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dustrial effluent and Agricultural soil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9초

Effects of Heavy Metals Pollution in Soil and Plant in the Industrial Area, West ALGERIA

  • Tahar, Kebir;Keltoum, Bouhadjera
    • 대한화학회지
    • /
    • 제55권6호
    • /
    • pp.1018-1023
    • /
    • 2011
  • Alzinc is a ursine situated in the Ghazaouet town western part of the republic of Algeri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degree of contamination which soil and plants are burdened with some heavy metals: Pb, Zn, Ni, Cu, Cd, Mn, Cr, Fe and As, then the accumulation of heavy metals in the soil and plant adjacent of area the alzinc ursine was detected and the interdependence of pollution among all three regions of the environment determined. This paper analyzes the heavy metal contents within a 2-years period in the soil and plants at the beginning of the vegetation period. The presence of Pb, Zn, Ni, Cu, Cd, Mn, Cr, Fe and As, in the samples were analyzed using Inductively Coupled Plasma-Atomic Emission Spectrometry (ICP-AES). Measurements of heavy metal contents were performed at three locations in soil and vegetative parts of three-plant types (plant alimentary) period during summer. The plant samples from the immediate environment of the dumpsite were highly contaminated with Zn, Cd and Mn. Three plants species: grape, artichoke and pepper, particularly, grape met some of the conditions to be classified as accumulators for Zn, Cu, Cd and Fe, consequently, she revealed a health risk for human and livestock due to the spread of the metal pollution from waste dumpsites to agricultural areas.

대청호 상류유역 매립지의 침출수 분석 및 평가 (Assessment of Leachate from Solid Waste Landfills in Daechong Lake Upper Drainage Basin)

  • 홍상표
    • 환경영향평가
    • /
    • 제12권3호
    • /
    • pp.161-170
    • /
    • 2003
  •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17 solid waste landfills in the upper drainage basin of Lake Daechong, the landfill sites were surveyed, the leachate of these landfills were analyzed, and the analysis results were assessed from standpoint of water contamination. Sanitary landfills which are now being operated are relatively well equipped with facilities such as leachate collection, daily soil cover and landfill gas treatment devices. But a few of open-dumping landfills were leaking leachate apparently and were supervised improperly and neglectfully by local governments. Some of sanitary landfills exceeded the COD permission criteria of leachate effluent, and some of open-dumping landfills exceeded SS, T-P, Pb, As, Fe, Mn permission criteria of leachate effluent. To improve the water quality of Lake Daechong which is utilized for supplying drinking water, agricultural water, and industrial water to the great part of Chungchong area, the adequate and prompt measures for preventing Daechong Lake water contamination from landfills leachate is necessary.

오염부하량 및 유하거리가 인공습지에 의한 폐수처리 효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ollutant Loading and Flow Distance to Wastewater Treatment Efficiency in the Constructed Wetland System)

  • 김형중;김선주;윤춘경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97-108
    • /
    • 1997
  • Natural wastewater treatment systems using the constructed wetland system were evaluated for the wastewater from the industrial complex in rural areas. For the treatment of wastewater from the industrial complex in rural area, a pilot plant of the constructed wetland system was installed at Baeksuk agri-industrial complex in ChunahnCity, Chunchungnam-Do. The experiment with this pilot plants was performed for 1996 and 1997. Results of the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or the BOD and COD, when the pollutant loading of them was about 1 3.8g/$m^2$. day (the concentration was l24.0mg/${\ell}$) arid 24.4g/$m^2$.day(the concentration was 220.Omg/${\ell}$), the removal rate of them was high, 90.2% and 93.4%, respectively. For the SS, the effluent concentration was consistently lower than the water quality standard even though the influent concentration varied significantly, which showed that SS was removed by the system effectively which consist of soil and plants. For the T-N and T-P, when the influent pollutant loading of them were moderately high, 2.8g/$m^2$.day to 7.4g/$m^2$. day(concentration 25.0mg/${\ell}$ to 49.7mg/${\ell}$) for T-N and 1.0g/$m^2$.day to 2.6g /$m^2$.day(concentration 8.6mg/${\ell}$ to 14.7mg/${\ell}$) for T-P, the removal rate of them were 86.5% and 94.0%, respectively. The removal rate by the flow distance increased rapidly in the first 4m from the inlet zone, and gradually there after. The width of system was 2m. Overall, the result showed that constructed wetland system is a feasible alternative for the treatment of wastewater from industrial complex in rural areas. Compared to existing systems, this system is quite competitive because it requires low capital cost, almost no energy and maintenance, and therefore, very cost effective.

  • PDF

인공습지에 의한 농공단지 폐수처리 (Natural Treatment of Wastewater from Industrial Complex in Rural Area by Subsurface Flow Wetland System)

  • 윤춘경;임융호;김형중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70-174
    • /
    • 1997
  • 자연정화방법 중 처리효과가 널리 알려진 인공습지를 농공단지 폐수처리에 적용할 수 있는지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천안시에 위치한 백석농공단지에 시작품을 설치하여 현장실험한 결과를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처리조의 폐수유입량은 약 $0.2m^3/m^2\;{\cdot}$일이었으며 처리조내의 이론적인 체류기간은 약 1.05일이었다. 1. 유입폐수의 농도가 방류수 수질기준치보다 낮은 경우가 많았는데, 특히 T-N과 T-P는 지속적으로 모두 기준치보다 크게 낮아서 이 부분은 처리가 불필요한 정도이었으며, 평균처리율은 T-N, T-P가 각각 41%, 50% 정도를 유지하였다. 2. DO의 경우는 유입수보다 유출수의 농도가 높아서 깊이 0.6m의 처리조내에 산소가 대기로부터의 재폭기를 통하여 원활히 공급되며, 호기성처리에 문제가 없음을 알 수 있다. 3. BOD와 COD는 유입수의 농도 변화폭이 컸는데, 이에 따라 유출수의 농도도 수질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가 많았다. 평균처리율이 BOD는 약 56%이며 COD는 약 43%로 처리효과는 뚜렷하였으나, 유입수의 농도가 높으면 수질기준치를 만족시키지 못하였고, 특히 기온이 낮으면 효율이 낮아져 인공습지방법의 본격적인 적용을 위해서는 이 부분을 보안하기 위한 추가연구가 요구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기온이 떨어지는 시기에도 BOD와 COD가 각각 50.2%와 43%의 처리율을 유지하였다. 4. SS는 유입수의 농도가 60mg/l까지 변화하였으나, 유출수는 지속적으로 15mg/l 이하로 낮아서 인공습지에 토양으로 구성된 처리조를 통과하며 SS는 매우 효과적으로 제거됨을 알 수 있었다. 5. 인공습지에 의한 처리방법을 항구적으로 도입하기 위해서는 온도가 떨어지는 10월 이후의 보온대책을 연구하여 겨울철에도 처리효율을 유지할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6.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전반적으로 인공습지를 농공단지 폐수처리에 적용시킬 수 있다고 판단되며, BOD와 COD 처리의 부족한 부분은 보완성 추가처리를 병행하면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특히 이 방법에는 시설비, 에너지, 그리고 전문적인 유지관리가 거의 필요없어서 매우 경제적이고 실용적임을 고려하면 농공단지 폐수처리뿐만 아니라 생활오수나 축산폐수 등 응용범위를 확대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 PDF

가축분뇨 내 대장균 제거와 부유물질 저감 효율 향상을 통한 추비 생산용 미세기포 부상분리와 마이크로 필터 연계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integrated microbubble and microfilter system for liquid fertilizer production by removing total coliform and improving reduction of suspended solid in livestock manure)

  • 장재경;이동관;백이;이태석;임류갑;김태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139-147
    • /
    • 2021
  • 가축분뇨는 고액분리 후 액상 가축분뇨를 호기생물반응조에서 충분히 부숙시켜 화학비료를 대체한 유기질비료(액비)로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액비는 작물 생장 중인 여름철에는 토양 살포가 제한되기 때문에 액비 처분 문제가 반복 발생되고 있다. 액비를 추비(웃거름)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액비 내 슬러지 저감,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안정성 문제가 확보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가축분뇨 액비의 추비 이용을 위해 부유물질(SS) 제거와 살균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는 마이크로버블 장치(FeMgO 촉매 삽입)의 액비 내 부유물질과 대장균군의 저감효과를 알아보고 마이크로 필터 장치를 연계한 시스템의 부유물질 제거 효율 향상 여부를 확인하였다. 마이크로버블 장치의 부상분리 과정을 거치면서 액비 내 부유물질은 57.9% 제거되었으며, 대장균군은 검출되지 않았다(16,200 MPN/100mL → 0 MPN/100mL). 마이크로 버블 장치와 마이크로 필터 연계 시스템의 수리학적 체류시간 최적화을 통해 액비 내 부유물질 제거 효율은 수리학적 체류시간이 0.1h 조건에서 92.9%까지 향상된 것을 확인하였다. 같은 조건에서 처리수의 성상을 확인한 결과 유기오염물질은 64.5%(TCOD), 70.1%(SCOD) 제거되었으며 인산염인(PO4-P)과 총질소(TN)의 농도도 각각 54.9%와 51.5%까지 감소되었다. 이러한 연계 시스템으로부터 처리된 유출수는 기존 액비의 조성보다 부유물질 및 오염물질 농도 감소, 대장균군이 포함되지 않아 추비로 직접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