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tadata Elements

검색결과 208건 처리시간 0.025초

디지털 도서관의 의미적 상호운용성(Semantic Interoperability) 향상을 위한 메타데이터 요소와 활용에 관한 연구 (The Utilization of Metadata Elements and Content Designation for Improving Semantic Interoperability in Context of Digital Libraries)

  • 정은경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193-211
    • /
    • 2008
  • 이 연구는 디지털 도서관에 실제로 사용된 메타데이터의 요소와 활용을 분석하여 의미적 상호운용성 향상 요인을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그린스톤 기반의 78종의 디지털 도서관에서 실제로 사용한 메타데이터 요소를 동질 정보 커뮤니티로 세분하여 분석하였다. 동질 정보 커뮤니티내 디지털 도서관에서 사용된 메타데이터 요소를 크로스워킹하고. 각 요소들의 활용 및 활용 수준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동일 정보 커뮤니티 내에서 중복되는 핵심 메타데이터 요소는 25% 미만으로 나타났다. 이들 핵심 메타데이터 요소는 요소 명칭과 활용에 있어서 불일치하는 문제점이 고찰되었으며, 메타데이터 요소 활용의 수준에 있어서도 무결점과 완결성 면에서 상이한 측면이 밝혀졌다.

국내 기관 리포지토리에서 DSpace 메타데이터 요소의 활용 현황 (The Uses of DSpace Metadata Elements in the Institutional Repository)

  • 이은주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465-487
    • /
    • 2016
  • 이 연구는 DSpace를 기반으로 구축한 기관 리포지토리 메타데이터 요소의 활용 현황을 살펴보고 향후 DSpace를 사용하여 기관 리포지토리를 구축하고자 하는 기관을 위한 메타데이터의 구축 방향과 활용 전략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았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1) DSpace의 개발 배경과 특징, 메타데이터 요소와 활용 방법에 대해 살펴본 후, (2) DSpace를 기반으로 한 국내 기관 리포지토리 중 사례 기관을 선정하여 모든 기관에서 공통적으로 활용되는 메타데이터 요소는 무엇이며, 개별 기관에서 추가 또는 확장하여 사용하는 요소는 무엇인지를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이에 더해, (3) 입력된 메타데이터가 검색에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검색 방식, 검색 요소 및 디스플레이 요소 등으로 나누어 검토한 후, 마지막으로, (4) 연구결과를 토대로 기관 리포지토리에서 메타데이터 구축시 기관이 고려해야 할 과제와 추진전략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수행함에 있어 필요한 데이터는 문헌연구와 사례분석을 통해 수집하였다.

한의학 연구 데이터 관리 및 공유를 위한 메타데이터 요소 설계 (Metadata Element Design for Korean Medicine Research Data Management and Re-use)

  • 예상준;장호;김선태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223-246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한의학 연구 데이터 관리 및 공유를 위한 메타데이터 요소를 설계하고 한국한의학연구원에서 생산되는 연구 데이터를 대상으로 요소검증을 수행하였다. TTAK.K0-10.0976 표준과 DataCite 메타데이터 스키마,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의 국가 연구 데이터플랫폼 스키마를 대상으로 메타데이터 요소를 도출하였다. 최상위 요소로서 Identifier를 포함한 27개 요소가 도출되었으며, 필수요소 29개, 권고요소 13개, 선택요소 31개를 도출하였다. 한의학 관련 분야별 전문가 6인을 대상으로 도출요소에 대한 필요성 정도를 조사하였으며, 추가적인 메타데이터 요소를 제안 받아 검토하였다. 한의학 연구 데이터 주제 분류를 제안하였으며, 최종 제안하는 메타데이터 요소로 현재 운영 중인 시스템의 메타데이터 수용여부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한국한의학연구원에 구축되는 데이터 리포지터리에 아이템과 파일을 기술하기 위한 메타데이터 스키마로 활용될 수 있다.

행정기관의 기록관리 메타데이터 요소 분석 - ISO 15489를 기준으로 - (An Analysis of the Recordkeeping Metadata Elements Based on ISO 15489 Requirements)

  • 설문원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217-242
    • /
    • 2004
  • 본 연구의 목적은 현용 및 준현용 기록관리에 관한 국제표준인 ISO 15489를 기준으로 행정기관의 기록관리 메타데이터 요소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 기록관리 메타데이터의 특성과 요건에 대해 살펴보았다. 다음에는 선행연구를 토대로 ISO 15489의 기능적 요건을 만족시킬 수 있는 메타데이터 요소를 기술영역과 관리영역으로 나누어 추출하고 정리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우리나라 전자문서시스템 및 자료관시스템의 메타데이터 요소를 평가하고 보안사항을 제안하였다.

  • PDF

전자책 라이브러리를 위한 메타데이터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Metadata for eBook Library)

  • 하진희;김성혁;임순범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16
    • /
    • 2003
  • 전자책 서비스업체는 전자책에 대한 충분한 데이터를 제공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대부분의 도서관은 전자책의 목록정보를 도서관의 목록에 자동으로 다운로드할 수 없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메타데이터 간의 호환성 및 상호운용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전자책 라이브러리를 위한 메타데이터를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전자책 서비스업체에서 사용하는 메타데이터, KS X 6100 메타데이터, 더블린코어, MARC, TEI Header 등을 비교 분석하여 공통의 메타데이터 요소들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공통의 메타데이터 요소를 핵심 기술 요소로 정의하고, 그 외 전자책 고유 특성을 나타내는 메타데이터 요소를 상세 및 추가 기술 요소로 정의 하였다.

이메일기록관리를 위한 메타데이터 표준요소선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tandardized Metadata Elements to Manage e-Mail Records)

  • 김용;김늘봄;이태영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87-113
    • /
    • 2008
  • 본 연구는 호주 이메일메타데이터표준 및 한국기록관리메타데이터 표준에 기반하여 국제표준을 준용하는 이메일기록에 대한 표준화된 메타데이터요소를 개발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기록관리 및 기록물 메타데이터와 관련된 국제표준인 ISO 15489와 ISO 23081을 분석 및 조사하였다. 두번째로, 국내 공공기관에서 생산된 이메일기록에 대한 특징을 추출하기 위하여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또한, 호주의 이메일 메타데이터표준에 대한 상대평가 연구를 수행하였다. 위의 과정을 통하여 추출된 결과와 함께, 본 연구에서는 이메일기록에 대한 관리를 위한 필수 및 선택적 메타데이터요소를 제안하였다. 또한 제안된 이메일 메타데이터요소에 적용 가능한 XML DTD를 개발하였다. 한편, 제안된 이메일 메타데이터요소는 한국의 지방자치단체의 행정정보시스템에서 생산된 실제 이메일기록에 적용하였다.

Internal Structure of Information Packages in Digital Preservation

  • Lee, Seungmin
    •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 /
    • 제2권4호
    • /
    • pp.6-19
    • /
    • 2014
  • The description of preserved resources is one of the requirements in digital preservation. The description is generally created in the format of metadata records, and those records are combined to generate information packages to support the process of digital preservation. However, current strategies or models of digital preservation may not generate information packages in efficient ways. To overcome these problems, this research proposed an internal structure of information packages in digital preservation. In order to construct the internal structure, this research analyzed existing metadata standards and cataloging rules such as Dublin Core, MARC, and FRBR to extract the core elements of resource description. The extracted elements were categorized according to their semantics and functions, which resulted in three categories of core elements. These categories and core elements were manifested by using RDF syntax in order to be substantially applied to combine metadata records in digital preservation. Although the internal structure is not intended to create metadata records, it is expected to provide an alternative approach to enable combining existing metadata records in the context of digital preservation in a more flexible way.

게임 UCI 식별 메타데이터 표준화 연구 (Study on the Standardization of Game UCI Identification Metadata)

  • 윤선정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53-60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게임콘텐츠의 저작권 보호, 유통 및 관리의 효율화를 제공해 게임산업을 활성화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게임 UCI 식별 메타데이터를 설계하였다. 설계 방법은 호환성을 위하여 국제표준인 메타데이터 매핑절차를 따랐다. 따라서 기존 9개의 요소로 구성되어 있는 UCI 메타데이터에 게임의 특성을 반영하여 3개 요소는 재정의하고, date, patch date, grade의 3개 요소는 추가하였다. 이렇게 설계된 게임 UCI 식별 메타데이터는 총 12개의 요소로 구성된다. 이 결과를 전문가 인터뷰와 일반 이용자 설문을 통해 검증하였다. 향후 본 연구의 결과를 게임 UCI 식별 메타데이터 관리 시스템으로 구축하여 여러 기관들이 활용할 수 있도록 발전시키고자 한다.

디지털화 기록 관리를 위한 메타데이터 요소(안) 설계 (A Study on Designing Metadata Elements for the Management of Digitized Records)

  • 서지인;노지현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1-24
    • /
    • 2022
  • 이 연구는 디지털화 과정을 통해 생산되는 디지털화 기록의 체계적 관리와 품질 유지를 위해 필요한 메타데이터 요소(안)을 제안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메타데이터 요소(안)의 개발에 앞서 이 연구에서는 디지털화 기록의 정의와 특성을 확인하고, 원천 기록의 사본이자 대체물로서 디지털화 기록을 규정하여 원천 기록과의 관계를 정립하였다. 다음으로, 국내 기록관리 메타데이터 표준과 미국 및 영국의 사례를 분석하여 디지털화 기록에 대한 메타데이터 요소 비교 및 요소 설계시 고려할 사항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하여, 디지털화 기록 관리를 위한 메타데이터의 설계방향은 첫째, 원천 기록과 디지털화 기록의 관계 정립, 둘째, 자원 유형별 특성에 따른 자동추출 메타데이터 요소 확대, 셋째, 업무과정 및 프로젝트에 대한 메타데이터 작성 등 3가지로 정리되었다. 이에 근거하여 디지털화 기록의 메타데이터를 디지털화 기록 메타데이터과 디지털화 프로세스 메타데이터로 개체를 구분하고, 해외 사례를 참조하여 각 개체별로 추가되어야 할 요소를 제안하였다.

공공기관 유튜브 동영상 아카이빙을 위한 메타데이터 핵심 요소 연구 (A Study on the Core Metadata Elements for YouTube Video Archiving in Public Institutions)

  • 김락근;박진호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45-65
    • /
    • 2022
  • 공공기관의 유튜브 동영상은 디지털 공공기록물로서 관리 및 보존이 필요하다. 이때 동영상 자체와 동영상을 설명하는 메타데이터도 함께 보존해야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기관이 유튜브에 발행한 동영상을 아카이빙할 때 필요한 핵심 메타데이터 요소를 선정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NAK 8, PREMIS, ISAD(G), 유튜브 메타데이터를 참조하여 설명, 구조, 관리, 보존, 이용자 참여의 5개 상위 영역, 10개 하위 영역의 메타데이터 요소를 설계하였다. 이후 14명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설계한 메타데이터 요소를 검증하였다. 마지막으로 평가 결과에 대한 타당도 검증과 신뢰도 검증을 진행하였다.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의 기준값을 모두 만족하는 요소는 63개 측정 요소 중 33개 요소로 확인되었다. 해당 요소들을 공공기관 유튜브 동영상 아카이빙을 위한 메타데이터 핵심 요소로 선정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