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scillatory firing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6초

Induction of Oscillatory Firing Activity by TTX in Rat Cerebellar Purkinje Cells

  • Seo, Wha-Sook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 /
    • 제29권1호
    • /
    • pp.103-111
    • /
    • 1995
  • Intracellular recordings were obtained from Purkinje cells in rat cerebellar slices maintained in vitro. Adding tetrodotoxin to the superfusion solution produced a typical pattern of repetitive burst firing consisting of a cluster of action potentials followed by a long hyperpolarization. TTX-induced oscillatory activity was not due to modulation of membrane potential although underlying mechanisms for maintenance of oscillatory activity were influenced by membrane voltage. The mechanism of TTX-induced oscillation was not related to the presence or amplitude of $I_h$ and could still induce the oscillatory activity after blockade of $I_h$ by cesium. The result from an experiment in which QX-314 was injected intracellularly strongly suggested that TTX-induced oscillatory firing activity was due to blockade of post-synaptic $Na^{+}$ currents intrinsic to PCs.

  • PDF

Blockade of Intrinsic Oscillatory Activity of Cerebellar Purkinje Cells by Apamin and Nickel

  • Seo, Wha-Sook;Strahlendorf, Jean-C.;Strahlendorf, Howard-K.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1권5호
    • /
    • pp.477-484
    • /
    • 1997
  • Intracellular recordings of oscillatory firing (bursting activity) were obtained from Purkinje cells (PCs) in rat cerebellar slices. Apamin inhibited post-burst hyperpolarizations (PBHs) progressively and finally terminated oscillatory firing activity of PCs. Apamin did not affect the amplitude or duration of the after-hyperpolarization (AHP) between spikes within the burst. In the voltage clamp mode, apamin shifted the whole-cell, quasi-steady state I/V relationship in an inward direction and abolished the zero slope resistance (ZSR) region by blocking outward current. Nickel ($Ni^{2+}$) terminated oscillatory activity and also abolished the ZSR region. However, $Ni^{2+}$ did not have progressive blocking action on the post-burst hyperpolarization before it blocked oscillatory activity. $Ni^{2+}$ blocked an inward current at potentials positive to approximately -65 mV, which was responsible for the ZSR region and outward current at more negative potentials. These data indicated that oscillatory activity of PCs is sustained by a balance between a slow $Ni^{2+}$-sensitive inward current and an apamin-sensitive outward current in the region of ZSR of the whole-cell I/V curve.

  • PDF

전기자극펄스에 대한 변성망막 신경절세포의 응답특성 분석 (Analysis of Neuronal Activities of Retinal Ganglion Cells of Degenerated Retina Evoked by Electrical Pulse Stimulation)

  • 류상백;이종승;예장희;구용숙;김지현;김경환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47-354
    • /
    • 2009
  • For the reliable transmission of meaningful visual information using prosthetic electrical stimulation, it is required to develop an effective stimulation strategy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al pulse trains based on input visual information. The characteristics of neuronal activities of retinal ganglion cells (RGCs) evoked by electrical stimulation should be understood for this purpose. In this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an optimal stimulation strategy for visual prosthesis, we analyzed the neuronal responses of RGCs in rd1 mouse, photoreceptor-degenerated retina of animal model of retinal diseases (retinitis pigmentosa). Based on the in-vitro model of epiretinal prosthesis which consists of planar multielectrode array (MEA) and retinal patch, we recorded and analyzed multiunit RGC activities evoked by amplitude-modulated electrical pulse trains. Two modes of responses were observed. Short-latency responses occurring at 3 ms after the stimulation were estimated to be from direct stimulation of RGCs. Long-latency responses were also observed mainly at 2 - 100 ms after stimulation and showed rhythmic firing with same frequency as the oscillatory background field potential. The long-latency responses could be modulated by pulse amplitude and duration. From the results, we expect that optimal stimulation conditions such as pulse amplitude and pulse duration can be determined for the successful transmission of visual information by electrical stimulation.

관절 가동운동(mobilization)이 관절 감수기(joint receptors)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Joint Mobilization Techniques on the Joint Receptors)

  • 김선엽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95-105
    • /
    • 1996
  • 지금까지의 내용을 요약하면 먼저, 인체의 각 관절 주위에는 관절의 움직임과 위치를 파악하는 감지기 역할을 하는 기계적 감수기가 있다. 이러한 감수기는 크게 네가지로 구분되어지는데 대개 I형 감수기, II형 감수기 등의 용어를 사용한다. 각각의 감수기의 특성(표 2.)을 알아보면, 루피니(Ruffini)감각기와 유사한 모양을 하고 있는 I형 관절감수기는 주로 운동의 속도(speed)와 방향(direction)을 감지(detection) 하며, 파시니안(Pacinian)감각기와 유사한 형태를 하고 있는 II형 관절감수기는 매우 작은 움직임에 대한 감지를 하는데, 예를 들어 속도가 가속(acceleration)되는 것과 같은 움직임 등을 알아낸다. 이외에 골지건과 비슷한 모습을 하고 있는 III형 관절감수기는 운동의 자세(position)와 방향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게 된다 (Carpanter, 1990). 관절의 자세 유지 혹은 안정성 즉, 정적(static) 운동에 주로 관여하는 I형 관절감수기와, 역동적(dynamic)인 운동에 감지를 주로 하는 II형 관절감수기는 진동(oscillation)자극에 잘 촉진된다. 이러한 자극은 동통이 심하게 발생된 관절에 나타나는 근육의 과긴장(hypertonicity)과 동통을 경감시킬 수 있다. III형 관절감수기는 억제 (inhibitory)감수기라 할 수 있는데, 골지건(golgi tendon organ)의 기능과 매우 관련이 깊다. 이 감수기는 관절의 가동범위를 기계적인 자극으로 증가시키기 위해 관절의 가동 끝범위에서 강한 신장(strong strectch)이나 thrust 기술로 감수기를 촉진할 수 있다. 이러한 자극은 결국 근육에 이완을 얻게 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관절 주위의 조직에 분포한 특별한 기계적 감지를 환자들의 임상 증상에 따라 선택적으로 자극하는 치료를 적용할 수 있다면, 현재 물리치료사들이 적용하고 있는 관절 가동운동을 좀더 전문적인 수준으로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관절 가동운동이 관절 감수기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Joint Mobilization Techniques on the Joint Receptors)

  • 김선엽
    • 대한정형도수물리치료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9-19
    • /
    • 1996
  • 지금까지의 내용을 요약하면 먼저, 인체의 각 관절 주위에는 관절의 움직임과 위치를 파악하는 감지기 역할을 하는 기계적 감수기가 있다. 이러한 감수기는 크게 네가지로 구분되어지는데 대개 I 형 감수기, II 형 감수기 등의 용어를 사용한다. 각각의 감수기의 특성(표 2.)을 알아보면, 루피니(Ruffini)감각기와 유사한 모양을 하고 있는 I 형 관절감수기는 주로 운동의 속도(speed)와 방향(direction)을 감지(detection)하며, 파시니안(Pacinian)감각기와 유사한 형태를 하고 있는 II 형 관절감수기는 매우 작은 움직임에 대한 감지를 하는데, 예를 들어 속도가 가속(acceleration)되는 것과 같은 움직임 등을 알아낸다. 이외에 골지건과 비슷한 모습을 하고 있는 II 형 관절감수기는 운동의 자세(position)와 방향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게 된다. 관절의 자세 유지 혹은 안정성 즉, 정적(static) 운동에 주로 관여하는 I 형 관절감수기와, 역동적(dynamic)인 운동에 감지를 주로하는 II 형 관절감수기는 진동(oscillation)자극에 잘 촉진된다. 이러한 자극은 동통이 심하게 발생된 관절에 나타나는 근육의 과긴장(hypertonicity)과 동통을 경감시킬 수 있다. III 형 관절감수기는 억제(inhibitory)감수기라 할수 있는데, 골지건(Golgi tendon organ)의 기능과 매우 관련이 깊다. 이 감수기는 관절의 가동범위를 기계적인 자극으로 증가시키기 위해 관절의 가동 끝범위에서 강한 신장(strong stretch)이나 thrust 기술로 감수기를 촉진할 수 있다. 이러한 자극은 결국 근육에 이완을 얻게 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관절 주위의 조직에 분포한 특별한 기계적 감지를 환자들의 임상 중상에 따라 선택적으로 자극하는 치료를 적용할 수 있다면, 현재 물리치료사들이 적용하고 있는 관절 가동운동을 좀 더 전문적인 수준으로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