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brary Remodeling Project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5초

대학도서관 리모델링 프로젝트에 관한 소고 - 덕성여자대학도서관을 중심으로 - (A Review of the Remodeling Project of Duksung Women's University Library)

  • 유재옥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415-436
    • /
    • 2012
  • 대학도서관의 리모델링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가장 중요한 부분은 리모델링프로젝트의 추진방향인 목표를 잡는 것이다. 대학도서관은 주요 이용자인 학생들을 위한 공간이 되어야 한다는 것을 최종목표로 삼았을 때, 공간배치나 내부 인테리어 디자인은 자연스럽게 이용자중심적 설계로 이어진다. 본 대학도서관은 다음과 같은 세 가지의 목표를 수립하고 대학도서관 리모델링 프로젝트를 추진하였다. 첫째, 대학도서관은 이용자인 학생들의 생활의 중심장소가 되어야 한다. 둘째, 대학도서관은 이용자가 문화적인 체험의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복합문화공간이 되어야 한다. 셋째, 대학도서관은 이용자가 오래 머물고 싶은 장소가 되어야 한다. 이용자가 도서관에 오래 머물게 될 때, 이용자는 도서관이 제공하는 서비스에 자연스럽게 노출되어 이용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대학도서관은 매력적인 장소가 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은 대학도서관 리모델링프로젝트를 수행하면서 준비한 내용과 진행의 전 과정을 소개함으로서 비슷한 프로젝트를 준비하는 관련자들과 유용한 정보와 경험을 나누고자 한다.

학교도서관 활성화 종합 방안 효과에 대한 분석 - 2003-05년도 사업 결과를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the Impact of the School Library Revitalization Project)

  • 곽철완;장윤금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143-160
    • /
    • 2006
  • 본 연구는 학교도서관 활성화 사업 3년간의 추진 실적을 조사하여 그 효과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학교도서관 현황조사, 학교도서관 인식조사, 집단면담이 사용되었다. 연구는 앞으로 학교도서관이 학생들의 학업능력 향상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서 필요하다고 보이는 4가지 요인, 즉 학교도서관 운영시간 프로그램, 장서, 이용률을 선정하여 조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학교도서관 설치 혹은 리모델링으로 인하여 이용자들의 학교도서관 활용도 및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많이 향상되었으며 이는 우리나라 학교도서관이 미국의 학교도서관 연구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학생들의 학업능력 향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결과로 발전해 갈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도서관장서와 전담 전문인력은 아직 매우 부족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서 이에 대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 PDF

학교도서관 공간 영역 및 실내 환경 요소의 구성 현황과 사서 교사 인식 분석 (Analysis of Current Status and Teacher Librarians' Perception about Space Composition and Interior Environment of School Libraries)

  • 송기호;강봉숙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67-87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도서관 공간 영역 구성과 실내 환경 구성에 대한 현황과 사서 교사 인식을 분석하고, 학교도서관이 미래 교육 기본 시설로 자리매김하는 데 필요한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설문에 참여한 126명의 사서 교사가 가장 많이 확보한 공간은 자유 독서 영역이고, 가장 낮은 확보 정도를 보인 공간은 매체 제작·집단 프로젝트 영역이다. 공간 영역 중 사서 교사가 가장 중요하게 여기고 있는 영역은 교수 영역과 자유 독서 영역이고, 매체 제작·집단 프로젝트 영역에 대한 중요성 인식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실내 환경 평가 요소 중 안전성과 쾌적성은 가장 중요하게, 다양성과 융통성에 대한 중요성 인식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분석 결과, 학습공유공간과 창작 공간을 강조하고 있는 교육계와 도서관계의 흐름에 비해 사서교사는 여전히 전통적 도서관 공간에 대한 중요도 인식이 높은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사서 교사 양성 및 재교육 과정에 창작공간 및 학습공유공간 구축과 운영 방안을 포함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이용자의 실내 환경 만족도를 높일 수 있도록 공간 구성과 실내 환경 구상에 교사와 학생 그리고 학부모 등 도서관 이용자의 참여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