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cal Child Care Center

검색결과 48건 처리시간 0.024초

사회복지사의 사회적 지지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지역아동센터를 중심으로- (Effect of Social Support for Social Welfare Workers on Job Satisfaction -Focusing on local child care center-)

  • 문호성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180-188
    • /
    • 2014
  •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에서 아동들에게 직접 서비스를 제공하는 핵심인력인 사회복지사의 사회적 지지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전라남도 소재의 지역아동센터에서 근무하는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240부를 분석자료로 활용하였다. 사회복지사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통제변수로 설정하여 사회적 지지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사회적 지지가 직무만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사회복지사의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사의 사회적 지지 향상 방안으로 첫째, 지역아동센터 사회복지사들의 업무 표준화와 전문교육의 지지 강화, 둘째, 우수지역아동센터의 가산점 부여, 셋째, 동료 및 지역사회간 네트워크 협력 체계 구축을 제언으로 한다.

지역아동센터에서 노인의 독서교육 활동 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ffect of the Elderly Reading Education Activity in Local Child Care Center)

  • 조미아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95-214
    • /
    • 2012
  •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에서의 아동을 위한 노인의 독서교육 활동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그 효과가 무엇인지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를 위하여 경기도 N지역에 위치한 14개 지역아동센터에서 노인독서도우미의 독서교육 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한 아동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를 수행하였다. 또한 노인독서도우미 활동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기 위하여 지역아동센터의 종사자들과 개별 면담을 진행하였으며 독서수업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관찰하였다. 연구 결과, 독서교육에 참여한 후에 아동의 독서흥미가 향상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노인독서도우미의 활동에 대한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인식이 긍정적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지역아동센터 종사자 업무 역량 척도 개발 및 타당화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Workforce Capacity of Local Children Center)

  • 박운주;송선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256-266
    • /
    • 2019
  • 다양한 업무 역량 척도들이 개발되었지만 지역아동센터 종사자를 대상으로 하는 업무 역량 척도 개발은 매우 부족하다.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업무 역량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 하는 것이다. 또한 업무 범위를 규범하고 업무 역량을 정의하여 종사자의 업무 역량을 평가하는 도구를 개발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 방법은 문헌연구와 델파이조사를 통한 업무 역량 요인을 추출하였고 전문가 협의를 거쳐 예비 문항을 개발하여 내용타당도와 공인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본 조사를 위해 전국 소재 지역아동센터에서 근무하는 종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221부를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이를 통해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업무역량은 5가지요인으로 총 20개의 문항으로 척도가 개발되었으며 생활지도, 프로그램기획, 아동교육, 사무행정관리, 지역사회연계의 하위요인이 추출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척도의 신뢰도는 Cronbach ${\alpha}=.940$(N=221)로 나타났다.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업무 역량 척도를 바탕으로 다양한 업무 역량 프로그램이 개발 될 수 있을 것이며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아동 돌봄 서비스 현장에서 업무 역량 평가를 위해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방과후 아동지도의 질적 수준과 관련 변인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Quality of School-Age Child Care and Related Variables)

  • 노성향;정옥분
    • 아동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17-231
    • /
    • 2002
  •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quality of school-age child care in 142 centers (42 child care centers, 54 social welfare centers, 35 local child center, and 11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Seoul. Overall, the quality of school-age child care was not up to standards : 7% were very well managed, 44.4% were well managed and 48.6% were poorly managed. Financial support from the government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affecting the quality of school-age child care. The child care centers receiving financial support from the government showed high quality care.

  • PDF

일본 자녀양육지원정책의 변화와 보육소의 지역사회 개방(開放) (Changes in Parenting Support Policy and Opening Day Nurseries to Local Communities in Japan)

  • 최미미
    • 비교교육연구
    • /
    • 제27권4호
    • /
    • pp.285-310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일본 자녀양육지원정책의 변화와 더불어 지역사회 내 자녀양육지원 거점으로서 보육소의 기능 및 역할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를 통하여 한국 자녀양육지원정책 및 보육시설의 나아갈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분석 자료로 일본 내각부의 소자화사회 대책 백서, 보육소보육지침 등 국가 수준의 문헌들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일본 자녀양육 관련 정책은 국내외 자녀양육 환경의 변화 및 사회적 요구를 파악하여 지역사회 구성원 모두를 위한 중장기적이고 포괄적인 정책을 도입함과 동시에 자녀양육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을 도모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2001년 "아동복지법" 일부 개정에 따른 보육사 자격의 법정화, 2008년 일본 보육소보육지침(보육소 보육 가이드라인)의 고시화에 따라 지역사회 내 자녀양육지원의 일환으로 가정에 근접해 있는 보육소의 역할이 대두되었으며, 지역사회의 공적 자원으로 개방되어 활용됨으로써 보육소의 사회적 책임이 명시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 지역사회 내 자녀양육지원거점 기관으로서 어린이집의 역할 및 기능에 대한 재고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지역사회 내 어린이집 및 부모들과 같은 실제 관계자들에 대한 목소리에 귀를 기울일 것이 요구된다. 나아가 지역사회 내 구성원 간 협력을 통하여 자녀양육에 대한 이해 및 가치를 공유하고, 그와 관련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공동의 장(場) 활성화를 도모하여야 한다.

보육교사와 학령전기 아동 어머니의 아동 건강증진 교육요구 (Needs for Children's Health Promotion Education as Perceived by Child Care Center Teachers and Mothers)

  • 이영란;박선남;이미란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4권2호
    • /
    • pp.186-198
    • /
    • 201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needs for children's health promotion education programs as perceived by child care center teachers and mothers. Methods: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f 88 child care center teachers and 70 mothers of preschool children in Seoul from January 4 to February 5, 2016. This study aimed to characterize the current conditions of health promotion education for preschool children and the needs for health promotion education as perceived by child care center teachers and mothers of preschool children. Results: Areas of high need for health promotion education included lifestyle improvements for preventing diseases in children and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health in educational objectives, standardized educational manuals, health educators as educators, child care centers as educational places, local health centers as educational support organizations, regular class hours as educational time, role play for training, and actual models in the educational medium. The educational subjects for which a high need was reported included safety and accident prevention, the role of smartphones and TV watching in mental health, and personal hygiene and disease prevention.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health promotion education program for preschool children.

현장 사례로 본 공동육아나눔터의 주요 기능과 운영상 문제 및 활성화 조건 (Main Function, Management Difficulties and Activating Conditions of the Cooperative Child Care Sharing Center Based on Field Cases)

  • 이승미;김선미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6권1호
    • /
    • pp.59-73
    • /
    • 2022
  • 이 연구는 질적 연구 방법론에 의한 현장사례연구로서, 공동육아나눔터의 주요 기능과 운영상의 문제 및 활성화 조건을 탐구한 것이다. 지역(대도시·중소도시·군단위), 개소 시기, 운영기관, 위치, 맞벌이자녀초등전담돌봄 여부, 2020년 돌봄공동체시범사업 참여 여부 등을 고려하여 전국 8지역을 사례로 선정하였다. 공동연구자가 각 센터 현장을 함께 방문하여 센터장 혹은 전담직원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질문지를 활용하여 심층면접을 진행하였다. 면접자료를 전사하여 34개의 하위범주와 12개의 범주를 구성하고, 공동육아나눔터의 주요기능과 운영상의 어려움 그리고 활성화 조건이라는 세 가지 주제를 도출하였다. 이러한 주제를 토대로 공동육아나눔터 활성화방안을 제안하였다.

지역아동센터 사회복지사의 전문성 인식이 조직헌신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ocal Child Care Centers' Social Workers Perceptions Professionalism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 임동호;김대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1호
    • /
    • pp.196-204
    • /
    • 2014
  •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에서 근무하는 사회복지사의 전문성 인식이 조직헌신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전라남도 소재의 지역아동센터에서 근무하는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회수된 설문지 중 결측값을 제외한 286부를 분석자료로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전문성 인식은 중간 점수 이상의 수준을 보였으며, 서비스에 대한 신념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전문성 인식과 조직헌신 간에는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직업에 대한 소명의식과 조직헌신 간의 상관관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전문성 인식의 각 하위변인인 직업에 대한 소명의식, 전문조직의 활용이 조직헌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업에 대한 소명의식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지역아동센터 사회복지사의 전문성 인식 및 조직헌신의 향상 방안과 후속연구의 과제를 제언하였다.

보건소 모자보건실 서비스 이용실태 및 요구도 조사 연구 (A Survey on the Utilization of Maternity and Child Health Service, and Service Requirement)

  • 조성민;김일옥
    • 부모자녀건강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17
    • /
    • 2003
  • Thus, I studied Health services supplied by local health centers and the requirements of the inhabitants visiting the health care faci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material for the establishment of Health care policy and the development of health care businesses. The target places for this study were 4 health centers; Chungrang-Gu, Nowon-Gu, Eunpyung-Gu, Songpa-Gu, with 509 mothers who were visiting the Centers. The question items of this study concerned a total of 124 health-related services provided by the Health Centers. The data was collected for a total of 92 days; July 1st~September 30th, 1999. 800 questionaries were distributed and 559 answered, 509 were analyzed finally. The collected data were processed using the SAS program to get mean, standard deviation, percentage. Open questions were made to reveal the opinions of mothers using the health care center.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Among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49.7% were 25~29 years of age, 84.3% were house wives by current occupation, 56.2% were from 4~6 person households. 52.1 were educated at a high school level, and 43.6% were educated at a collage level. 2. The highest percentage(53.6%) of the users were spontaneous in their utilization of health care center. The major reason for using the Health care center is that it is free to 65.8% of those covered and of low cost to 19.3% of those covered. 3. The satisfaction level of those using the health care center appeared to be generally high. The general average value showed up as $3.027{\pm}0.519$. 4. The level of recognition of the value of the heath care center services was high, particularly in the basic item of diagnoses of pregnancy, particularly in the basic item of diagnoses of pregnancy. However, the satisfaction level of health care education In pregnancy is low at 20~40%. In the meantime, the level of recognition in breast- feeding benefits is high at 76.8%. 5. The rate of realizing health care center's service campaign was generally low at 10~20%. 41.3 of the people knew the advertizing material of the health care centers. 32.4% of the people knew the advertizing material of the health care centers. 32.4% of the people knew the campaign of health care center for importance of breast-feeding benefits. 30.1% of the people knew the campaign for testing congenital mechanism disease. In the meantime about 50% was recognised the health care centers campaign for the importance and time of infants vaccination. 6. The need for enhancement of health care center services was shown to be high as $3.266{\pm}0.676$ as an average, chicken pox vaccination being the most highly requested at $3.565{\pm}0.587.$. 7. Among the open questions, the additional service to be provided were as follows ; increase of campaign of health care center services, furnishing advertizing books in public locations, providing shuttle bus service to the health care centers, extension of desire for preventative injections, rest and play areas for the children of the families serviced, consultation rooms, etc.

  • PDF

기혼여성의 경제활동 증대에 따른 육아지원서비스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hildcare Support Service Corresponding to the Increase in Married Women's Economic Activities)

  • 구명숙;홍상욱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531-546
    • /
    • 2005
  • This study is to examine current child care support policies and their limitations and to make some suggestions by means of statistics and previous literatur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s the women have younger children, the effect is more negative. Second, a maternity leave of Korea is 90 days, which is below ILO standard. Moreover, it is not well supported by the companies they work for. Third, the increasing number of men has spent a paternity leave since the pertinent law was enforced in 2001. The rate of spending the leave, however, is not as high as expected, because it has not yet been decided whether the leave would be paid or not. Lastly, the number of the employer-supporting child care center is rather few due to the legal standard of the facility and the expense that a company should cover. Only 46.5% of the companies that has been appointed to obligatorily establish the center now operate the facility. Therefore, child care support policies should be reformed or improved to help reduce married women's child care burden obviously hindering women from being employed, and this will consequently promote their economic activities. It is also urgently required to expand the application of the parental leave in terms of both object and scope. It is important that employers and employees get ready to compromise each other on the wage issue during the leave. In addition, the flexibility in period and form of the parental leave and the connection of working places with local community for better child care service must be taken into consider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