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VP

검색결과 572건 처리시간 0.023초

은 양이온과 PVP의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 (Study of the Intraction between PVP and Silver Cation)

  • 이철재;김동엽;남기영
    • 대한화학회지
    • /
    • 제53권5호
    • /
    • pp.565-569
    • /
    • 2009
  • 폴리비닐피롤리돈(PVP)과 은 양이온과의 상호작용을 상온 및 상압 조건에서 연구하였다. PVP 와 PVP/Ag 복합체는 투과전자현미경(TEM), 자외선/가시선 흡수분광법, 라만분광법, 산소/이산화탄소 분석기를 통하여 관측하였다. 은 양이온은 PVP분자의 카르보닐기 산소원자에 있는 비공유전자쌍과 상호작용하여 안정한 PVP/Ag 복합체를 형성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방사선 가교에 의한 PVA/PVP 하이드로겔 제조 및 드레싱에의 응용 (Synthesis of PVA/PVP Hydrogel by Irradiation Crosslinking)

  • 김태훈;노영창
    • 폴리머
    • /
    • 제25권2호
    • /
    • pp.270-278
    • /
    • 2001
  • 의료용 고분자로 널리 알려진 poly(vinylalcohol)(PVA)와 poly(N-vinylpyrrolidone)(PVP)를 이용하여 상처치료용 하이드로겔을 제조하였다. PVP 하이드로겔의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PVA/PVP 혼합용액에 \"freezing and thawing (동결융해)\"을 반복한 후 방사선 ($^{60}$Co${\gamma}$-rays)을 조사하여 하이드로겔을 얻었다. PVA와 PVP의 조성비 (30 : 70 ~ 100 : 0), 동결융해의 반복횟수, PVA 분자량을 변화시키면서 PVA/PVP 하이드로겔의 겔화율, 팽윤도, 겔강도를 측정하였다. PVA/PVP 하이드로겔은 방사선 조사로만 제조되었을 때 보다 동결융해 반복 후 방사선조사했을 때 겔화율과 겔강도가 향상되었다. 이외에 동결융해의 반복정도에 따른 물성의 특징을 논의하였다.특징을 논의하였다.

  • PDF

한우 난포란의 체외성숙 시 여러 가지 첨가물이 배 발생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Various Supplements on Embryo Development and Quality of Bovine Embryos during In Vitro Maturation)

  • 박흠대;장미진;박용수
    •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Biology
    • /
    • 제30권1호
    • /
    • pp.21-26
    • /
    • 2006
  • 본 연구는 체외성숙 배지에 첨가하는 PVP의 농도, EGF, cysteine 및 PVP의 단독 또는 혼합첨가가 한우 체외수정란의 체외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체외성숙 배지에 PVP의 첨가농도$(0.1{\sim}3.0%)$에 따른 분할율은 차이가 없었으나, 배반포 발달율은 0.5% PVP 첨가군이 가장 높았다(P<0.05). PVP, EGF 및 cysteine의 단독 및 혼합 첨가에 따른 분할율은 cysteine 단독첨가군이 높았으나(P<0.05), 배반포 발달율은 차이가 없었다. Inner cell mass 수는 대조군과 cysteine 첨가군이 PVP 첨가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고(P<0.05), 총 세포수도 cysteine 첨가군에서 가장 높았다. 수정란이식 결과는 대조군, EGF, cysteine 및 EGF+cysteine 군의 임신율은 $46.1{\sim}63.6%$로서 비슷하였으나, PVP 첨가군은 10%로서 다른 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았다(P<0.05). 본 연구 결과는 체외성숙 배지에 PVP의 첨가로 배 발생은 가능하지만, 세포의 품질에는 악영향을 미치는 것을 보여준다.

PVP-기반 유기 절연막 형성과 OTFT 제작 (Formation of PVP- Based Organic Insulating Layers and Fabrication of OTFTs)

  • 장지근;서동균;임용규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302-307
    • /
    • 2006
  • The formation and processing of organic insulators on the device performance have been studied in the fabrication of organic thin film transistors (OTFTs). The series of polyvinyls, poly-4-vinyl phenol(PVP) and polyvinyltoluene (PVT), were used as solutes and prop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acetate(PGMEA) as a solvent in the formation of organic insulators. The cross-linking of organic insulators was also attempted by adding the thermosetting material, poly (melamine-co-formaldehyde) as a hardener in the compound.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measured in the metal-insulator-metal (MIM) structures showed that insulating properties of PVP layers were generally superior to those of PVT layers. Among the layers of PVP series: PVP(10 wt%) copolymer, 5 wt% cross-linked PVP(10 wt%), PVP(20 wt%) copolymer, 5 wt% cross-linked PVP(20 wt%) and 10 wt% cross-linked PVP(20 wt%), the 10 wt% cross-linked PVP(20 wt%) layer showed the lowest leakage current characteristics. Finally, inverted staggered OTFTs using the PVP(20 wt%) copolymer, 5 wt% cross-linked PVP(20 wt%) and 10 wt% cross-linked PVP(20 wt%) as gate insulators were fabricated on the polyether sulphone (PES) substrates. In our experiments, we could obtain the maximum field effect mobility of 0.31 $cm^2/Vs$ in the device from 5 wt% cross-linked PVP(20 wt%) and the highest on/off current ratio of $1.92{\times}10^5$ in the device from 10 wt% cross-linked PVP(20 wt%).

유기박막 트랜지스터용 PVP (poly-4-vinylphenol) 게이트 절연막의 제작과 특성 (Preparation and Properties of PVP (poly-4-vinylphenol) Gate Insulation Film For Organic Thin Film Transistor)

  • 백인재;유재헉;임현승;장호정;박형호
    • 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지
    • /
    • 제12권4호통권37호
    • /
    • pp.359-363
    • /
    • 2005
  • 유기 박막트랜지스터 (OTFT)를 제작하기 위하여 게이트 절연막으로서 PVP 계통의 유기막을 갖는 MIM(metal-insulator-metal)구조의 유기 절연층 소자를 제작하였다. 유기 절연층의 형은 ITO/Glass 기판위에 polyvinyl 계열의 PVP(poly-4-vinylphenol)를 용질로, PGMEA (prop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acetate)를 용매로 사용하여 co-polymer PVP를 제조하였다. 또한 열경화성 수지인 poly(melamine-co-formaldehyde)를 경화제로 사용하여 cross-linked PVP 절연막을 합성하였다. 유기 절연층의 전기적 특성은 co-polymer PVP 소자에 비해 cross-link 방식으로 제조된 소자에서 약 300 pA의 낮은 누설전류와 상대적으로 낮은 잡음전류의 특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cross-linked PVP 절연막에서 보다 양호한 표면형상 (거칠기)이 관찰되었으며 정전용량 값은 약 0.11${\~}$0.18 nF의 값을 나타내었다.

  • PDF

방사선에 의한 키토산을 포함하는 PVA와 PVP 하이드로겔의 제조 및 특성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Hydrogels of PVA and PVP Containing Chitosan by Radiation)

  • 박경란;노영창
    • 폴리머
    • /
    • 제25권5호
    • /
    • pp.728-735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60}cO$ 방사선 (${\gamma}$-rays) 가교를 이용하여 PVA/키토산과 PVP/키토산의 혼합물로부터 하이드로겔을 제조하였다. 하이드로겔이 상처 치료용 드레싱으로 사용될 수 있는지 예측하기 위해 겔화율, 팽윤도, 겔강도같은 기계적 성질을 측정하였다. PVA와 키토산 및 PVP와 키토산의 비는 97 : 3 ~ 90 : 10이고, PVA/키토산 및 PVP/키토산 용액의 고형분의 농도는 15wt% 이었다. 하이드로겔의 기계적 성질에 조사선량이 미치는 영향을 예측하기 위해 PVA/키토산 및 PVP/키토산 혼합물에 25~70kGy의 감마선을 조사하였다. 겔화율과 겔강도는 키토산 조성비가 작을수록, 조사선량이 커질수록 증가하였다 팽윤도는 키토산 조성비가 클수록, 조사선량이 작을수록 증가하였다.

  • PDF

Effects of Polymer Adsorption on Stabilities and CMP Performance of Ceria Abrasive Particles

  • Shimono Norifumi;Kawaguchi Masami;Koyama Naoyuki
    • Transactions on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s
    • /
    • 제7권3호
    • /
    • pp.112-117
    • /
    • 2006
  • In this paper we present that the effects of polymer adsorption on stabilities and CMP performance of ceria abrasive particles. Characterization of ceria abrasive particles in the presence of poly(vinyl pyrrolidone) (PVP) was performed by the measurements of adsorbed amounts of PVP, average sizes, and the back scattering intensities of the ceria abrasive particles as functions of PVP molecular weight and PVP concentration. The ceria abrasive particles in the presence of PVP were used to polish $SiO_2\;and\;Si_3N_4$ films deposited on Si wafers in order to understand the effect of PVP adsorption on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CMP) performance, together with ceria abrasive particles without PVP. Adsorption of PVP on the ceria abrasive particles enhanced the stability of ceria abrasive particles due to steric stabilization of the thick adsorbed layer of PVP. Removal rates of the deposited $SiO_2\;and\;Si_3N_4$ films by the ceria abrasive particles in the presence of PVP were much lower than those in the absence of PVP and their magnitudes were decreased with an increase in the concentration of free PVP chains in the dispersion media. This suggests that the CMP performance in the presence of PVP could be mainly controlled by the hydrodynamic interactions between the adsorbed PVP chains and the free ones. Moreover, the molecular weight dependence of PVP on the removal rates of the deposited films was hardly observed. On the other hand, high removal rate selectivity between the deposited films in the presence of PVP was not observed.

Polyvinylpyrrolidone과 1,2-indanedione 혼합물을 이용한 감열지에 부착된 혈흔지문의 증강 (Enhancement of fingerprint in blood deposited on the surface of thermal paper by using the mixture of polyvinylpyrrolidone and 1,2-indanedione)

  • 김동만;류혜연;정승훈;주인선;홍성욱
    • 분석과학
    • /
    • 제34권3호
    • /
    • pp.122-127
    • /
    • 2021
  • Polyvinylpyrrolidone과 1,2-indanedione 혼합물(PVP-IND)은 감열지에 부착된 잠재지문을 현출하는데 가장 좋은 시약이라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PVP-IND가 감열지에 부착된 혈흔지문을 증강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알려지지 않았으므로 PVP-IND의 혈흔지문 증강 능력을 연구하였다. 비교 대상으로는 감열지에 부착된 혈흔지문을 증강할 때 가장 우수한 성능을 나타낸다고 알려진 amido black 수용액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 물에 희석된 혈액이 묻은 손가락으로 만든 혈흔지문을 증강할 경우에는 PVP-IND가 amido black 수용액보다 증강 능력이 우수했다. 반면 희석되지 않은 혈흔지문을 PVP-IND로 처리하면 융선이 번져 나타나서 amido black 수용액의 증강 능력이 우수했다. PVP-IND로 처리했을 때 융선이 번져서 나타나는 것은 PVP와 혈액에 포함된 amino acid가 반응했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Cross-Linked PVP 게이트 유기 박막트랜지스터 (Organic Thin Film Transistors with Cross-Linked PVP Gates)

  • 장지근;오명환;장호정;김영섭;이준영;공명선;이영관
    • 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지
    • /
    • 제13권1호통권38호
    • /
    • pp.37-42
    • /
    • 2006
  • 유기 박막트랜지스터(OTFTs)제작에서 PVP-게이트 절연막의 형성과 처리가 소자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유기 게이트 용액의 제조에서는 polyvinyl 계열의 PVP(poly-4-vinylphenol)를 용질로, PGMEA (prop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acetate)를 용매로 사용하였다. 또한 열경화성 수지인 poly(melamine-co-formaldehyde)를 경화제로 사용하여 유기 절연막의 cross-link를 시도하였다. MIM 시료의 전기적 절연 특성을 측정한 결과, PVP-기반 유기 절연막은 용액의 제조에서 PGMEA에 대한 PVP와 poly (melamine-co-formaldehyde)의 농도를 증가시킬수록 낮은 누설전류 특성을 나타내었다. OTFT 제작에서는 PGMEA에 대해 PVP를 20 wt%로 섞은 PVP(20 wt%) copolymer와 5 wt%와 10 wt%의 poly(melamine-co-formaldehyde)를 경화제로 추가한 cross-linked PVP(20 wt%)를 게이트 유전 재료로 사용하였다. 제작된 트랜지스터들에서 전계효과 이동도는 5 wt % cross-linked PVP(20 wt%) 소자에서 $0.31cm^2/Vs$로, 그리고 전류 점멸비는 10 wt% cross-linked PVP(20 wt%) 소자에서 $1.92{\times}10^5$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 PDF

솔-젤 법을 통해 제조된 강유전체 (Na,K)NbO3 막의 두께에 미치는 PVP의 영향 (Influence of PVP on the Thickness of Ferroelectric (Na,K)NbO3 Film by Sol-Gel)

  • 김대건;유인상;김세훈;김진호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22권12호
    • /
    • pp.696-700
    • /
    • 2012
  • (Na, K) $NbO_3$ thick film was successfully achieved using a sol-gel coating process with the addition of polyvinylpyrrolidone (PVP) to a metal alkoxide solution. The transparent coating solution, mixed with Nb:PVP = 1:1 in a molar ration, was synthesized by evaporating the solvent to over 62.5 wt%. Additive PVP increased the viscosity of the solution so that the coating thickness could be enhanced. The thickness of the (Na, K) $NbO_3$ film assisted by PVP was ca. 320 nm at the time of deposition; this value is four times thicker than that of the sample fabricated without PVP. Also, due to PVP binding with the OH groups of the metal alkoxide, the condensation reaction in the film was suppressed. The crystalline size of the (Na, K) $NbO_3$ films assisted by PVP was ca. 15 nm smaller than that of the film fabricated without PVP. After the sintering process at $700^{\circ}C$, the (Na, K) $NbO_3$ films were mainly composed of randomly oriented (Na, K) $NbO_3$ phase of perovskite crystal structure, including a somewhat secondary phase of $K_2Nb_4O_{11}$. However, by adding PVP, the content of the secondary phase became quite smaller than that of the sample without PVP. It was thought that the addition of PVP might have the effect of restraining the loss of potassium and that PVP could hold metalloxane by strong hydrogen bonding before complete decomposition. Therefore, the film thickness of the (Na, K) $NbO_3$ films could be considerably advanced and made more crack-free by the addition of PV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