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MP-9

검색결과 767건 처리시간 0.029초

알러젠 제거 옻나무 추출물이 종양 전이 억제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llergen Removed Rhus Verniciflua Extract on Inhibition of Tumor Metastasis)

  • 박재현;문구
    • 대한암한의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47-61
    • /
    • 2010
  • Objective : The aim of this present study is to evaluate the inhibitory effect of allergen removed Rhus verniciflua (ARV) on Matrix Metalloproteinase-9 (MMP-9), Matrix Metalloproteinase-2 (MMP-2) which is considered to have a clinically important role in tumor metastasis. Methods : The inhibitory effects of standardized extract of ARV on the MMP-2, MMP-9 were investigated by spectrofluorometer while the inhibitory effects on the active MMP-2, pro MMP-2, pro MMP-9 were investigated by zymography. Antimetastatic effect of standardized extract of ARV was investigated in vitro on human fibrosarcoma cell (HT1080)'s invasion through Matrigel. Results : The standardized extract of ARV showed inhibitory effects on the active MMP-2 (IC50, $1.01{\mu}g$/ml), active MMP-9 (IC50, $2.5{\mu}g$/ml) depending on concentrations which was determined by spectrofluorometer. The standardized extract of ARV showed inhibitory effects on the active MMP-2, pro MMP-2, pro MMP-9 depending on concentrations which was determined by zymography. However its inhibitory effect on pro MMP-9 was relatively weaker rather than active MMP-2, pro MMP-2. The standardized extract of ARV showed inhibitory effects in vitro on human fibrosarcoma cell (HT1080)'s invasion through Matrigel according to concentration. Conclusions :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tandardized extract of ARV has antimetastatic effect through inhibit again MMP-2, MMP-9. Also its inhibitory effect is more powerful on active MMP-2, pro MMP-2 than on active MMP-9, pro MMP-9. It is necessary to conduct further studies on other MMP families, TIMP, and each component of standardized extract of ARV.

  • PDF

Associat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 (MMP)-2 and -9 Expression with Extra-gastrointestinal Stromal Tumor Metastasis

  • Wang, Chao;Ma, Hong-Xi;Jin, Mei-Shan;Zou, Ya-Bin;Teng, Yong-Liang;Tian, Zhuang;Wang, Hai-Ying;Wang, Yin-Ping;Duan, Xiu-Mei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10호
    • /
    • pp.4187-4192
    • /
    • 2014
  • Matrix metalloproteinase (MMP)-2 and MMP-9 are important proteases involved in invasion and metastasis of various tumors. Extra-gastrointestinal stromal tumors (EGISTs) are rare neoplasm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ssess MMP-2 and MMP-9 expression in EGIST tissue samples for association with clinicopathological data from the patients. Twenty-one surgical EGIST tissue specimens were collected for analysis of MMP-2 and MMP-9 expression using immunohistochemistry. MMP-2 and MMP-9 proteins were expressed in all of the epithelial cell types of EGISTs, whereas they were only expressed in 75% of the spindle cell type, although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05). Expression of MMP-2 and MMP-9 proteins was associated with tumor size, mitotic rate, tumor necrosis, and distant metastasis (p<0.05). MMP-2 expression was linked with MMP-9 levels (p<0.05). However,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MMP-9 expression and age, sex, primary site, or cell morphology in any of these 21 EGIST patients (p>0.05). Moreover, expression of MMP-2 and MMP-9 proteins increased with the degree of EGIST risk. This study provided evidence of an association of MMP-2 and MMP-9 expression with advanced EGIST behavior.

Sulfolaphane이 lipopolysaccharide (LPS)에 의해 유도된 matrix metalloproteinase-9 (MMP-9) 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ulforaphane on LPS-Induced Matrix Metalloproteinase-9 (MMP-9) Expression)

  • 이정태;우경진;권택규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75-280
    • /
    • 2010
  • Sulforaphane은 십자가화 채소에 존재하는 화합물로 항염증, 항암 및 신생혈관 생성의 억제 효과가 알려짐으로써 최근 많은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LPS에 의한 MMP-9 활성 조절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흡한 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sulforaphane이 LPS 유도에 의한 MMP-9 활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조사해 보았다. Raw 264.7 세포에 sulforaphane을 전처리 한 후 LPS를 처리하여 gelatin zymography를 실시해 본 결과, LPS에 의해 유도된 MMP-9 활성 증가가 sulforaphane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됨을 확인 하였다. 또한 RT-PCR과 MMP-9의 luciferase assay를 통한 실험에서 sulforaphane의 MMP-9 억제효과가 전사단계에서 조절됨을 추측 할 수 있었다. MMP-9 promoter 부위에 여러 가지의 전사조절인자 결합부위가 존재한다. 특히 AP-1과 NF-${\kappa}B$가 중요 전사조절인자로 작용하여 MMP-9 발현조절에 관여한다. 본 실험에서 sulforaphane에 의한 MMP-9 억제효과 기전에 이들 전사조절인자들의 중요한 역할을 조사하였다. AP-1과 NF-${\kappa}B$ 결합부위를 변형 시킨 vector를 transfection하여 MMP-9의 promoter 활성을 측정한 결과, 정상 vector에 비해 그 활성도가 현저히 떨어짐을 확인하였고, LPS에 의해 증가되는 AP-1과 NF-${\kappa}B$의 basal promoter 활성 또한 sulforaphane에 의해 감소됨을 관찰 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sulforaphane의 MMP-9 활성억제효과는 AP-1과 NF-${\kappa}B$와 같은 전사인자들이 MMP-9의 전사를 조절함으로써 일어나는 것임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sulforaphane은 세포의 invasion능력 또한 효과적으로 억제시킴을 관찰 할 수 있었는데 이는 MMP-9 활성억제효과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추측 할 수 있었다.

MAP Kinase Activation is Required for the MMP-9 Induction by TNF-Stimulation

  • Kim, Kyung-Chan;Lee, Chu-Hee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8권11호
    • /
    • pp.1257-1262
    • /
    • 2005
  • MMP-9 is a metalloproteinase capable of basement membrane degradation in vivo. Expression of MMP-9 can be found in normal conditions such as trophoblasts, osteoclasts, and leukocytes and their precursors. They also occur as well as in pathological conditions, such as the invasive growth of primary tumors, metastasis, angiogenesis, rheumatoid arthritis, and periodontal diseases. MMP-9 upregulation can be highly induced by a wide range of agents. These agents include growth factors, cytokines, cell-cell, and cell-ECM adhesion molecules, and agents altering cell shape. Here, we observed that TNF-$\alpha$ stimulated human monocytic cell line, HL-60 produced MMP-9 in a dose and time dependent manner. Real time PCR results indicated transcriptional upregulation of MMP-9 as early as 3 h post TNF-$\alpha$ stimulation. To investigate the signaling pathway underlined in TNF-$\alpha$ induced MMP-9 expression, three MAP kinase inhibitors were added to cells 1 h prior to TNF-$\alpha$ treatment. The ERK inhibitor completely abolished MMP-9 expression by TNF-$\alpha$. But neither p38 MAP kinase nor JNK inhibitor had an effect on TNF-$\alpha$ induced MMP-9 expression, suggesting that ERK activation is required for the MMP-9 induction by TNF-$\alpha$. Taken together, we found that TNF-$\alpha$ stimulation facilitates ERK activation, which results in the transcriptional upregulation of MMP-9 gene and subsequent MMP-9 production and secretion.

인간 자궁경부암세포인 Caski세포에서 withaferin A에 의한 PMA 매개 matrix metalloproteinase-9의 발현 억제 효과 (Withaferin A Inhibits PMA-Induced MMP-9 Expression in Human Cervical Carcinoma Caski Cells)

  • 김동은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355-360
    • /
    • 2013
  • Withaferin A는 Withania somnifera라는 식물에서 추출한 스테로이드 락톤으로 항염증, 항암, 그리고 면역중재 작용과 같은 다양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withaferin A에 의한 MMP-9의 발현 및 활성화 조절에 대한 연구는 수행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우리는 withaferin A가 인간 자궁경부암세포인 Caski세포에서 PMA 매개의 MMP-9의 발현과 활성화를 조절 할 수 있는지 확인하였다. Withaferin A는 농도의존적으로 PMA유도 MMP-9의 활성을 억제하였고, MMP-9의 promoter assay를 통하여 전사단계에서 조절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Withaferin A 의한 PMA 유도 MMP-9의 mRNA와 단백질 발현이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withaferin A에 의한 MMP-9 발현 조절 전사인자로는 NF-${\kappa}B$가 관여함을 확인하였다. Withaferin A는 PMA에 의한 세포이동을 억제하였는데, 이러한 현상은 MMP-9의 발현 및 활성을 조절함으로써 일어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HT1080 세포주에서 naringenin의 MMP-2, -9 효소 활성 및 발현 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 of Naringenin on MMP-2, -9 Activity and Expression in HT-1080 Cells)

  • 채수철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24권1호
    • /
    • pp.63-70
    • /
    • 2009
  • Naringenin, major one of the citrus flavonoids, have been identified that exert antioxidative, anticancer effects.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naringenin on tumor invasion and matrix metalloproteinases(MMPs) activities. Naringenin inhibited cell invasion of HT-1080 fibrosarcoma cells in a dose-dependent manner. The activities of MMP-2 and MMP-9 were inhibited by naringenin as demonstrated by gelatin zymography assay. Furthermore, the amounts of MMP-2, MMP-9, and MT1-MMP mRNA were analyzed in the cells. MMP-2, MMP-9, and MT1-MMP mRNA expression were suppressed by naringenin with time and dose-dependent.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anti-metastatic activities of naringenin resulted from blocking of invasion of the HT-1080 cells. Taken together, the results of this studies provide evidence that naringenin possess an anti-metastatic activity.

Serum Levels of MMP9 and MMP2 in Patients with Oral Squamous Cell Carcinoma

  • Lotfi, Alireza;Mohammadi, Ghodrat;Tavassoli, Atena;mousaviagdas, Mehrnoosh;Chavoshi, Hadi;Saniee, Lale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4호
    • /
    • pp.1327-1330
    • /
    • 2015
  • Background: Squamous cell carcinoma (SCC) is the most common cancer in the oral area. Matrix metalloproteinases (MMPs) and especially MMP-2 and MMP-9 are increased in malignancy and lymph node involvement in oral SCCs. We aimed to evaluate the serum levels of MMP-2 and MMP-9 in patients with oral SCC compared to normal subjects and their relation with clinicopathological findings. Materials and Methods: In this case control study, 20 patients with oral SCC and 20 healthy subjects were included and serum levels of MMP-2 and MMP-9 were compared between groups. Also, the correlation between these markers with clinicopathological findings including grade (T) and node (N) were evaluated. Results: Patients with oral SCC had significantly higher serum levels of MMP-2 (p=0.01) and MMP-9 (p<0.001) compared to healthy subjects. With increase in grade T, MMP-2 was significantly increased (p=0.001), but in the MMP-9 case this was not significant (p=0.27). The levels of MMP-2 (p=0.002) and MMP-9 (p=0.01) in cases with lymph node involvement and that of MMP-2 in subjects with smoking history (p=0.001) were significantly high. There was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MMP-2 with grade T tumor (r=0.598, p=0.005), lymph node involvement (r=0.737, p<0.001) and smoking (r=0.674, p=0.001) and also between MMP-9 and lymph node involvement (r=0.474, p=0.03). Conclusions: Both markers a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oral SCC compared to healthy subjects. However, MMP-2 was better for evaluating lymph node involvement and tumor grade.

무균성 뇌수막염 소아에서 뇌척수액내 Matrix Metalloproteinase(MMP)-9과 Tissue Inhibitor of Metalloproteinase(TIMP)-1의 증가 (Increased Matrix Metalloproteinase-9 and Tissue Inhibitor of Metalloproteinase-1 Levels in the Cerebrospinal Fluid from Children with Aseptic Meningitis)

  • 양주희;박민혁;심정연;정혜림;박문수;금동혁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6권6호
    • /
    • pp.548-553
    • /
    • 2003
  • 목 적 : 뇌수막염에서 MMP-9은 뇌혈관 내피하 기질막을 분해하여 혈관-뇌장벽을 파괴하는데 주된 역할을 담당하며 TIMP-1은 MMP-9의 전효소와 복합체를 형성하여 MMP-9의 작용을 선택적으로 억제하는 인자로 알려져 있으나 이들의 상호작용은 아직 밝혀진 바가 별로 없다. 최근 세균성 뇌수막염 환자의 뇌척수액에서 MMP-9과 TIMP-1 측정에 대한 연구가 있었고, 특히 세균성 뇌수막염에서 신경학적 합병증의 예후인자와 관련하여 MMP-9의 역할에 대한 보고들이 있었으나 아직 무균성 뇌수막염 환자를 대상으로 한 보고는 별로 없었고 특히 국내에서 보고된 바는 없었다. 이에 저자들은 무균성 뇌수막염 환아의 혈액과 뇌척수액에서 MMP-9과 TIMP-1의 농도를 측정하여 대조군과 비교하고, MMP-9과 TIMP-1 및 다른 뇌수막염 관련인자들 사이의 상관관계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 법: 2002년 6월부터 7월까지 강북삼성병원 소아과 내원환자 중 발열과 뇌막자극증상을 보인 40명의 환아들을 대상으로 뇌척수액 검사를 시행하여, 무균성 뇌수막염 소견을 보인 25명을 뇌수막염군, 정상소견을 보인 14명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입원당일 혈액과 뇌척수액을 채취하여 혈액에서 백혈구수를 측정하고, 뇌척수액에서 백혈구수와, 당, 단백농도 및 뇌압을 측정하였다. 나머지 혈액 및 뇌척수액 검체는 실온에서 10분간 2,000g으로 원심분리하여 영하 70도에서 보관후 sandwich ELISA 방법을 이용하여 각각의 검체에서 일시에 MMP-9과 TIMP-1의 농도를 정량하였다. 결 과 : 뇌척수액 MMP-9과 TIMP-1 농도는 뇌수막염군에서 의미있게 증가되었고(P<0.05), 혈청 MMP-9과 TIMP-1 농도는 두 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뇌척수액 MMP-9과 TIMP-1은 서로 의미있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r_s=0.42$, P<0.05), 뇌척수액 MMP-9/TIMP-1 비율은 대조군에 비해 무균성 뇌수막염군에서 의미있게 증가되었다(P<0.05). 뇌척수액 MMP-9과 TIMP-1은 뇌척수액 총백혈구수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_s=0.43$, P<0.05, $r_s=0.48$, P<0.05). 뇌척수액 TIMP-1은 뇌척수액 단백 농도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_s=0.43$, P<0.05). 결 론 : 무균성 뇌수막염 환아의 급성기 뇌척수액에서 MMP-9과 TIMP-1이 의미있는 증가를 보였고, 뇌척수액 TIMP-1은 정상군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농도를 보이고 있어 MMP-9과 TIMP-1은 각각 뇌혈관장벽의 파괴와 유지에 관여한다고 생각된다.

비소세포폐암에서 Matrix Metalloproteinase(MMPs)-2, 9와 Tissue Inhibitor of Metalloproteinase(TIMPs)-1, 2의 발현과 생존율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Express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s(MMPs)-2, 9 and Tissue Inhibitors of Metalloproteinase(TIMPs)-1, 2 and Survival Time in Resected Non-Small Cell Lung Cancer)

  • 김학렬;양세훈;정은택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2권5호
    • /
    • pp.453-462
    • /
    • 2002
  • 연구배경 : MMPs는 종양 전이의 주된 장벽인 기저막과 세포외 기질을 분해하여 암세포의 침습 및 전이에 주된 역할을 하며, TIMP는 MMP에 의한 기저막 단백질 분해를 억제하는 인자로 알려져있다. MMP의 발현은 임상 병기가 진행할수록 증가하며 주위 림프절 전이와 관계가 있으며, TIMP의 발현은 주위 림파절로 전이가 일어나면 감소 또는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상 및 방법 : 비소세포폐암으로 진단 받고 근치적 절제술을 시행 받은 74명 환자를 대상으로 paraffin에 보관된 조직에서 면역조직화학염색법을 이용하여 MMP-2, 9, TIMP-l, 2 항체로 발현을 검색하였으며, 발현에 따른 생존율을 Kaplan-Meier, Log-rank로 검색하였다. 결 과 : MMP-2, 9의 발현은 각각 25/74례 (34%), 19/74(26%)였고, TIMP-l, 2의 발현은 각각 27/74(36%), 32/74(43%)였다. 임상 병기에 따른 MMP-2, 9 발현은 병기의 진행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TIMP-2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임상 림프절의 전이에 따른 발현은 MMP-2, 9에서만 전이의 진행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MMP-2 발현에 따른 중간 생존기간은 양성군이 20개월, 음성군이 34개월로 양성군이 유의하게 낮았으며, TIMP-2은 34개월, 18개월로 양성군이 유의하게 높았다. MMP-2/TIMP-2에 따른 중간 생존기간은 음성/양성이 유의하게 높았다. 결 론 : MMP-2, 9 발현은 종양의 진행과 림프절의 전이에 관여할 것으로 사료되며, MMP-2와 TIMP-2의 발현은 역비레 관계가 있다.

유방암 세포주에서 PMA로 유도된 암세포 침투에 대한 모링가 뿌리 추출물의 억제효과 (Extract of Moringa Root Inhibits PMA-induced Invasion of Breast Cancer Cells)

  • 조현지;장영채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8-13
    • /
    • 2014
  • 여성에게 특히 높은 발병률을 보이는 유방암은 다양한 인자에 의해 암세포 침투와 전이가 발생한다. 그중에서 MMP-9은 유방암에서 높은 발현율을 나타내며, 유방암 세포의 침투와 전이에 주요하게 작용한다. MMP-9은 다양한 성장인자와 사이토카인, PMA 등에 의해 발현이 유도되며 세포 내 자연적으로 발생된 내생적 억제인자인 TIMP-1과 -2에 의해 그 활성 및 발현이 조절된다. MMP-9의 활성 및 발현을 저해하기 위해 사용한 물질은 모링가 추출물로 모링가의 모든 부위가 다양한 질환을 치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연구에서는 대표적으로 모링가씨, 뿌리, 잎, 열매 추출물질을 이용하여 MMP-9의 활성억제 유무를 연구하였으며, MCF-7 세포에서 모링가 뿌리추출물이 MMP-9을 가장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또한 MDA-MB-231을 이용한 비교실험에서도 세포특이성 없이 MMP-9의 활성 및 발현이 모링가 뿌리 추출물에 의해 억제되었고 단백질과 mRNA 발현에서도 동일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뿐만 아니라 암세포 침투실험에서도 모링가 뿌리 추출물에 의해 암세포 침투가 50% 이상 감소 되었으나, TIMP-1과 -2 mRNA 발현은 모링가 뿌리 추출물에 의해 저해되지 않았으므로 모링가 뿌리 추출물이 MMP-9 활성 및 발현 저해를 통해 암세포 침투를 저해시키는 것으로 예상된다. 그리고 MMP-9 활성 및 발현 조절기전을 확인하기 위해 MAP kinase의 인산화를 확인한 실험에서 모링가 뿌리 추출물이 ERK와 JNK의 인산화를 억제시킴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이 실험을 통해 모링가 추출물 중 뿌리 추출물이 MMP-9 활성 및 발현저해에 가장 효과적이며, ERK와 JNK의 인산화 조절을 통해 MMP-9의 활성 및 발현을 직접적으로 조절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