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owth cone

검색결과 126건 처리시간 0.024초

국지기후가 잣나무 성숙임분의 생식생장에 미치는 영향분석 (Evaluation of Reproductive Growth in a Mature Stand of Korean Pine under Simulated Climatic Condition)

  • 김일현;신만용;김영채;전상근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3권4호
    • /
    • pp.185-198
    • /
    • 2001
  • 본 연구는 잣나무 성숙임분을 대상으로 임령별 국지 기후 조건을 지형기후학적 방법과 공간통계 기법에 의하여 추정하여 잣나무 임분의 연도별 생식생장에 미치는 국지기후의 영향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지형-기후 관계식을 이용하여 연구 대상지의 평균기온, 최고기온, 최저기온, 상대습도, 강수량, 일조시수, 맑은 날수, 흐린 날수에 대하여 월별ㆍ기후치별 평년 값을 도출하고, 공간통계기법에 의하여 연도별ㆍ월별 기후치를 산출하였다. 또한 연구 대상지의 잣나무 임분에 대한 연도별 구과 및 종자 결실량, 낙과량, 형질 등 생식생장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이상의 자료에 근거하여 잣나무 성숙임분의 생식생장에 미치는 국지기후의 영향을 상관분석 및 회귀분석을 통하여 구명한 격과는 다음과 같다. 1년생 구과의 착과수는, 화아분화 연도의 6월과 7월의 평균 일 최저기온, 화아분화 연도의 6월과 7월의 총 강수량, 화아분화 연도 11월 부터 개화수분당년도 4월까지의 흐린 날수 합계와 높은 부의 상관이 인정되어, 화아분화 연도의 강수량이 적고 일조시간이 많으면 착과수도 많아지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2년생 구과의 결실량과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낸 기후지수가 없었다. 다만 가장 상관계수가 높은 지수로는 결실전년(개화수분당년) 12월부터 결실년도 2월까지 3개월간의 겨울철 강수량이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낙과량에 영향을 미친 기후요소는 개화수분당년 6월부터 익년 8월까지 15개월 간의 흐린 날수 합계와 개화수분당년 11월부터 익년 3월까지 동계 5개월 간의 강수량이 상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낙과율에 있어서는 개화수분당년 6월부터 익년 8월까지 15개월간의 흐린날수 합계가 가장 영향을 많이 미치는 기후지수로 판명되었다. 구과의 쭉정이량은 구과 성숙 이전의 동계 3개월 간의 강수량과 가장 높은 상관을 보이고 있었으며, 쭉정이율의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많은 5개의 기후 지수와 10% 이내의 높은 상관관계를 인정할 수 있었는데, 특히 구과 성숙 이전의 동계 3∼5개월 간의 강수량과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보여 동계기간동안 강수량이 많으면 광합성량이 감소하여 임목의 영양상태가 불건전하게 됨으로써 수정에 방해가 되고 종국적으로는 불량한 종자의 비율이 높아지는 결과를 초래하는 것으로 보인다. 구과무게는 개화수분당년 6월 부터 익년(결실년도) 8월까지 15개월 간의 강수량과 부의 상관을 보여, 수분이후 결실과정까지 강수량이 많으면 광합성에 장애를 주어 구과 1개의 무게가 상대적으로 적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종자 1개의 평균무게는 결실전 동계기간동안의 강수량 높은부의 상관을 보여 겨울철 강수량이 많으면 광합성율이 저하되고 이는 다시 종자 때의 무게가 적어지는 결과를 보이는 것으로 판단된다. 구과피무게는 결실 전년 11월부터 익년 3월까지 5개월 간의 맑은 날수와 겨울철인 12월부터 2월까지 3개월 간의 맑은 날수와 부의 상관을 보인 반면에, 결실 전년도 5월의 평균기온과는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구과피율의 경우에도 구과피 무게와 동일한 경향을 보여, 결실전 동계기간동안의 맑은 날수는 종자생산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반면, 결실 전년도 5월의 평균기온이 높으면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 PDF

Hop의 생장과 분화에 대한 식품간의 차이에 관하여 (Comparative Studies on the Growth and Differentiation in Three Different Varieties of Hop)

  • 임웅규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17권4호
    • /
    • pp.11-17
    • /
    • 1974
  • The present investigation dealt with observation and experiments concerning the growth and differentiation of hop plant, using the varieties of Cascade(C), Shinshuwase(Sh), and Hallertau(H).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Life cycle of hop plants. The annual growth period of hop plant was devided chiefly into 3 phases, dormant, vegetative and reproductive. (2) Growth of main stem. The hop vine begun to grow in the middle of May and grow vigorousely in the middle and latter of June, then gradually decline or stops at the middle of July and the early of August. (3) Growth of lateral vines. By the statistical analysis, it is judged that the varieties of H and Sh were more grown than that of C. H and Sh were not significant, but H and Sh from C were significant in 5% level. (4) Fresh weight and water content of hop cone. Hop cone in fresh weight of C variety was higher than those of other two varieties and water content of hop cone was decreased with time elapse in three races together. (5) Growing point. Histological view of hop varities in each was different. C showed form of sweet potato, H showed form of round, and Sh showed form of ellipse. (6) Shape of the leaf. C and H were 3 lobes, but Sh is 3∼5 lobes. Generally, the color is dark green. (7) Hop cones. Hop cones are as follows.

  • PDF

잣송이 추출물의 급여가 세미브로일러의 생산성, 소화기관 특성 및 장내 미생물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 Supplementation with Pine Cone Extracts on Growth Performance, Digestive Organ Characteristics and Cecal Microbiota of Semi-broiler)

  • 박재인;문제빈;강선문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305-312
    • /
    • 2019
  • 본 연구는 잣송이 추출물의 급여가 세미브로일러의 생산성, 소화기관 특성 및 장내 미생물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2주령 세미브로일러 20수를 급여 사료에 따라 4처리구(n=5/처리구; 대조구(-)[항생제 및 잣송이 추출물 무급여구], 대조구(+)[2% 항생제 급여구: 20 g/kg 기초사료], 2% 잣송이 ethanol 추출물 급여구[20 g/kg 기초사료] 및 2% 잣송이 ethanol-hexane 추출물 급여구[20 g/kg 기초사료])로 나누어 16일간 공시하였다. 종료 체중, 증체량 및 사료섭취량은 잣송이 ethanol 및 ethanol-hexane 추출물 급여구가 가장 낮았으나(P<0.05), 사료요구율은 잣송이 추출물 급여구들이 대조구(-)보다 낮았다(P<0.05). 근위 및 소장 무게는 잣송이 추출물 급여구들이 대조구(-)보다 낮았다(P<0.05). 소장 및 융모의 길이는 대조구와 잣송이 추출물 급여구들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장내 미생물 균총은 잣송이 추출물의 급여에 의해 개선되지 않았다. 따라서 잣송이 추출물의 급여는 세미브로일러의 사료요구율을 향상시켰으며, 소화기관의 무게에 영향을 미쳤다.

콘 히터의 유동적인 열선속을 적용한 PMMA의 연소 특성 분석 (A Combustion Characteristic Analysis of PMMA by Cone Heater of the flexible Heat Flux)

  • 문성웅;류상훈;이동호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4권3호
    • /
    • pp.39-44
    • /
    • 2010
  • 현재 열방출률을 측정하는 데 사용되고 있는 콘칼로리미터 법은 일정한 복사도 값을 가지고 실험한다. 하지만, 실물화재 시 가연물은 연소할 때 동일하지 않은 열선속을 방출한다. 본 연구에서는 일정 크기를 갖는 실내를 대상으로 FDS를 사용하여 실내 열선속 변화에 따른 연소특성을 분석하여 실내화재 시 온도 변화를 계산하여, 콘칼로리미터의 콘 히터에 유동적인 열선속을 적용하여 복사도에 반영하였다. 결과로 화재 성장기(Growth period) 및 감쇠기(Decline period)와 같은 복사도의 변화에 따라 실물화재에 근거한 PMMA의 열방출률을 얻을 수 있었다.

잣 부산물의 급여가 육계의 생산성, 혈청 콜레스테롤, 도체특성 및 육의 지방산과 콜레스테롤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Pine Cone Meal on Growth Performance, Serum Cholesterol, Carcass Quality and Fatty Acid Composition and Cholesterol Content of Meat in Broiler Chickens)

  • 이정호;박광우;신승오;조진호;유종상;김인호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0권1호
    • /
    • pp.57-68
    • /
    • 2008
  • 본 연구는 잣 부산물의 급여가 육계의 생산성, 혈청 콜레스테롤, 도체특성 및 육의 지방산과 콜레스테롤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시험을 실시하였다. 사양시험은 2일령 Arbor Acre Broiler(♂) 480수를 공시하였으며, 5주간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설계는 1) CS(미루나무톱밥 1%), 2) PCM0.5(잣 부산물 0.5%+미루나무톱밥 0.5%) 및 3) PCM1.0(잣 부산물 1%)로 3개 처리를 하여 처리당 8반복, 반복당 20수씩 완전임의 배치하였다. 전체 시험 기간 동안 생산성은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P>0.05), 또한, 혈청 콜레스테롤 및 도체비율도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0.05). 다리살과 가슴살의 TBARS는 PCM1.0처리구가 CS처리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다리살의 arachidate는 PCM0.5 처리구가 PCM1.0 처리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linolenate는 PCM1.0 처리구가 다른 처리구와 비교하여 가장 낮게 나타났다(P<0.05). 다리살, 가슴살 및 복강지방의 콜레스테롤 함량은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0.05). 결론적으로 본 시험의 결과 육계에 잣 부산물의 급여는 TBARS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Hop의 적심에 관한 연구 제1보 적심방법 및 주경적심 시기가 Hop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the Main Vine Training in Hops I. Effect of Vine Training Methods and Dates on Growth and Yield in Hops 1.Effect of Vine Training Methods and Dates on Growth and Yield in Hops)

  • 박경열;이동우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41-146
    • /
    • 1982
  • Hop의 증수를 위한 재배기술의 일환으로 적심효과를 검토하고자 무적심, 1회적심, 2회적심, 3회적심의 적심방법 시험을 1979년에 실시하였고, 무적심, 5월 14일 적심(주경 3절위 신장시), 5월 19일 적심(주경 4절위 신장시), 5월 24일 적심(주경 5절위 신장시), 5월 29일 적심(주경 6절위 신장시)의 주경적심시험을 1980년에 실시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무적심에 비하여 적심회수가 거듭되거나 적심시기가 늦어질수록 영양생장기간 및 개화기가 지연되었다. 2. 주경적심처리는 무적심보다 만장과 총측지수 적었으나 측지 생육이 촉진되어 조기 적심일수록 만중이 증가되었을 뿐만 아니라, 주경 10절위 이하에서도 구화가 착생되어 착화측지수가 증가되었다. 3. 조기적심일수록 무적심에 비하여 10절위 이상 20절위 이하의 측지장이 현저히 길어져 착화측지당구화수 및 주당 구화수가 증가되어 12-43%의 증수를 가져왔다. 4. 만기적심(5월 29일 적심)은 적심 후에서 모화기까지의 일수가 짧아 무적심보다 착화측지수가 적었고, 측지장이 짧아 주당 구화수가 적었으며 100구화중도 가벼워 무적심보다 20% 감수되었다.

  • PDF

Modeling of Atomization Under Flash Boiling Conditions

  • Zeng, Yangbing;Lee, Chia-Fon
    • 한국연소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44-51
    • /
    • 2002
  • This paper presents an atomization model for sprays under flash boiling conditions. The atomization is represented by the secondary breakup of a bubble/droplet system, and the breakup is considered as the results of two competing mechanisms, aerodynamic force and bubble growth. The model was applied to predict the atomization of a hollow-cone spray from pintle injector under flash boiling conditions. In the regimes this study considered, sprays are atomized by bubble growth, which produces smaller SMD#s than aerodynamic forces alone. With decreasing ambient pressures, the spray thickness, fuel vaporization rate and vapor radial penetration increases, and the drop size decreases. With increasing the fuel and ambient temperatures to some extent, the effect of flash boiling and air entrainment completely change the spray pattern.

  • PDF

경안천 현장실험조에서 식물체를 이용한 조류 증식억제 (Enclosure Experiments on the Effects of Various Plants on Algae)

  • 임병진;정원화;전선옥
    • 생태와환경
    • /
    • 제33권3호통권91호
    • /
    • pp.304-310
    • /
    • 2000
  • 팔당호 지류인 경안천 만입부에서 현장실험조를 이용하여 조류증식 억제 효율을 조사하였다. Microcystis가 우점하고 평균 Chl a 농도가 30${\sim}$50 ${\mu}$g/l를 나타내는 경안천 만입부 현장실험조에서 습체식물 2.5 g/l 투여 결과, 은행잎, 잣잎, 솔잎 투여조는 초기부터 조류증식억제 효과를 보이면서 조류가 최고 성장기에 이를 때까지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수생식물중 애기마름 투여조가 다른 식물 투여조에 비해 가장 효과가 좋았다. 7일째에 조류증식 억제율은 솔잎 85%, 은행잎 80%, 잣잎 75%, 애기마름 78%, 줄 59% 창포 투여조 30%순이었고, 갈대 투여조는 효과가 없었다. 솔잎, 잣잎, 은행잎, 애기마름을 건조시켜 0.25 g/l와 1 g/l로 투여한 결과, 솔잎과 애기마름은 0.25 g/l에서 각각 53%, 90%로 좋은 효과를 나타낸 반면, 잣잎과 은행잎은 1 g/l 투여량에서 효과가 좋았다. 조류증식억제 효과 원인을 찾기 위해 식물체내 유기화합물을 분석해 본 결과 애기마름에서는 4-(4-hydroxyphenyl)-2-butanone과 2, 4-bis (1, 1-dimethylethyl)-phenol, p-CYMEN-8-0L이 검출되었고, 잣잎은 2, 4-bis (1, 1-dimethylethyl)-phenol이 검출되었다.

  • PDF

Burning Characteristics of Wood-based Materials using Cone Calorimeter and Inclined Panel Tests

  • Park, Joo-Saeng;Lee, Jun-Jae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0권3호
    • /
    • pp.18-25
    • /
    • 2002
  • Research to discuss the fire performance of materials requires tools for measuring their burning characteristics and validated fire growth models to predict fire behavior of the materials under specific tire scenarios using the measured properties as input for the models. In this study, burning characteristics such as time to ignition, weight loss rate, flame spread, heat release rate, total heat evolved, and effective heat of combustion for four types of wood-based materials were evaluated using the cone calorimeter and inclined panel tests. Time to ignition was affected by not only surface condition and specific gravity of the tested materials but also the type and magnitude of heat source. Results of weight loss rate, measured by inclined panel tests, indicated that heat transfer from the contacted flame used as the heat source into the inner part of the specimen was inversely proportional to specific gravity of material. Flame spread was closely related with ignition time at the near part of burning zone. Under constant and severe external heat flux, there was little difference in weight loss rate and total heat evolved between four types of wood-based panels. More applied heat flux caused by longer ignition time induced a higher first peak value of heat release rate. Burning characteristics data measured in this study can be used effectively as input for fire growth models to predict the fire behavior of materials under specific fire scenarios.

잣송이의 채취(採取)를 기계화(機械化)하기 위한 기초연구(基礎硏究) (I) (Basic studies on pine cone harvest (I))

  • 강화석;이재선;김상헌;최종천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9권1호
    • /
    • pp.1-9
    • /
    • 1993
  • 잣송이 수확기계의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강원대학교 임과대학 부속연습림에서 7영급 및 4영급의 착과한 잣나무의 정단부위 성장특성과 착과특성을 1992년 8월 말부터 9월 중순까지 조사하였다. 1. 당년 성장한 가지의 길이는 4영급에서 주지는 27~56cm이고 측지는 18~47cm로 7영급보다 훨씬 왕성하였다. 2. 측지의 분지각은 $24{\sim}89^{\circ}$이었고, 2년 성장한 주지의 직경은 10~30mm로서 두 특징에 있어 영급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1년생 주지의 직청은 4영급에서 9~18mm로서 7영급보다 생장량이 더 높았다. 3. 착과수는 평균 5개, 구과 생중량은 평균 272g으로 영급간 유의적인 차가 없었다. 4. 2년 자란 주지의 착과위치는 그 마디 아랫 쪽으로부터 7영급에서는 9.7~33.0cm, 4영급에서는 18.0~51.0cm의 범위인 곳으로 평균위치는 각 마디의 1/2과 4/5되는 위치였다. 5. 착과한 나무에 있어서 구과, 1년생지 및 2년생지를 합한 총생중량의 범위는 1.0~7.4kg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