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ad bar

검색결과 129건 처리시간 0.026초

반복하중을 받는 외부 보-기둥 접합부에서 작은 헤드를 사용한 Headed Bar적용 (Application of Headed Bars with Small Head in Exterior Beam-Column Joints Subjected to Reversed Cyclic Loads)

  • 하상수;최동욱;이창호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9권4호
    • /
    • pp.411-420
    • /
    • 2007
  • 본 연구는 반복 수평 하중을 받는 외부 보-기둥 접합부에서 작은 헤드를 사용한 headed bar의 사용성을 검증하기 위해 $90^{\circ}$ 표준갈고리로 정착한 실험체와 headed bar로 정착한 접합부 실험체를 제작하여 각각의 실험 결과를 비교하였다. 또한, headed bar 정착 성능에 영향을 주는 헤드 단면적, 단조 및 반복 가력 여부, 헤드와 보강근의 용접 여부등의 headed bar 인발 성능에 관한 영향을 구명하기 위한 인발실험을 병행하였다. 인발실험의 결과, headed bar의 인발강도는 헤드 면적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고, 헤드와 보강근의 용접 유무, 가력 조건 (단조하중 및 반복하중)은 실험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부 보-기둥 접합부 실험의 결과, $90^{\circ}$ 표준갈고리로 정착한 실험체와 headed bar로 정착한 실험체가 초기 균열, 균열의 발생 등 모두 거의 비슷한 양상이었으나, 최종 파괴 시에는 headed bar로 정착된 실험체가 $90^{\circ}$ 표준갈고리로 정착된 실험체에 비해 최대 강도 도달 이후 연성 거동, 연성비 및 변형 성능, 에너지소산 면적 등에서 우수한 거동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ACI 352 위원회의 설계지침을 따라서 제작된 접합부 상세와 동일한 조건으로 표준갈고리 대신 상대적으로 작은 headed bar를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Head 플레이트 상세에 따른 Headed Bars의 인발거동에 관한 연구 (Pull-out Behaviors of Headed Bars with Different Details of Head Plates)

  • 박현규;윤영수;류영섭;이만섭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2권2호
    • /
    • pp.95-104
    • /
    • 2002
  • 이 논문은 콘크리트 콘 파괴에 의해 지배될 때의 인장력의 예측과 Headed bar의 인발 파괴 양상을 보여준다. 1개의 다른 플레이트 형상과 세가지의 서로 다른 용접 방법에 따라 시험이 이루어졌다. 시험의 변수는 Headed plate에 연결된 철근의 직경(16mm, 19mm, 22mm), 형상(원형, 직사각형, 정사각형)과 head plate의 차원(면적, 두께), 철근과 head plate와의 연결을 위한 용접 방법(일반용접, 마찰용접)이다. Headed bar는 ASTM 970-98에 기초한 모양과 두께를 가진 다른 단면적으로 제조되었으며 콘크리트의 부착 길이는 CSA 23.3-94에 의거하여 산정되었다. 정적 인장하중이 적용되었으며 시험 인발 성능은 ACI-349와 CCD 방법과 같은 현재의 설계방법에 의해 산출된 값과 비교하였다. 실험결과와 기존식을 비교하면 Headed bar가 앵커와 달리 넓은 플레이트 면적과 이형철근으로 인해 기준식에 비해 높은 강도와 큰 파괴 반경을 나타내었다.

머리 진동 측정치의 불확도 인자들에 관한 연구 (Study on Uncertainty Factors of Head Vibration Measurements)

  • 정완섭;김영태;류제담;홍동표
    • 한국소음진동공학회논문집
    • /
    • 제15권1호
    • /
    • pp.20-28
    • /
    • 2005
  • 이 논문에서는 기존의 6-축 혹은 9-축 머리진동 측정장치(bite-bar)를 이용한 머리진동 측정에서 직면하는 불확도 인자들에 대한 문제점을 우선 소개한다. 이들 불확도 인자들은 머리의 6-자유도 운동 성분의 추정에 필요한 모든 측정 요소들을 측정하지 않았다는 한계점에서 유발함을 보인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4개의 3축 가속도 센서로 구성된 새로운 머리진동 측정장치(12-axis bite-bar)의 모델을 제안한다. 본 모델은 측정 기준점에서의 선형 3축 가속도 뿐 아니라 3축 각 가속도와 함께 6 종의 2차 각속도 성분들의 추정 또한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12 성분의 추정 모델로부터 비로소 머리의 임의 점에서 6-자유도 운동 성분의 계산이 가능함을 이론적으로 규명한다. 이러한 이론적 배경에 기반을 두고 설계 제작된 12-축 머리진동 장치(12-axis bite-bar)를 소개한다. 본 장치를 이용하여 얻어진 실험 결과 소개 뿐 아니라 기존의 측정장치의 측정 결과와 비교 분석 내용을 소개한다.

머리진동측정용 ICP형 바이트-바(Bite-bar)의 교정방법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Calibration of a ICP Type Bite-bar designed to measure head vibration)

  • 최병재;정완섭;홍동표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760-763
    • /
    • 2002
  • 본 논문은 인체의 머리진동 측정용 Bite-bar에 관한 연구이며, 머리진동의 관심주파수 영역인 0.5∼30Hz 범위의 주파수 범위에서 ICP형 가속도계를 이용한 바이트-바(Bite-bar)의 공진특성에 관한 실험결과와 공진특성의 보상 방법에 관해 기술하고 있다. 또한 바이트-바(Bite-bar)의 회전비교교정에 관한 방법과 절차 그리고 실험결과를 제시하고 바이트-바(Bite-bar) 교정의 중요성과 오차(error)와 설계 제작에 있어서의 주의사항에 관해 간략히 소개한다.

  • PDF

머리진동 측정용 Bite-bar 의 동적 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dynamic characteristics of a ″bite-bar″ designed to measure head vibration)

  • 최병재;정완섭;홍동표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1105-1110
    • /
    • 2001
  • 본 논문은 머리진동 측정용 바이트 바의 동적 특성에 관한 연구이다. 머리진동의 관심주파수 영역은 0.5Hz~30Hz 범위의 주파수이며 기구학적 이론들을 이용하여 측정된 선형 가속도로부터 머리의 각각속도를 계산하는 과정을 소계한다. 본 논문에서는 9개의 선형가속도를 이용하여 각각속도를 구하는 방법에 대한 검증뿐 아니라 나아가 센서의 측정점의 Offset 영향을 고려한 이론식을 제시한다.

  • PDF

75톤급 액체로켓엔진 연소기의 저압 조건에서 수행된 연소안정성 시험 (Combustion Stability Rating Test under Low Pressure Condition of a 75-$ton_f$ LRE Thrust Chamber)

  • 이광진;강동혁;김문기;안규복;한영민;최환석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10년도 제34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231-238
    • /
    • 2010
  • 75톤급 기술검증용 연소기의 저압 조건 연소안정성 시험이 수행되었다. 동일한 추진제 유량을 연소실에 공급하면서 분사기 수량이 감소된 연소기 헤드의 경우 연소압력 30 bar에서 자발 불안정이 발생하였으나, 분사기 수량이 증가된 연소기 헤드에서는 동일한 연소압력 조건에서 고주파 연소안정성이 유지됨을 보였다. 30 bar에서 연소안정성을 보인 연소기 헤드는 연소압력 20 bar에서 자발 불안정이 발생하여 안정성 경계 영역을 보여주었다.

  • PDF

전단보강근이 배근된 외부 보기둥 접합부에 정착된 헤드 철근의 스트럿-타이 모델 (Strut-And-Tie Model for Headed Bar Anchored in Exterior Beam-Column Joint with Transverse Reinforcement)

  • 천성철;홍성걸;오보환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I)
    • /
    • pp.454-457
    • /
    • 2006
  • This study presents a strut-and-tie model for the development of headed bars in an exterior beam-column joint with transverse reinforcements. The tensile force of a headed bar is considered to be developed by head bearing together with bond along a bonded length as a partial embedment length. The model requires construction of struts with biaxially compressed nodal zones for head bearing and fan-shaped stress fields against neighboring nodal zones for bond stresses along the bonded length. Due to the existence of transverse reinforcements, the fan-shaped stress fields are divided into direct and indirect fan-shaped stress fields. A required development length and head size of a headed bar can be optimally designed by adjusting a proportion between a bond contribution and bearing contribution.

  • PDF

75톤급 액체로켓엔진 연소기의 저압 조건에서 수행된 연소안정성 시험 (Combustion Stability Rating Test under Low Pressure Condition of a 75-tonf-class LRE Thrust Chamber)

  • 이광진;강동혁;김문기;안규복;한영민;최환석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92-100
    • /
    • 2010
  • 75톤급 기술검증용 연소기의 연소안정성 시험이 저압 조건에서 수행되었다. 이 시험에 사용된 두 개의 연소기 헤드 중 하나는 631개의 분사기를 가지며, 다른 하나는 721개의 분사기를 가진다. 631개의 분사기를 갖는 연소기 헤드는 연소압력 30 bar에서 자발 불안정이 발생하였고 721개의 분사기를 갖는 연소기 헤드는 동일한 연소압력과 동일한 유량 조건에서 고주파 연소안정성이 유지됨을 보였다. 그러나 721개의 분사기를 갖는 연소기 헤드는 연소압력 20 bar에서 자발 불안정이 발생하였고 이러한 결과로부터 연소기 헤드의 형상은 안정성 경계 영역을 변화시킴을 알 수 있었다.

Study on Uncertainty Factors of Head Vibration Measurements

  • Cheung, Wan-Sup;Ryu, Je-Dam;Hong, Dong-Pyo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101-104
    • /
    • 2004
  • This paper addresses uncertainty issues encountered recently in measuring head vibration using the conventional 6-axis or 9-axis bite-bar Those conventional bite-bars are shown to present insufficient information to measure a complete 6 degree-of-freedom motion of head vibration. In order to overcome such limit, a theoretical measurement model that consists of four 3-axis linear accelerometers is suggested (Theoretical backgrounds presented in this paper shall have been addressed in the international congress of ICA 2004 in this April). It is shown to enable the direct measurement of three angular acceleration components and six angular velocity-dependent nonlinear terms. In audition to the three linear acceleration terms, those nine angular motion-dependent ones are found to make it possible to evaluate the general head vibration for a given position. To examine the feasibility of the proposed method, a newly designed 12-axis bite-bar was developed. Detailed experimental results obtained using the developed 12-axis bite-bar are illustrated in the presentation of this paper, which illustrates what amount of measurement accuracy provides. But, this paper provides more detailed experimental data and extended uncertainty factors.

  • PDF

현장시험을 통한 ABG 하이브리드 공법의 거동 메커니즘 분석 (Behavioral Mechanism of Hybrid Model of ABG: Field Test)

  • 서형준;김현래;정남수;이인모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10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 /
    • pp.523-534
    • /
    • 2010
  • A hybrid system of soil-nailing and compression anchor is proposed in this paper; the system is composed of an anchor bar (installed at the tip) with two PC strands and a steel bar. After drilling a hole, installing proposed hybrid systems, and filling the hole with grouting material, prestress is applied to the anchor bar to restrict the deformation at the head and/or to prevent shallow slope failures. However, since the elongation rate of PC strand is much larger than that of steel bar, yield at the steel bar will occur much earlier than the PC strand. It means that the yield load of the hybrid system will be overestimated if we simply add yield loads of the two - anchor bar and PC strands. It might be needed to try to match the yielding time of the two materials by applying the prestress to the anchor bar. It means that the main purpose of applying prestress to the anchor bar should be two-fold: to restrict the deformation at the nail head; and more importantly, to maximize the design load of the hybrid system by utilizing load transfer mechanism that transfers the prestress applied at the tip to the head through anchor bar. In order to study the load transfer mechanism in a systematic way, in-situ pullout tests were performed with the following conditions: soil-nailing only; hybrid system with the variation of prestress stresses from 0kN to 196kN. It was found that the prestress applied to the anchor system will induce the compressive stress to the steel bar; it will result in decrease in the slope of load-displacement curve of the steel bar. Then, the elongation at which the steel bar will reach yield stress might become similar to that of PC strands. By taking advantage of prestress to match elongations at yield, the pullout design load of the hybrid system can be increased up to twice that of the soil-nailing syste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