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rginine

검색결과 673건 처리시간 0.036초

L-Arginine의 산화질소생성과 무관한 혈관이완효과 (Nitric Oxide/cGMP-Independent Vasorelaxation Enhanced by L-Arginine)

  • 문승호;이종은;유광재;오봉석;이동준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2호
    • /
    • pp.102-107
    • /
    • 1998
  • L-Arginine이 산화질소 생성의 전구물질로서 공헌하는 것 이외에 다른 기전에 의하여도 혈관이완을 일으키는가 구명하기 위하여 적출 흰쥐 흉부대동맥 표본에서 L-arginine에 의한 장력, 조직 산화질소 및 cGMP 함량 변동 등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Phenylephrine(3.5$\times$10-6 mol/L) 수축 대동맥 표본은 L-arginine(10-9~10-3 mol/L)에 의해 용량의존 이완되었다. NG-Nitro-L-arginine methyl ester(L-NAME, 10-5 mol/L) 전처치에 의해 저농도 L-arginine(10-9~10-6 mol/L)에 혈관이완 효과는 소실되었으나 고농도 L-arginine(10-4~10-3 mol/L)의 이완효과는 도리어 증강되었다. 내피층 파괴 혈관 표본은 L-arginine에 대해 이완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2. L-NAME(10-5 mol/L) 존재하에 일어나는 L-arginine 이완효과는 indomethacin 전처치에 의해 영향받지 않으나, ouabain 전처치에 의해 유의하게 감약되었다. 또한 L-arginine 이완효과는 methylene blue에 의해 부분적으로 길항되었다. KCl(3.5$\times$10-2 mol/L) 수축 대동맥 표본은 L-arginine(10-9~10-3 mol/L)에 의해 L-NAME (10-5 mol/L) 처치와 무관하게 이완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3. L-NAME는 혈관조직 산화질소 함량을 감소시키며 이 감소효과는 L-arginine(10-4 mol/L)에 의해 영향받지 않았다. 또한 L-NAME는 혈관조직 cGMP 함량을 감소시키나 이 감소효과는 L-arginine에 의해 영향받지 않았다. 이상의 실험성적은 L-arginine이 내피세포의 산화질소 및 cGMP 생성과 무관한 기전을 통해서도 내피의존 혈관이완효과를 나타냄을 시사하였다.

  • PDF

L-Arginine의 흰쥐 적출심근보호 효과에 관한 연구 (Study on Myocardial Protective Effect of L-arginine)

  • 이인성;이헌재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10호
    • /
    • pp.1076-1080
    • /
    • 1996
  • 허혈후 재관류시 일산화질소의 전구체인 L-arginin에 심근기능에 미치는 영향은 각 연구의 조건에 따라 일정하지 않다. 저자들은 L-arginine의 농도에 의한 심근보호효과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란겐돌프 관류장치하의 흰쥐 적출심장에 37.5$^{\circ}C$에서 30분의 허혈과 30분의 재관류를 실시하면서 재관류시 관류액에 L-arginine을 첨가하여 농도를 1, 2, 3, 4 mm/L로 하였고 대 조군에는 L-arginine을 첨가하지 않았다. 허혈기 직전과 재관류 30분에 좌심실 수축기능(좌심실 발생압, 좌심실압 최대 순간 증가율), 이완기능(좌심실압 최대 순간 감소율)과 관상관류량을 측정하였다. L-arginine 농도가 1mm/L, 2 mm/L인 실험군은 좌심실 발생압, 좌심실압 최대 순간증가율, 좌심실압 최대 순간감소율 및 관상관류량의 회복률이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으나 우수한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L-arginine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회복률은 감소하여 4 mM/L농도의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낮은 회복률을 보였다(p(0.05).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심근허혈후 재관류시 심근기능 및 관상관류량 회복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L-arginine을 2mM/ 이하의 농도로 투여 해야 하며 향후 그 이상의 높은 농도에서 나타난 회복 저하에 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The effects of endurance training and L-arginine supplementation on nitric oxide production, muscle glycogen concentration, and endurance performance

  • Choi, Sung-Keun;Park, Sok;Lee, Cheon Ho
    • 운동영양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51-59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endurance training and prolonged L-arginine supplementation on blood glucose, blood insulin, muscle glycogen, muscle glycogen synthase (GS), muscle nitric oxide (NO), muscle nitric oxide synthase (NOS), endurance performance. We equally divided 36 Sprague-Dawley mice to be distributed into control group, L-NMMA treated group and L-arginine treated group. The L-arginine treated group and L-NMMA treated group consumed 10 mg/kg/day of L-arginine and 5 mg/kg/day of L-NMMA for 6 weeks period. Mice of control group, L-arginine treated group, and L-NMMA treated groups performed swimming exercise training for 60 min once a day, 5 days per week for 6 weeks. Blood glucose had tendency to increase in L-arginine treated group than the control group, and insulin significantly increased in L-arginine treated group than the control group. L-arginine treated group showed significant increase in glycogen, GS, NO and NOS in the gastrocnemius muscle and soleus muscl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Whereas L-NMMA treated group showed the lowest glycogen, GS, NO and NOS in the gastrocnemius muscle and soleus muscle compared to control group and L-arginine treated group. Exhaustive swimming time had tendency to increase in L-arginine treated group compared to the value for control group. These reults indicate that endurance training and prolonged L-arginine supplementation appear to be effective in exhancing nitric oxide production, glycogen concentration and endurance performance.

L-arginine 섭취가 고강도 훈련 프로그램에 따른 카누선수의 근 손상 지표, 피로 물질 및 경기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arginine supplementation with high-intensity training on muscle damage and fatigue index and athletic performance in Canoe Athletes)

  • 정종환;강은범;김창환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942-953
    • /
    • 2019
  • 본 연구는 L-arginine 섭취가 고강도 훈련 프로그램에 따른 카누선수의 근 손상 지표, 피로 물질 및 경기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고등학교 카누 선수 7명을 대상으로 고강도 훈련 프로그램을 적용하였으며, 고강도 훈련 프로그램은 주 2회의 유산소 운동(화, 목), 주 3회의 무산소 운동(월, 수, 금) 그리고 주 5회의 유연성 운동을 실시하였다. 고강도 훈련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6주 과정 중에 처음 2주는 약물섭취(L-arginine or 위약)를 실시하고 다음 2주는 wash out, 그리고 마지막 2주도 약물섭취(L-arginine or 위약)를 실시하였다. 모든 연구대상자들이 L-arginine 섭취(시험군)와 위약그룹(대조군)으로 배정되는 교차설계로 디자인하였다. L-arginine은 하루 총 3g으로 섭취하였다. 채혈을 통해 L-arginine 섭취에 따른 근 손상 지표, 피로 지표, 항산화력을 확인하였으며, 혈관내피세포기능 분석을 위해 FMD, 그리고 카누 에르고미터를 활용하여 카누 경기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L-arginine 섭취에 따른 Ammonia, IP, CK의 수준의 직접적인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LDH의 수준은 L-arginine 섭취로 인해 PLA 그룹보다 ARG 그룹에서 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L-arginine 섭취에 따른 Total NO, d-ROMs, BAP, 그리고 FMD의 수준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카누 경기력 향상을 확인하기 위해 실시한 500M 카누 에르고미터 결과에서 총시간, 스트록 거리, 평균속도 분석에서 L-arginine의 운동수행능력 향상의 직접적인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L-arginine 섭취로 인해 근 손상 지표, 피로 지표, 항산화력, FMD, 그리고 카누 경기력 수준이 개선되는 경향은 나타났다. 따라서 L-arginine 섭취의 잠재적인 운동능력 향상 보조제 효과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호흡곤란 증후군 미숙아에서 혈중 L-arginine 농도와 Oxygenation Index 및 폐동맥압과의 관계 (Plasma L-Arginine Concentration, Oxygenation Index and Pulmonary Artery Pressure in Premature Infants with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 정경아;이순주;성인경;전정식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6권12호
    • /
    • pp.1207-1211
    • /
    • 2003
  • 목 적 : RDS가 있는 미숙아에서 질병의 심한 정도와 폐동맥압 및 혈중 L-arginine 농도와는 어떤 연관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RDS로 인공 환기요법을 시행 받은 재태기간 37주 미만 미숙아 21명을 대상으로 하여 제 1병일, 제 3병일, 제 7병일에 혈액을 채취하여 혈중 L-arginine 농도를 측정하였다. 혈액채취와 동일한 시기에 호흡곤란 증후군의 중등도를 나타내는 지수로서 OI를 산출하였고, 도플러 심초음파를 이용하여 RVSTI를 측정하여 폐동맥압의 지표로 삼았다. OI와 혈중 L-arginine 농도 및 RVSTI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결 과 : 1) OI가 클수록 RDS 미숙아의 혈중 L-arginine 농도는 낮았다(r=-0.346, P<0.01). 2) OI가 클수록 RVSTI도 증가되었다(r=0.772, P<0.01). 3) RVSTI가 커지면 RDS 증후군 미숙아의 혈중 L-arginine 농도는 낮았다(r=-0.416, P<0.01). 결 론 : RDS가 있는 미숙아에서 질병이 심할수록 혈중 L-arginine 농도는 낮고, 폐동맥압은 높았으며, 폐동맥압이 높을수록 혈중 L-arginine 농도는 낮은 관계를 보였다.

L-아르기닌이 오메프라졸의 안정성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L-arginine on the Stability of Omeprazole)

  • 이은진;한경두;신희종;김정우;김종국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27권1호
    • /
    • pp.23-27
    • /
    • 1997
  •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L-arginine as stabilizing agent for omeprazole, the degradation rate constant of omeprazole in aqueous solution was determined at 30, 40 and $50^{\circ}C$ with various ratios of L-arginine to omeprazole. The pH of omeprazole solutions was also determined. As the amount of L-arginine increased, the pH of omeprazole solution also increased, and the solution appeared to be more stable. The omeprazole in aqueous solution could be stabilized by more than 15:1 molar ratio of L-arginine to omeprazole. The stability of omeprazole in commercial products using L-arginine or sodium phosphate dibasic as stabilizing agent was investigated. Among the commercial products, the omeprazole product prepared with L-arginine (molar ratio of L-arginine to omeprazole, 20:1) was most stable.

  • PDF

Nitric Oxide의 합성 억제제인 N$_G$-Nitro-L-Arginine의 항이뇨작용 기전에 관한 연구 (Studies on Mechanism of Antidiuretic Action of N$_G$ Nitro-L-Arginine, Nitric Oxide Synthase Inhibitor, in Dog)

  • 고석태;유강준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6권3호
    • /
    • pp.225-231
    • /
    • 1998
  • This studies were performed for investigation of mechanism on central antidiuretic action of L$_{G}$-Nitro-L-arginine (L-NOARG), nitic oxide systhase inhibitor, in dog. Antidiuretic action of L-NOARG infused into the carotid artery was not affected by renal denervation but inhibited by pretreatment with arginine, NO Precusor. Furthermore, L-NOARG inhibited the diuretic action of dopamine induced by hemodynamic development. Above results suggest that antidiuretic actions of L-NOARG mediated by endogenous substances not associated with renal nerve. Therefore, it is demonstrated that those endogenous substances might be associated with NO which mediate the diuretic action of dopamine.e.

  • PDF

식이지방의 종류와 L-arginine 보충이 당뇨쥐의 ENdothelium 기능 및 체내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Fat Sources and L-arginine Supplementation on Endothelial function and Lipid Metabolism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 장문정;김연중;김명환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5권1호
    • /
    • pp.5-14
    • /
    • 2002
  • Alteration in the syntesis or enhanced inactivation of nitric oxide(NO) can induce impairment of endothelial cell function. Insulin dependent diabetes mellitus(IDDM) is characterized by impaired endothelial function and vascular disease. NO is produced through L-arginine pathway To elucidate the hypothesis that the decreased production on NO in IDDM reflects vascular damage and the NO production can be manipulated by either dietary fat(7% of kg diet) or the oral supplementation with L-arginine(2g/kg bw), plasma markers for vascular endothelial damage and plasma lipid profiles were measured in streptozotocin(STZ)-induced diabetic rats. Diabetic or normal Sprague-Dawley rats were fed 6 different experimental diets for 4 weeks(SO : soybean oil, SOA: soybean oil + L-arginine supplementation, BT : beef tallow, BTA_ beef tallow + L-arginine supplementation, OV olive oil, OVA : olive oil + L-arginine supplementation). Plasma glucose, total cholesterel, HDL-cholesterol, LDL-cholesterol and triglyceride were measured. Endothelial markers, plasma von Willebrand factor(vWf), thromboxane B$_2$, and 6-keto PGF1$\alpha$ of aorta were measured by ELISA. Plasma NO production was evaluated through the measurement of nitrite by EIA. Feeding saturated fatty acid(SFA, BT) increased relative liver size(RLS) in diabetic rats compared to either polyunsatunted fatty acid(PUFA, SO) or monounsaturated fatty acid(MUFA, OV) The supplementation of L-arginine inhibited the liver and kidney enlargement in olive oil find diabetic rats. Plasma glucose was lower in diabetic animal find the olive oil compared to fed beef tallow and the supplementation L-arginine decreased it in diabetic rats find beef tallow significantly(p < 0.05). Plasma TXB$_2$ levels were increased due to diabetes and the value of beef tallow group showed highest value. Plasma vWf concentration of beef tallow group was higher value in normal rats and was elevated more in diabetes. In diabetic groups, the vWf concentration of olive oil group was lower than beef tallow or soybean oil group. The supplementation of L-arginine in diabetic rats decreased plasma TXB$_2$ and vWf levels significantly(p < 0.05). NO production was higher in normal olive oil fed rats and was tend to be decreased in diabetic rats and the supplementation of L-arginine recovered to normal value(p < 0.05), Olive oil supplemented with L-arginine tended to lower plasma total cholesterol and LDL-cholesterol after 4 week treatm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generalized vascular endothelial changes based on plasma TXB$_2$and vWf occurs in diabetic rats. and olive oil with L-arginine supplementation contributes to a better control of the hyperglycemia, endothelial changes and hypercholesterolemia accompanying diabetes as compared with beef tallow or soy bean oil in this rat model.

소시지 제조시 인산염 대체 소재로 L-Arginine의 활용 (Application of L-Arginine as a Substitute for Inorganic Polyphosphate in Pork Sausage Production)

  • 김용덕;이준수;박준현;박동철;전영승;인만진;오남순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7권2호
    • /
    • pp.171-174
    • /
    • 2014
  • $\small{L}$-아르기닌의 알칼리성과 보습성을 식품에 활용하는 연구의 일환으로 폴리인산염 대신에 $\small{L}$-아르기닌을 0.25, 0.5, 1.0% (w/w) 첨가하여 소시지를 제조하고, 각각의 pH, 보수력, 유화 안정성 및 조직감을 조사하였다. 소시지의 pH는 $\small{L}$-아르기닌의 첨가량에 비례하여 증가하였으며, 수분함량은 $\small{L}$-아르기닌을 0.25% 이상, 유화 안정성은 0.5% 이상, 경도와 전단력은 1.0%를 첨가한 결과가 폴리인산나트륨을 0.5% 첨가한 소시지의 특성과 유사하였다. 인산염 0.5%와 $\small{L}$-아르기닌 0.5% 첨가 소시지에 대하여 관능 평가를 실시하였다. 조직감은 인산염을 사용한 시료가 $\small{L}$-아르기닌을 첨가한 시료보다, 맛과 전체적인 기호도에서도 $\small{L}$-아르기닌을 첨가한 소시지가 다소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소시지 제조시 $\small{L}$-아르기닌은 인산염 대체 소재로 활용될 수 있으며 첨가량은 0.5%가 적절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L-arginine 투여와 훈련이 SHR의 심혈관 반응과 면역력에 미치는 영향 (Combined Eeffect of Exercise and L-arginine Supplementation on Cardiovascular and Immune Responses in SHR)

  • 곽이섭
    • 생명과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703-706
    • /
    • 2005
  • 본 연구는 Wistar-Koyto Rat과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을 대상으로 10주간의 L-arginine 투여와 규칙적인 수영 훈련을 하였을 때, 심박수, 혈압, 간조직의 eNOS 활성 및 대식세포의 활성수준을 비교 분석하여 고혈압 질환상태에서 심혈관계 및 eNOS 수준에 대한 L-arginine 투여와 훈련의 효과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결과적으로 고혈압 통제군의 심박수, 혈압, eNOS, 및 대식세포의 활성은 정산군에 비해 현저하게 높은 수치를 보였는데, 이는 고혈압으로 인한 혈관내피세포 손상으로 산화질소 생성기전에 불안정을 초래하여 심혈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해석한다. 하지만 L-arginine 투여와 규칙적인 수영훈련은 심박수, 혈압 및 eNOS 수준을 안정 수준으로 회복하였고, 대식세포의 활성 역시 안정화함으로 심혈관계에 긍정적인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