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yLibrary Service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23초

디지털참고봉사를 위한 MyLibrary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yLibrary for Digital Reference Service)

  • 김휘출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01-115
    • /
    • 2001
  • 웹을 이용한 도서관 정보서비스가 활발해지고 있다. 그러나 도서관 홈페이지에는 계속적으로 많은 콘텐츠들로 축적되기 때문에 이용자들은 효율적으로 정보를 선별하여 이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도서관에서는 홈페이지에서 제공하는 각종 콘텐츠들을 개인별로 맞춤화한 서비스인 MyLibrary가 이루어지고 있다. MyLibrary는 주로 대형도서관에 적합하게 사용되고 있지만 웹페이지를 이용한 디지털참고봉사 기능을 보완할 수 있는 도구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 PDF

대학도서관에서의 CRM을 이용한 MyLibrary서비스개선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MyLibrary Service in Academic Libraries Using the CRM)

  • 조인숙;하누리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63-79
    • /
    • 2011
  •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시스템의 MyLibrary 기능을 CRM개념을 적용하여 이용자들에게 맞춤서비스를 제공 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문헌조사, 홈페이지조사를 통하여 1차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국내외 대학도서관의 사례조사를 실시하고, 대학도서관시스템 중 3개의 시스템을 선정하고 해당 대학도서관 사서와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서비스의 각 기능을 담당하는 사서들이 MyLibrary 기능에서 생성되는 이용자들의 정보데이터를 체계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사례가 많지 않다는 것을 파악하였다. 개선방안으로는 MyLibrary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를 토대로 이용자들에게 맞춤정보서비스 제공과 질적으로 높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CRM에 대한 인식제고와 feedback 자료로 활용하기 위한 체계적 관리가 필요하다고 제시하였다.

내서재 서비스 모델의 콘텐츠 구성요소 비교.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omponent Elements of Contents in My Shelf Service Models)

  • 박진희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17-136
    • /
    • 2013
  • 본 연구는 최근 들어 대학도서관 OPAC에 도입한 서평과 태그를 기반으로 내서재 기능을 소셜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소셜 리딩을 지원하는 9개의 국내외 내서재 서비스 모델에 대한 사례 조사를 실시하여 콘텐츠 구성요소와 시스템 기능 등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내서재 서비스를 위한 9개의 컨텐츠 정보영역을 도출하였다.

맞춤정보서비스를 위한 MyCyberLibrary 모형 설계와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and Evaluation of the Model of MyCyberLibrary for a Customized Information Service)

  • 김현희;구내영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31-158
    • /
    • 2002
  • 본 연구의 목적은 이용자 연구와 국내외 기존 시스템의 기능을 분석한 자료를 기반으로 하여 맞춤정보서비스를 제공하는 MyCyberLibrary의 모형을 설계한 후 이를 평가하여 좀 더 효율적인 정보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MyCyberLibrary 모형은 최신정보제공서비스, 전자저널/e-book 관리, 데이터베이스 관리. 컬렉션 관리, 프로젝트 관리, 전자지정자료 관리, 도서관 정보서비스 관리, 파일통합 관리, 저작권 관리의 총 9개 서브시스템들로 구성된다. 또한 모형의 효율성을 측정하기 위해서 프로토타입 시스템을 구성하여 40명의 이용자를 대상으로 시스템의 만족도를 조사하고 시스템의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세 가지 방안을 제안하였다.

의학도서관 웹사이트의 콘텐츠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Websites Contents in Medical Libraries)

  • 노동조;김정아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45-56
    • /
    • 2010
  • 본 연구는 한국의학도서관협의회 소속의 대학 및 병원도서관을 대상으로 웹사이트 구축현황을 살펴보고, 나아가 웹사이트를 운영하고 있는 국내 29개 의과대학도서관 웹사이트의 메뉴구성과 콘텐츠를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의학도서관 웹사이트의 메인메뉴는 소장자료검색, 전자정보원, 도서관서비스, My Library, 도서관안내, 게시판의 6개로 정리된다. 둘째, 의학도서관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주요 정보서비스는 '자관 Pubmed, 원문복사/상호대차, 정보검색, 이용교육, 논문작성지원, SDI서비스, 모바일서비스, 학위논문제출, 참고정보원, 교외접속, 주제별서비스, 인용정보분석, 대출예약/연기, 희망도서신청, Q&A게시판'의 15가지이다. 셋째, 가장 많은 기관에서 제공하고 있는 정보서비스는 원문복사/상호대차이며, 다음은 '대출예약/연기, 희망도서신청, 교외접속, 이용교육, 참고정보원, Q&A게시판, 자관 Pubmed, 학위논문제출' 등의 순이다.

Kano 모델과 PCSI Index를 활용한 공공도서관 노인 서비스 품질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Service Quality for the Elderly in Public Libraries Using Potential Customer Satisfaction Improvement Index (PCSI Index) and Kano Model)

  • 엄재은;김성희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4권1호
    • /
    • pp.115-142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도서관 노인 서비스 품질의 품질 속성을 Kano 모델에 근거하여 분류하고 만족계수와 불만족계수를 도출해 서비스 품질의 우선 개선순위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경상북도 의성군 A 도서관을 이용하는 노인이용자를 대상으로 LibQUAL+의 22개 문항으로 설문을 구성하였다. Kano 모델에 기반하여 LibQUAL+의 3가지 영역으로 부문별 품질 요인들을 분류하고 Timko의 고객만족계수를 통해 각 서비스 품질마다 이용자가 느끼는 만족 지수와 불만족 지수를 산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잠재적 고객 만족개선지수(PCSI Index)를 구해 실제 요구사항이 충족되었을 때 이용자 만족이 얼마나 개선될 수 있는지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서비스 품질 속성은 매력적 품질 9개, 일원적 품질 7개, 무관심 품질 1개, 당연적 품질 5개로 분류되었다. 서비스 품질 개선 순위에서 1위는 '도서관 전자자료의 자유로운 교외접속', 2위는 '연구, 학습에 필요한 인쇄 및 전자저널 소장', 3위는 '필요한 정보를 찾을 수 있도록 하는 도서관 홈페이지'로 조사되었다. 연구 결과는 노인 서비스 제공 시 우선적으로 관리 및 개선해야 할 품질 요인을 제시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공공도서관 클러스터링을 위해 SAML 기반의 사용자통합인증 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f SSO design based SAML for public library clustering)

  • 변회균;고일주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4권3호
    • /
    • pp.55-67
    • /
    • 2008
  • The user has to subscribe to the library so that user use the library service. User has to register at that in order to use of the nearby another library. Moreover, service such as the inter-library loan and returning my loan book to other library in which the mutual cooperation between the library is needed necessity. But it services due to the constraint condition because of the administrative or technical problems. In this paper excludes the administrative element. The web service model is forming the cluster based on the mutual cooperation between the technologically adjacent public library and provides the technologically necessary single sign-on (SSO) in order to support the additional service. The single sign-on of the library which is concluded by this model using the security information exchange standard (Security Assertion Markup Language : SAML), it is processed by XML base. In using this model, the loan information is confirmed in the attribution in return service library and the model can utilize for the return of loan book in other library. It designs the single sign-on about it.

Help-Desk 지식관리시스템 모형구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Help-Desk Knowledge Management System Model in the Web Environment)

  • 장우권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423-449
    • /
    • 2004
  • 지식사회에서 주요자원은 지식이 되며 이러한 지식을 관리하는 도서관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지식정보들 중 조직구성원들이 필요하고 유용한 지식만을 선택하여 이용자의 취향에 맞는 형태로 제공할 수 있는 지식정보관리가 필요하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기존의 도서관 정보봉사에서 나타나는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도서관이 수행해야 할 역할 및 기능들을 Help-Desk 서비스 측면에서 온라인과 오프라인으로 구성요인들을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이 결과를 토대로 웹기반 Help-Desk 지식관리 시스템 모형을 제시하였다.

  • PDF

국내외 기술정보의 연계 서비스 체제 구축 (Implementation of One-Stop Service System on Domestic & Foreign Technology Information)

  • 서진이;노경란
    • 정보관리연구
    • /
    • 제32권1호
    • /
    • pp.1-22
    • /
    • 2001
  • 본 연구는 이용자가 필요로 하는 과학기술정보를 찾기까지 학술지 목록 데이터베이스, 학술지기사 데이터베이스, 원문 데이터베이스를 각기 개별적으로 검색하는 기존의 방식에서 벗어나 통합검색을 지원하는 학술지 원 클릭 서비스 체제를 구현하고자 수행되었다. 데이터베이스 간, 그리고 DB와 전자 저널을 통합하여 학술지 원 클릭 서비스 체제를 구현함으로써 이용자는 학술지 브라우징, 학술지 검색, 학술지 기사검색, 전자 저널 보기, Alert 서비스, My Favorite Journal및 Keyword 등록관리, 원문복사신청을 단일 인터페이스 상에서 이용할 수 있다. 이용자는 학술지 OPAC을 통하여 모든 정보원을 검색하고 학술지 원문까지 입수할 수 있다.

  • PDF

통합형디지털참고봉사를 위한 기반 연구: 대학도서관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reparation for Collaborative Digital Reference Service in Korea University Libraries)

  • 김휘출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69-186
    • /
    • 2003
  • 국내 대부분의 대학도서관이 디지털참고봉사를 제공하고 있지만 그 이용률은 매우 저조하다. 저조한 원인에는 주제전문 사서의 부족, 홍보부족 기타 관리자의 인식부족 둥으로 나타났다. 국내 대학도서관들의 환경에서 이러한 문제를 각 도서관 별로 해결하기는 어렵다. 이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각 도서관의 디지털참고봉사를 통합하는 방법을 제기하였다. 디지털참고봉사를 통합하기 위해서는 먼저 주제전문사서 양성, 이용자들이 인지하기 쉬운 인터페이스, 프로그램 개발, 관리기관 설립 등이 필요한데, 이 중에서도 주제전문사서의 양성이 우선적으로 준비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