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OS

검색결과 2,351건 처리시간 0.038초

고등 식물에서 Nopaline Synthase Promoter의 합성 조절 요소 (Synthetic Regulatory Elements of the Nopaline Synthase Promoter in Higher Plants)

  • Kim, Young-Hee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01-205
    • /
    • 1995
  • Nopaline synthase promoter의 upstream element region을 본딴 nos-RP 요소라고 불리워진 합성 oligomer는 nos wild type promotor의 5' end에서부터 - 101까지를 절단한 promoter의 upstream에 삽입하였다. Nos promoter의 활성은 nos promoter와 연결되어 있는 reporter gene인 Chlorarnphenicol과 $\beta$-glucuronidase유전 인자들이 발현되는 현상을 연구함으로써 측정하였다. 형질 전환된 유전인자를 가지고 있는 담배 식물에 대한 분석은 nos minimal promoter의 활성이 합성 nos-RP 요소가 삽입됨으로써 회복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또한 Nos minimal promoter의 upstream에 nos-RP 요소의 삽입은 여러 가지 환경적인 요소들인 auxin, dithiothreitol, salicylic acid 그리고 methyl jasmonate에 의해서 활성이 증가됨을 보여 주었다.

  • PDF

Endotoxin-induced renal tolerance against ischemia and reperfusion injury is removed by iNOS, but not eNOS, gene-deletion

  • Kim, Jee-In;Jang, Hee-Seong;Park, Kwon-Moo
    • BMB Reports
    • /
    • 제43권9호
    • /
    • pp.629-634
    • /
    • 2010
  • Endotoxin including lipopolysaccharide (LPS) confers organ tolerance against subsequent challenge by ischemia and reperfusion (I/R) insult. The mechanisms underlying this powerful adaptive defense remain to be defined. Therefore, in this study we attempted to determine whether nitric oxide (NO) and its associated enzymes, inducible NOS (iNOS) and endothelial NOS (eNOS, a constitutive NOS), are associated with LPS-induced renal tolerance against I/R injury, using iNOS (iNOS knock-out) or eNOS (eNOS knock-out) gene-deleted mice. A systemic low dose of LPS pretreatment protected kidney against I/R injury. LPS treatment increased the activity and expression of iNOS, but not eNOS, in kidney tissue. LPS pretreatment in iNOS, but not eNOS, knock-out mice did not protect kidney against I/R injury. In conclusion, the kidney tolerance to I/R injury conferred by pretreatment with LPS is mediated by increased expression and activation of iNOS.

고혈압에서 혈관 산화질소 합성 동위 효소 발현 변화 (Altered Vascular Expression of Nitric Oxide Synthase Isozymes in Hypertension)

  • 김인광;강대길;이종은;오봉석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2호
    • /
    • pp.138-143
    • /
    • 1999
  • 배경: 혈관 내피층에서 분비되어 평활근층 이완을 일으키는 물질의 본체는 산화질소(nitric oxide, NO)이며 NO synthase(NOS)에는 뇌형(brain NOS, bNOS), 내피세포형(endothelial constitutive NOS, ecNOS) 및 유도형 (inducible NOS, iNOS) 등 세 가지 동위효소가 있음이 알려져 있다. 고혈압은 혈관 내피층 기능 이상을 보임이 알려져 있으나 NOS 동위 효소의 변화를 포함한 세포내 기전은 아직 확실치 않다. 저자들은 고혈압 기전을 구명하기 위한 일환으로 고혈압 혈관에서 NOS 동위효소가 어떻게 변화되는가 조사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흰쥐에서 two-kidney, one clip (2K1C) 고혈압과 deoxycorticosterone acetate(DOCA)-salt 고혈압을 일으켰다. 4주 뒤 고혈압이 일어난 것을 확인하고 적출 흉부 대동맥 표본에서 Western blot 분석에 의한 NOS 동위효소 발현 조사 및 비색법에 의한 조직내 산화질소 정량을 하였다. 결과: 2K1C 및 DOCA-salt 흰쥐에서 실험군은 각각의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혈압을 보였다. 두 고혈압군에서 모두 적출 대동맥 표본의 bNOS 및 ecNOS 단백 발현이 감소되었다. iNOS 단백은 DOCA-salt 고혈압에서 변화를 보이지 않으나 2K1C 고혈압에서는 역시 감소를 보였다. 혈관조직내 산화질소 함량은 두 고혈압에서 모두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결론: 2K1C 및 DOCA-salt 고혈압에서 혈관의 NOS 발현과 산화질소 함량이 감소되어 있으며 이는 고혈압의 유지 기전에 공헌하리라 추측되었다.

  • PDF

Teaching Models for Scientific Inquiry Activity through the Nature of Science (NOS)

  • Park, Jong-Won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8권7호
    • /
    • pp.759-767
    • /
    • 2008
  • This article arose from the previous studies, which suggested a synthetic list for the nature of science (NOS), discuss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OS and scientific inquiry and the development of the NOS in the context of scientific inquiry. In this article, for teaching scientific inquiry through the NOS, I proposed three teaching models - reflection, interaction, and the direct model -. Within these teaching models, understanding the NOS is viewed as a prerequisite condition for the improved performance of scientific inquiry. In the reflection model, the NOS is embedded and reflected in scientific inquiry without explicit introduction or direct explanation of the NOS. In the interaction model, concrete interaction between scientific inquiry and the NOS is encouraged during the process of scientific inquiry. In the direct model, subsequent to directly comprehending the NOS at the first stage of activity, students conduct scientific inquiry based on their understanding of the NOS. The intention of this present article is to facilitate the use of these models to develop teaching materials for more authentic scientific inquiry.

A Study of New Models for Scientific Inquiry Activity through Understanding the Nature of Science (NOS): - A Proposal for a Synthetic View of the NOS -

  • Park, Jong-Won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53-167
    • /
    • 2007
  • In this study, it is assumed that understanding the nature of science (NOS) would enhance students' performance of scientific inquiry in more authentic ways. The ultimate goal of this study is to suggest new models for developing scientific inquiry activities through understanding the NOS by linking the NOS with scientific inquiry. First, the various definitions and statements of the NOS are summarized, then the features of the developmental nature of scientific knowledge and the nature of scientific thinking based on the philosophy of science are reviewed, and finally a synthetic list of the elements of the NOS is proposed, consisting of three categories: the nature of scientific knowledge, the nature of scientific inquiry, and the nature of scientific thinking. This suggested synthetic list of the NOS is used to suggest a model of scientific inquiry through the understanding of the NOS. This list was designed to provide basic standards regarding the NOS as well as practical guidance for designing activities to improve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NOS.

백서의 실험적 치아이동시 Nitric Oxide Synthetase의 발현 양상 (THE EXPRESSION OF NITRIC OXIDE SYNTHETASE IN THE EXPERIMENTAL TOOTH MOVEMENT IN RATS)

  • 박동권;김상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07-120
    • /
    • 2001
  • 반응 질소 중간 대사물 중의 하나인 nitric oride(NO)는 작고 불안정하며 전하가 없는 free radical이며 신체의 여러 종류 세포에서 분비되어 대부분의 조직 세포에 영향을 미친다. 또한 NO는 lipopolysacchatide나 cytokines 등의 자극으로 골모세로로부터 생산되어 파골세포의 활성을 강력하제 억제한다는 보고도 있다. 이러한 NO는 L-arguinine으로부터 nitric oxide synthetase(NOS)에 의해 합성된다. 골개조에 의해 이루어지는 생체 내 치아이동 및 그에 따른 치주조직 변화에서 NO 및 NOS가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되나 교정적 치아이동에서 치주인대의 재생 과정과 관련되어 이들의 역할이 밝혀진 것이 드물었다. 본 연구에서는 견인력에 의한 치아이동시 시간 경과에 따른 NOS의 발현 정도 및 분포 변화를 알아보고자, Sprague-Dawley계 백서 27마리를 대조군(3마리)과 실험군(24마리)으로 나누었으며, 실험군은 견인력(75g)을 가한 후 12시간, 1일, 4일, 7일, 14일, 28일이 경과한 후 각각 4마리씩 희생시켜, $NOS_3$$NOS_2$의 발현 정도 및 분포를 면역조직화학적으로 관찰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대조군의 $NOS_3$ 발현은 치은과 상아질, 치주인대, 치조골에서 경미 하였지만 치수, 악간 봉합에서는 약양성의 발현을 보였으며, $NOS_2$의 경우와 유사하였다. 2. 실험군의 상아질, 치은, 백악질, 백악모세포, 상아모세포에서의 $NOS_3$$NOS_2$의 발현은 견인력 적용 기간에 관계없이 대조군과 큰 차이가 없이 경미하거나 약양성이었다. 3. 치주인대에서의 $NOS_3$의 발현은 실험 4일째부터 치근단에서 증가되어 7일째에 압박측을 중심으로 증가한 이후 감소되었다. 4. 치조골에서의 $NOS_3$는 실험 7일째까지 경미한 발현을 보이다가 14일째부터 28일째까지 약양성으로 발현 증가를 보였으며 압박 및 견인측 간의 차이는 없었다. 5. 치주인대에서의 $NOS_2$는 압박측과 견인측 간의 차이 없이 실험 7일째 이후에 대조군보다 증가된 약양성의 발현을 보였으며 $NOS_3$의 발현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았다. 6. 치조골에서의 $NOS_2$의 발현은 14일째에 가장 크게 증가하여 골모세포, 파골세포, 골세포 모두에서 발현되었으며 압박측보다 견인측 치조골의 골세포에서 약간 많았다.

  • PDF

소 자궁에서 endothelial nitric oxide synthase(NOS) 및 inducible NOS의 발현 (Expression and localization of endothelial and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 bovine uterus)

  • 이용덕;김승준;문창종;신태균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551-554
    • /
    • 2003
  • Nitric oxide synthase (NOS) has been reported in uterus. We examined the expression of the NOS isoforms, constitutive endothelial (eNOS) and inducible NOS (iNOS), in bovine uterus by immunohistochemistry. eNOS immunoreactivity was localized predominantly to the endothelial cells that line uterine microvessels and to endometrial glandular epithelial cells, but was barely detectable in endometrial stromal cells. iNOS immunostaining was detected in glandular epithelial and stromal cells in the endometrium and in the endothelial cells of myometrial blood vessel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both eNOS and iNOS may play important roles in the physiology of the uterus, possibly by generating NO.

과학탐구실험의 '역사 속의 과학 탐구'에서 과학교사의 NOS 평가 실행에 대한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Science Teachers' Implementation of NOS Assessments in 'Scientific Inquiries in the History' of Science Inquiry Experiment)

  • 김민환;김혜린;장지수;노태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191-207
    • /
    • 2023
  • 이 연구에서는 과학탐구실험 수업에서 NOS 평가를 실행하는 과학교사의 사례를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서울시에 소재한 고등학교에 재직 중이며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과학탐구실험의 수업에서 NOS를 가르치고 평가한 과학교사 2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이들의 수업 및 평가 자료를 수집하고 NOS 수업과 평가를 관찰하였으며 면담을 실시하였다. 수집한 자료를 바탕으로 두 교사의 NOS 평가 실행 과정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들은 NOS에 대한 평가 경험이나 자료가 부족하여 평가를 직접 구성하였으며 적절한 평가 방법을 선택하고 평가 문항, 준거를 구성하는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었다. 두 교사 모두 NOS에 대한 이해가 학생 개인의 주관적 견해이므로 평가하기 어렵다고 생각하였다. 따라서 구체적인 평가 준거를 설정하는데 어려움을 겪었고 이는 평가 실행 과정 전반에도 어려움을 가져왔다. 두 교사가 실행한 평가의 반성적 수준에서 차이가 나타났으며 낮은 수준의 반성적 활동에서는 학생들의 이해 추론에 어려움이 있었으므로 평가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했다. NOS에 대한 교수지향은 NOS 평가에 대한 인식, 수업 전반의 구성에 영향을 미쳐 두 교사의 NOS 평가 실행에도 차이를 가져왔다. 마지막으로 과학탐구실험의 절대평가 방식 또한 교사들의 NOS 평가 실행에 영향을 미쳤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 현장에서 효과적인 NOS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과학교사의 과학의 본성 수업에 대한 교과교육학 지식(NOS-PCK) 탐색 -과학탐구실험을 중심으로- (An Exploration of Science Teachers' NOS-PCK: Focus on Science Inquiry Experiment)

  • 김민환;신해민;노태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399-413
    • /
    • 2020
  • 이 연구에서는 과학탐구실험 수업에서 나타나는 과학교사의 NOS-PCK를 분석하였다. 수도권에 소재한 고등학교에서 과학탐구실험을 담당하고 있는 4명의 과학교사가 연구에 참여하였다. 이들의 NOS 수업을 관찰하였고, 교수학습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반구조화된 면담을 실시하였다. 수집한 자료를 NOS-PCK의 다섯 가지 요소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NOS와 관련된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와 고려가 부족한 경우가 있었다. 그리고 주어진 탐구 활동이나 교과서의 구성이 NOS 교수에 효과적이지 않다고 생각하여 교육과정을 적극적으로 재구성하였다. 교수전략의 측면에서 교사들의 수업은 명시적인 접근에 가까웠으나 반성적인 접근은 대체적으로 부족하였다. 교사들은 NOS에 대한 견해가 개인의 주관적인 것이라거나 NOS가 인지적 학습의 영역이 아니라는 등의 이유를 들어 NOS에 대한 평가에 소홀한 모습을 보였다. 교사들은 평가 결과에 기반하기보다는 자신의 경험에 의존하여 학생들의 상태를 추측하였다. 마지막으로 NOS 교수에 대한 의지는 교사의 수업 전반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으며 교사들은 NOS 학습의 가치 중 특정 측면에 주목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NOS 교수에 대한 과학교사의 전문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였다.

PCK 관점에서 예비과학교사의 맥락적 NOS 수업 계획 분석 (An Analysis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Contextualized NOS Lesson Planning from the Perspectives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 김혜린;노태희;김민환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521-531
    • /
    • 2023
  • 이 연구에서는 예비과학교사가 계획한 맥락적 NOS 수업을 PCK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사범대학에서 교육과정을 모두 이수한 예비과학교사 8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이들이 작성한 CoRe와 교수학습 지도안을 수집하고 면담을 실시하였다. 분석적 귀납법을 활용하여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교사들이 학습 목표로 선택한 NOS는 수업 주제보다는 NOS를 가르치는 맥락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또한 예비교사들은 NOS 학습의 가치를 잘 답변하지 못했다. 모든 예비교사가 학생들이 NOS를 잘 이해하지 못할 것을 우려하였으며, NOS를 과학 내용과 함께 다룬다는 점에서 많은 어려움을 느꼈다. 예비교사들은 학생들이 직접 실험을 하면 오차로 인해 학생들이 NOS를 배우는 데 문제가 생길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한편 예비교사들은 자신의 경험을 근거로 학생들의 NOS에 대한 선개념과 오개념을 추측하였으며, 과학 개념이나 학생의 인지 발달 단계가 NOS 학습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생각하기도 했다. 교수 전략 측면에서 NOS를 가르치기 위해 다양한 전략을 사용했음에도 불구하고 NOS를 명시적으로 다루지는 않는 경우가 많았다. 평가전략 측면에서도 수업에서 다루는 NOS를 평가하지 않으려는 모습이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예비교사 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