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kerspaces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19초

디지털리터러시 교육 공간으로서의 대학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 (Aligning Academic Library Makerspaces with Digital Literacy Education Spaces)

  • 장윤금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425-446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국내 대학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 도입의 초기 단계인 현 시점에서 메이커스페이스가 대학도서관의 지속가능한 디지털리터러시 교육 공간 및 서비스로 발전하기 위한 운영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외 대학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와 관련된 문헌 및 사례조사를 통해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 재정지원, 교육 효과 및 디지털리터러시와 평생학습 등의 도서관 목적과의 연계성 등을 검토하였다. 또한 국내 대학도서관 사서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대학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의 필요성, 효과성, 활용성에 대한 사서의 인식 등을 조사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대학도서관의 메이커스페이스가 단순한 3D 프린터, 레이저 커터 등의 새로운 기기를 제공하는 창조 및 협업공간을 넘어 메이커스페이스의 구축이 대학도서관의 디지털리터러시 교육 목표에 어떻게 부합되는지의 이슈와 더 나아가서 대학의 근원적 사명인 '창의적인 인재 양성'이란 교육적 사명과 연계할 수 있는 운영방안이 제시되었다.

A Study and Survey of the Perception towards Makerspaces of the Public Library

  • Ahn, In-Ja;Noh, Younghee
    •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 /
    • 제8권2호
    • /
    • pp.5-22
    • /
    • 2018
  • In the adven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hich was to become an innovative society, we now face the forefront of a technological revolution, and in response to these changes, the world is actively developing the maker movement to nurture new innovations.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functions of the library in order to play a leading role in a changing life environment.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present certain directions in policies in order to help expand the library's capabilities to utilize a cultural technology. In this study, we have conducted a survey on public library librarians' perceptions towards makerspaces, and based on this, we have proposed directions and support policies for public library's makerspaces and a dissemination structure of makerspaces for the public library.

공공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 조성 및 운영을 위한 가이드라인 개발 (Establishing Guidelines for Implementing and Operating Makerspaces in Public Libraries)

  • 장윤금;이혜은;전경선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337-356
    • /
    • 2020
  •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의 메이커스페이스 조성 및 운영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는 가이드라인 개발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사전 조사로 수행된 '국내 공공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 운영 현황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외 공공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 8개 기관의 운영사례를 분석하였다. 즉 공간, 인력, 장비, 프로그램 및 지원 주체 등 5개 요소를 중심으로 운영을 분석하였다. 조사 결과 공공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는 도서관의 규모, 예산, 사명과 역할에 따라 필요 요소의 조건이 상이할 수 있으므로 유형별 구분과 이에 따른 지속가능한 운영 방안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를 통해 기초적 수준인 '메이커 공방형', 중간 수준의 '메이커 스튜디오형', 권역 거점 수준의 '메이커 거점형(플랫폼)'의 유형별 가이드라인을 제안하였다.

무한상상실 이용자의 경험분석과 과학교육을 위한 제언 (Analysis of Makerspace Users' Experiences and Suggestions for Science Education)

  • 변문경;조문흠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337-346
    • /
    • 2016
  • 무한상상실은 국민의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과학기술과 결합하여 창업과 신산업 및 신시장 창출로 연결되고, 일자리를 창출하기 위해 건립되었다. 국민의 상상력과 창의력을 현실화시킬 수 있는 공간 조성이 필요하다는 인식하에 현재까지 58개소가 설치 운영중이며 지속적으로 확대되는 추세에 있다. 3D 프린터와 레이저 커터기 등 다양한 첨단기기들이 비치되어 아이디어를 프로토타입으로 제작하기 위한 시설을 갖추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설문 조사와 면대면 인터뷰를 통해 무한상상실에서 이용자의 경험을 조사했다. 그 후, 우리는 무한상상실에서 이용자들이 아이디어를 생성하기 위한 동기 부여, 흥미에 대해 무한상상실을 사용하여 관련 기술뿐만 아니라 문제에 대한 해결방안을 제시했다. 결과를 기반으로 무한상상실의 효율적인 운영 방안에 대한 세 가지 제언을 할 수 있었다. 첫째, 무한상상실을 이용자들을 위한 교수학습 지원을 확대해야 한다. 둘째, 무한상상실 교수자를 위한 별도의 전문적인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셋째, 이용자들의 특성에 맞춘 편의를 제공하는 창의적인 서비스 도입을 추진해야 한다.

공공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 구성 및 프로그램 분석 연구 (A Study on the Concepts and Programs of 'Makerspaces' at Public Libraries)

  • 장윤금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289-306
    • /
    • 2017
  •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 구성 및 프로그램 운영을 분석함으로써 현재 14개 국내 공공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 사례인 '무한상상실' 프로그램의 현황 및 한계점을 도출하고, 향후 해외의 메이커스페이스와 같이 확대되고 지속가능한 모형으로 발전하기 위한 운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외 메이커스페이스에 관한 문헌 및 사례조사를 실시하였고 국내 공공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 현황조사를 통해 메이커스페이스의 발전과정, 프로그램 유형, 지원 유형 및 서비스 성과를 분석하였다. 아울러 국내외 공공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 전담사서와의 심층인터뷰를 진행함으로써 메이커스페이스의 개념 변화, 필요성, 효과성, 한계점 및 향후 발전방안 등을 조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메이커스페이스의 지속가능한 운영을 위해 시급히 마련되어야 할 정책방안으로 다양하고 안정적인 재원 확보, 전문 인력 배치 및 훈련, 적극적인 자원봉사자 활용 방안, 홍보전략 수립, 지역주민이 소통하는 공간을 넘어 신기술을 통한 교육과 창조의 공간, 지역 아카이브 생성의 '메이킹' 공간이 되어야 한다는 것을 제안하였다.

Creating Makerspaces in Nigerian Public Libraries as a Strategy for Attaining National Integration and Development

  • Aiyeblehin, James Afebuameh;Onyam, Ijeoma Dora;Akpom, Chinwendu Chizoba
    •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 /
    • 제8권4호
    • /
    • pp.19-31
    • /
    • 2018
  • The recognition of public libraries as development partners places an onus on public libraries to provide services that will enhance national integration and development. Whereas libraries have been known to provide information resources in various formats, recent developments around the world have shown that it is no longer enough to provide information to users. Users are being encouraged to become knowledge producers and not just consumers. In this regard, libraries are rethinking their strategies. One of the consequences of this, is the creation of makerspaces: a space for creating things within the library. This paper explores the prospects of makerspaces in Nigerian public libraries. The paper identified how makerspaces could lead to national development by providing access to technology, providing opportunity for users to work together thereby promoting unity and togetherness among the citizenry of a given society as well as providing an enabling environment for people to be creative. The paper argued that makerspaces in Nigerian public libraries will lead to increased patronage and users' satisfaction, change in perception of librarians by the public, promote synergy among citizens and result in economic development.

공공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 담당자의 운영 경험 연구 (Librarians' Experiences of Facilitating Makerspace in Public Libraries)

  • 김수정;이종욱;오상희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249-272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공공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 운영 담당자를 대상으로 이들의 운영 경험을 조사하여 주요 업무, 필요 역량, 교육 경험 및 요구, 향후 계획 등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7개의 국내 공공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에서 운영을 담당하고 있는 11명의 사서 및 직원과 1명의 관장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면담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공공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 사서와 담당자들은 국가공모사업이나 자체예산을 확보하여 메이커스페이스를 총괄, 관리하고, 교육프로그램을 기획하는 일에 주력하고 있었다. 이들은 기술 리터러시, 주제 지식, 도서관 프로그램 기획 능력, 배우려는 자세와 호기심, 커뮤니케이션 스킬, 리더십, 디자인 사고 등을 필요 역량으로 언급했다. 또한 이들은 메이커스페이스의 공간 확장, 장비 구입, 프로그램 개발 등의 향후 계획을 가지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현재 공공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를 운영하고 있거나 구축할 계획이 있는 도서관 관계자들에게 메이커스페이스 담당자들이 경험하는 실질적인 이슈와 교육 요구 등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한국형 메이커스페이스 활성화를 위한 운영요소 분석 연구 (Invigorating Makerspaces in Korea: Empirical Analysis on Operating Components of Makerspaces)

  • 권혁인;김주호
    • 벤처창업연구
    • /
    • 제14권2호
    • /
    • pp.105-118
    • /
    • 2019
  • 자신이 원하는 것을 스스로 제작하는 DIY 운동이 ICT 기술과 만나 새로운 제조의 혁신을 불러일으켰다. 제조의 혁신은 사람들의 창의적인 아이디어와 그것을 만들고 공유하고자 하는 욕구를 통해 메이커(Maker) 문화를 탄생시켰다. 메이커 문화가 발전함에 따라, 장비를 제공하고 협업을 도모하는 메이커스페이스에 대한 관심이 자연스럽게 높아졌다. 메이커가 4차 산업 혁명 시대의 제조 혁신에 대한 열쇠라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국내에 메이커스페이스 조성의 붐이 일어났다. 그러나 활발히 조성되는 메이커스페이스에 비해 국내의 메이커 문화는 미숙하다. 그로 인해 메이커스페이스의 운영에도 여러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미숙한 메이커 문화의 원인 중 하나로 부족한 국내의 메이커 관련 연구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메이커스페이스의 운영요소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며, 적은 표본의 수 등의 한계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선적으로 문헌연구를 통해 메이커스페이스의 운영 요소를 도출했다. 이어서 메이커스페이스 관련 정책 입안자 및 연구자, 메이커스페이스 운영관련자, 메이커스페이스를 사용하는 이용자, 총 12인을 대상으로 도출된 41개 운영요소의 타당 여부를 확인하는 설문을 진행했다. 설문을 통해 수정된 최종 51개의 운영요소에 대하여 정책 입안자 및 연구자, 운영관련자, 이용자로 구성된 총 50인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중요도-만족도 분석(IPA)과 결과 분석의 오류를 방지하기 위한 GAP 분석을 실시했다. 설문 결과, 모든 운영요소에 대해 중요도가 만족도를 상회했다. 이를 기반으로 운영자 3인을 대상으로 국내 메이커스페이스의 현황과 한국형 메이커스페이스 활성화 방안 도출을 위한 심층인터뷰를 추가로 진행했다. 앞서 진행된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메이커를 위한 온 오프라인 플랫폼 확충, 민간 후원을 위한 연결, 창업에 편중된 메이커 관련 정책의 변화, 메이커 기본 교육의 확대를 한국형 메이커스페이스 활성화 방안으로 제안했다.

공공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 운영 현황 조사 연구 (A Study of Public Library Makerspace Operations)

  • 장윤금;김세훈;전경선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3권3호
    • /
    • pp.161-183
    • /
    • 2019
  • 본 연구는 국내 공공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 운영 현황 조사를 통하여 공공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 운영의 효과성, 한계점 및 개선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외 공공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와 관련된 문헌조사를 통해 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의 개념 및 필요성, 프로그램 종류, 서비스 정책 등을 검토하였다. 또한 현재 메이커스페이스를 운영 중인 공공도서관 및 유사기관의 사서 및 직원, 프로그램 참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사서, 직원, 이용자 모두 메이커스페이스의 필요성 및 효과성에 대해서는 모두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 프로그램의 다양성 및 수용인원 확대 등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또한 메이커스페이스 운영 담당자들과의 심층인터뷰 조사 결과 메이커스페이스의 당위성 확립과 공감대 형성, 지속가능한 재정지원, 메이커스페이스의 단계별 운영 가이드라인 등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대학도서관의 메이커스페이스 구축 및 운영 사례 연구 (A Study on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Makerspace in Korean Academic Libraries)

  • 이은주;정영미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223-247
    • /
    • 2019
  • 이 연구는 메이커스페이스에 대한 정부 차원의 지원과 관심이 쏟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국내외 대학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의 구축 및 운영현황을 살펴보고 이에 기반한 운영 전략을 모색하되, 모기관의 발전방향에 부합하고 대학교육을 지원하는 창의·협력공간으로서 대학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1) 메이커스페이스의 개념을 살펴보고, 특히 대학도서관에서 메이커스페이스의 필요성을 짚어 보고, (2) 국내외 도서관의 메이커스페이스 도입 사례를 대상으로 구축 및 운영 실태와 이를 실현하기 위한 도서관계의 노력 속에서 발견되는 특징 및 시사점을 분석한 후, (3) 향후 우리 대학도서관계에서 메이커스페이스를 구축·운영하고자 할 때 고려해야 하는 운영 전략을 모색해 보았다. 논의에 필요한 데이터는 문헌연구와 방문조사 및 운영담당자를 대상으로 한 심층조사를 통해 수집하였고, 추가적으로 필요한 데이터는 전화면담 및 이메일조사를 병행하여 수집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