주소정합(address matching) 기술 중 가장 잘 알려진 방법은 미국 센서스국에서 개발된 것으로서 거리이름을 기반으로 한 주소체계에 그 적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한국, 일본과 같은 많은 국가들의 주소체계는 장소의 계층적 구조에 기초한 계층적 주소체계로 인하여 현재의 주소정합 기술을 적용하기가 불가능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인간활동에서 생성되는 2차원적 3차원적 주소정보를 주소좌표변환(geocoding) 하기위한 지역적 주소정합방법, 특히 한국의 주소체계에 적합한 주소정합방법을 이론적으로 개발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이에 이 논문은 2차원 및 3차원 주소정합기술로 구성된 3차원 주소위치확인에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접근방법을 설명한다.

  • PDF

Assessing the Spatial Distribution of Perfluorooctanoic Acid Exposure via Public Drinking Water Pipes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 Vieira, Veronica;Hoffman, Kate;Fletcher, Tony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28권
    • /
    • pp.9.1-9.5
    • /
    • 2013
  • Objective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GIS) is a powerful tool for assessing exposure in epidemiologic studies. We used GIS to determine the geographic extent of contamination by perfluorooctanoic acid, C8 (PFOA) that was released into the environment from the DuPont Washington Works Facility located in Parkersburg, West Virginia. Methods Paper maps of pipe distribution networks were provided by six local public water districts participating in the community cross-sectional survey, the C8 Health Project. Residential histories were also collected in the survey and geocoded. We integrated the pipe networks and geocoded addresses to determine which addresses were serviced by one of the participating water districts. The GIS-based water district assignment was then compared to the participants' self-reported source of public drinking water. Results There were a total of 151,871 addresses provided by the 48,800 participants of the C8 Health Project that consented to geocoding. We were able to successfully geocode 139,067 (91.6%) addresses, and of these, 118,209 (85.0%) self-reported water sources were confirmed using the GIS-based method of water district assignment. Furthermore, the GIS-based method corrected 20,858 (15.0%) self-reported public drinking water sources. Over half (54%) the participants in the lowest GIS-based exposure group self-reported being in a higher exposed water district. Conclusions Not only were we able to correct erroneous self-reported water sources, we were also able to assign water districts to participants with unknown sources. Without the GIS-based method, the reliance on only self-reported data would have resulted in exposure misclassification.

1차종발생자료를 응용한 지리참조연산표준화 및 자료 품질 관리의 필요성 - 쇠무릎과 털쇠무릎의 적용 사례 - (Georeferencing of Primary Species Occurrence Data and Necessity of Data Quality Control - A Case Study of Two Varieties of Ox-Knee, Achyranthes bidentata Blume -)

  • 장진성;장계선;안영섭;김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1권2호
    • /
    • pp.185-194
    • /
    • 2012
  • 한약재 우슬로 알려진 쇠무릎과 털쇠무릎 두 변종 식물표본자료의 지리참조연산 표준화 작업을 통해, 1차종 발생데이터를 수집하면서 발생된 오류의 특성과 발생 원인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시도한 재동정의 경우, 변종 수준의 동정에서는 쇠무릎의 경우 41%, 털쇠무릎의 경우 28%가 오동정으로 확인되었지만, 동정자의 동정신뢰도 수준은 변종의 동정 정확도와 무관하였다. 전체 303개 표본자료 중 71점의 지리참조연산을 실시하여 산출된 불확실성의 범위는 0.1297 km(최소)-32.4 km(최대), 평균 4,055m, 표준편차 5,772m로 확인되었다. 털쇠무릎은 한반도 중부에 넓게 분포하였으나, 쇠무릎은 경상남도와 전라남도를 포함한 남부해안 지역과 서해안 지역을 중심으로 분포하였다. 바이오클림(Bioclim) 분포모델을 적용한 결과, 쇠무릎의 최적생육지역은 남부지방 및 서부해안지역인 반면, 털쇠무릎의 경우 충청남도를 중심으로 한 중부지역임을 확인하였다. 두 분류군이 위도상으로 구분되는 가장 중요한 원인은 기후 인자 중 강수량보다는 기온인자로 확인되었다. 표본자료의 정보량을 판단하기 위해 지리참조연산결과 종의 전체적인 분포정보, 기후 정보 모델링을 통한 최적생육분포 면적 등의 정보량이 증가되었다. 본 연구에서 실시한 것과 같이 자료 품질 향상을 위해 최초 자료수집과 이후 입력까지 모든 관리 절차에서 발생하는 오류를 관리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