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eoniflorin

검색결과 128건 처리시간 0.022초

작약(Paeonia lactiflora Pall.)에서 paeoniflorin 추출방법 및 HPLC 분석조건 (Extraction Methods and HPLC Analysis Conditions of Paeoniflorin in Peony, Paeonia lactiflora Pall.)

  • 정명근;강광희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542-547
    • /
    • 1994
  • 경북 영천군 고경면 작약 재배농가의 정식 4년차인 의성품종(Paeonia lactiflora Pall.)을 1993년 6월 17일 수확하고, 굵기가 27mm 이상인 뿌리를 선별하여 paeoniflorin 추출방법 및 HPLC 분석조건에 대한 조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초음파추출 및 환류추출법에 의한 작약근 추출물의 HPLC chromatogram은 상호간의 차이가 없었으며, 두 추출법 모두에서 paeoniflorin retention time이 10.2분대에 peak가 존재하였다. 2. 환류추출법에 의한 paeoniflorin 추출은 60min., 1회로 충분하였다. 3. 초음파추출에서 추출시간이 1hr.∼2hr. 까지의 paeoniflorin함량은 동일시간의 환류추출보다 각각 0.28%, 0.32% 낮게 평가되었고 3hr.∼4hr.의 추출에서는 두 방법간에 차이가 없었다. 4. 초음파 추출법은 분석작업이 용이함으로 다수계통의 상대적 비교시에는 환류추출법보다 효과적이다. 5. 작약추출물 중 paeoniflorin, albiflorin을 HPLC를 이용하여 분석할 때 높은 감도를 보이는 가장 효과적인 UV Detector 파장은 각각 240nm, 254nm이고, 동시정량시에는 254nm가 비교적 안정적이었다.

  • PDF

피부 주름 개선 소재인 페오니플로린의 에멀젼 안정성 (Stability of Paeoniflorin used as Anti-wrinkle Agents in Emulsions)

  • 조완구;경기열;유상문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91-198
    • /
    • 2009
  • We have tested the stability of paeoniflorin, a new cosmetic ingredient, extracted from the roots of Paeoniae lactiflora. The stability of aqueous paeoniflorin solution at pH 3, 5 and 7 varied by adding buffer solution was tested at $0^{\circ}C,\;25^{\circ}C,\;40^{\circ}C,\;and\;65^{\circ}C$. The test was performed with or without UV light. The solution of paeoniflorin was stable at pH 3.0, however, the recovery rate of paeoniflorin was 40% at pH 7.0. The stability of paeoniflorin solution was decreased as the pH of paeoniflorin solution was increased by pH 7.0. The effect of storage temperature of paeoniflorin solution shows that the stability of paeoniflorin solution was decreased as the temperature was increased. The stability of paeoniflorin was rather good under UV light than the condition given above $40^{\circ}C$. The stability of paeoniflorin in W/O emulsions shows similar pattern to that of aqueous solution.

경북지역(慶北地域)에서 재배중(栽培中)인 작약(芍藥)의 Paeoniflorin 함량분석(含量分析) (Analysis of the Content of Paeoniflorin in Peony Roots Cultivated on Kyeongbuk Area)

  • 김태강;주길재;정재동;이인구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14권
    • /
    • pp.15-28
    • /
    • 1996
  • 주(主) 재배품종인 의성종과 영천종의 유효성분을 HPLC 및 TLC로 분석한 결과 주(主)성분인 paeoniflorin 함량은 의성종이 영천종보다 높으며 albiflorin과 oxypaeoniflorin의 함량을 두 재배종에서 비교하면 의성종은 albiflorin 함량이 많고 영천종은 oxypaeoniflorin의 함량이 많았다. 생산지에 따른 paeoniflorin의 함량차이는 2.15% 에서 4.08% 의 범위였고 의성과 거창의 것은 비슷하였으며 영천의 것이 가장 낮았다. 18종의 재배종들은 품종에 따라 다양한 paeoniflorin 함량 차이를 보이며 작약성분분석의 HPLC 크로마토그랍을 albiflorin, oxypaeoniflorin 및 paeoniflorin 피크를 기준으로 비교해본 결과 크게 3가지 패턴으로 분류할수 있었다. 이 세가지 유형은 의성종 패턴 9종, 영천종 패턴 4종 풍기표준종패턴 5종 이었다. 수확시기에 따른 작약의 paeoniflorin의 함량변화를 조사한 결과 3월과 9월에 수확한 것이 낮았으며 5월과 11월에 수확한 작약의 paeoniflorin 함량이 높았다.

  • PDF

열처리에 의한 작약의 Paeoniflorin 함량 변화 (Changes of Paeoniflorin Content in Peony Roots by Heat-treatment)

  • 김태강;김광중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69-75
    • /
    • 1997
  • Peony is a medicinal herb which have utilized widely as chineses medicine. The paeoniflorin is the predominant component In peony root, monoterpene glucoside containing pinane structure. The effective components were extracted with the cold water from the intact peony roots, and effectively extracted with 70% ethanol from the dry powder of peony roots. The changes of paeoniflorin contents were investigated during the drying process of peony roots and processing of peony extract by the heat-treatment. Air-drying was the best condition for the preservation of paeoniflorin content among the drying processes of peony roots. But convective drying at 6$0^{\circ}C$ was recommended for the drying process of peony roots in large scale. The paeoniflorin in peony extracts was not destroyed by the treatment at 6$0^{\circ}C$ and 8$0^{\circ}C$ for 5 hrs, but destroyed 30%, 28% and 40% of paeoniflorin by treatment at 10$0^{\circ}C$ for 5 hrs, 115$^{\circ}C$ and 121$^{\circ}C$ for 10 minutes, respectively. The paeoniflorin was continueously extracted for 4 hrs from the dry pieces of peony roots(0.5$\times$0.5$\times$0.5cm) in boiling water but destroyed gradually after 4 hrs at 10$0^{\circ}C$. Paeoniflorins in 70% ethanol extracts of peony root were not destroyed at all in the process of concentration to dry powder at 60"C on vacuum.cuum.

  • PDF

작약의 혈소판 응집억제작용에 관한 연구 (Study on Inhibition of Platelet Aggregation of Bioactive Constituents from Paeonia lactiflora)

  • 박관혁;서범석;손동주;박영현;장성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4권4호
    • /
    • pp.357-360
    • /
    • 2003
  • 작약의 methanol 추출물은 혈소판 활성 실험에서 혈소판 응집에 대해 강한 억제를 보였다. 활성성분은 chromatography방법을 사용하여 정제하였고 NMR과 기존의 Data로 분석하였다. Compound 1b는 benzoyloxypaeoniflorin과 동일한 구조임을 확인하였으며. compound 2e는 작약의 주성분인 paeoniflorin과 동일한 화학구조를 가졌으며 , compound 3a의 분석결과 구조적 유사성은 있으나 동일한 구조식은 확인 할 수 없었지만 collagen에서 응집억제활성이 90%이상의 뛰어난 활성을 나타내어 benzoyloxypaeoniflorin과 유사하게 benzoyl 기가 다른 작용기로 치환되었거나 Rl group이 다른 작용기로 치환된 형태로 추측하였다. Paeoniflorin이 collagen보다 thrombin에서 강한 억제를 보이는 것은 Ca/sup 2+/ chelate를 형성함으로 인해 calcium 대사산물이 파괴된 것으로 추측했다. Compound 3a는 paeoniflorin의 benzoyl 기에 있는 OH기나 paeoniflorin의 glycoside 5-carbon위치의 OH기 대신에 다른 작용기가 대사산물로의 역할을 수행했을 것으로 추정했다.

  • PDF

The Level of UVB-induced DNA Damage and Chemoprevention Effect of Paeoniflorin in Normal Human Epidermal Kerationcytes

  • Lim, Jun-Man;Park, Mun-Eok;Lee, Sang-Hwa;Kang, Sang-Jin;Cho, Wan-Goo;Rang, Moon-Jeong
    • Molecular & Cellular Toxicology
    • /
    • 제1권2호
    • /
    • pp.111-115
    • /
    • 2005
  • Ultraviolet (UV) radiation to mammalian skin is known to alter cellular function via genera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DNA damage and DNA lesions, such as pyrimidine dimmers and photoproducts, which could lead to DNA mutation if they are not repaired. In this study, we have investigated the reduction of DNA damage and of apoptosis with a particular attention to genetic effect of paeoniflorin in Normal Human Epidermal Keratinocytes (NHEK). After UVB irradiation from $10\;to\;500mJ/cm^{2}$ to NHEK, Mean Tail Moments (MTM) were increased with UVB dose increase. The greatest amount of strand breaks was induced at $500mJ/cm^{2}$ of UVB. Even at the lowest dose of UVB ($10mJ/cm^{2}$), change in MTM was detected (P<0.0001). Pretreated cell with 0.1% paeoniflorin maximally reduced the level of DNA damage to about 21.3%, compared to untreated cell. In the lower concentrations less than 0.01% of paeoniflorin, MTM had a small increase but paeoniflorin still had reductive effects of DNA damage. We measured the apoptosis suppression of paeoniflorin with annexin V flous staining kit. As we observed under the fluorescence microscopy to detect apoptosis in the irradiated cell, the fluorescence intensity was clearly increased in the untreated cell, but decreased in treated cells with paeoniflorin. These results suggest that paeoniflorin reduces the alteration of cell membranes and prevents DNA damage. Therefore, the use of paeoniflorin as a free radical scavenger to reduce the harmful effects of UV lights such as chronic skin damage, wrinkling and skin cancer can be useful to prevent the formation of photooxidants that result in radical damage.

중국 목단재배종의 채취시기 및 부위별 Paeonol과 Paeoniflorin의 함량변화 (Changes of Paeonol and Paeoniflorin Contents in Chinese Moutan (Paeonia suffruticosa Andrews) Cultivars with Different Harvesting Times and their Parts)

  • 최경;조비;이옥화;최준원;이학주;권영한;박광우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35-40
    • /
    • 2005
  • 중국에서 재배되는 목단의 품종 중 화형의 연화정도가 다른 대표적인 6개 품종의 뿌리에 대해 채취시기에 따른 paeonol과 paeoniflorin의 함량을 조사하였다. 6개 품종의 뿌리에서 paeonol의 양은 계절에 관계없이 거의 일정하여 변화가 없었다. 반면 paeoniflorin은 개화기인 5월에 가장 높은 값을 보이다가 6월에 감소, 7월에는 증가, 8월에 다시 감소하다가 9월에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비교한 6개의 품종중 화형의 형태가 단순한 종류가 복잡한 종류에 비해 약리성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었다. 단판형화관인 Dan Feng과 만첩형 화관의 Wu Long Feng Sheng의 채취시기에 따른 부위별 약리성분의 분포정도를 비교하였다. Paeonol은 두 품종 모두 뿌리를 제외한 잎과 줄기에 미량으로 존재하며 채취시기가 달라져도 변화가 없었다. Paeoniflorin은 뿌리와 잎 두 부분에 다량으로 존재하여 뿌리에서의 분포양이 계절적으로 증감을 반복하는 반면, 잎은 성장이 가장 왕성한 5월에 가장 높게 분포하고 시기가 지날수록 감소하였다.

한국산(韓國産) 작약근(芍藥根) 함유(含有) Paeoniflorin 과 Albiflorin의 분리(分離) 및 분석(分析) (Isolation and Determination of Paeoniflorin and Albiflorin in Korean Peony(Paeonia lactiflora Pall) Root)

  • 정명근;강광희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249-254
    • /
    • 1997
  • 한국산 재배작약(Paeonia lactiflora Pall.)에서 작약근의 주 활성물질로 평가되는 paeoniflorin과 albiflorin을 분리하였고. 국내 재배작약 10계통간에 paeoniflorin 과 albiflorin의 함량을 정량적으로 분석 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한국산 재배작약으로 부터 silicagel column chromatography를 실시하여 paeoniflorin 과 albiflorin을 분리하였고, 그 화학적 구조를 분광학적 방법 $(UV,\;FT-IR,\;^1H{\cdot}^{13}C-NMR)$으로 확인 하였으며, HPLC 상대순도는 각각 98%, 93%였다. 2. 국내 재배작약 10계통의 paeoniflorin함량을 조사한 결과 $1.56%{\sim}4.04%$의 범위를 나타내었으며, 이들 중 의성 9호가 1.56%로 가장 낮았고, 밀양 4호가 4.04%로 가장 높은 양상을 나타내어 재배 계통간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3. 국내 재배작약 10계통의 albiflorin함량은 의성 4호가 0.04%로 가장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풍기 27호가 1.98%로 가장 높아 계통간 차이가 뚜렸하였고, 조사된 10계통 중 풍기 계통은 $0.10%{\sim}1.98%$로 기타 계통보다 함량이 월등히 높았다.

  • PDF

작약 생육시기에 따른 약근수량 및 Paeoniflorin함량 변화 (Yield of Paeonia Radix and Changes of Paeoniflorin Concentration in Paeonia Radix with Different Growing Stages)

  • 강광희;정명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397-404
    • /
    • 1994
  • 경북 영천군 독농가가 재배한 정식 4년차인 의성종과 밀양종(P. lactiflora Pall.에 속하는 지방종)작약을 공시재료로 하여 생육시기별로 paeoniflorin 및 내용성분을 조사하고 수확기별로 약근수량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해 보면 1. 개화기인 5월에 저장근 건물비율은 약 23%로 가장 낮았고, 수축율은 47%로 가장 높아 서로 상반된 양상을 나타내었으며, 6월 이후는 이들 특성의 변화가 없어 안정적이었다. 2. 전 생육기간 중 내용성분의 변화가 가장 큰 시기는 개화기인 5월이었으며, 약근에 함유된 paeoniflorin, 조단백, 조섬유 및 조회분은 공통적으로 개화기인 5월에 함량이 일시적으로 증가하였고, 총당 및 조지방은 변화가 적었다. 3. Paeoniflorin은 5월 시기에 6.37%로 가장 높았으며 6월 이후 변화없이 안정된 경향을 보였고, 의성종과 밀양종의 품종간 차이는 뚜렷하여 밀양종이 약 2% 높았다. 4. 전 생육기간 중 내용성분의 변화가 심하였던 전기(2∼5월)와 안정적인 후기(6∼10월)의 특성간 상관관계 중 전·후기 모두 정의 유의상관을 가진 것은 전분과 건물중, 조섬유와 paeoniflorin이며 부의 유의상관을 가진 특성은 전분과 조섬유, 전분과 paeoniflorin, 전분과 건물중 이었다. 5. 경장, 주당경수, 건전경비율은 이병으로 인한 고사로 8월보다 10월 수확기에서 현저히 낮았으며, 약근수와 길이도 근부현상이 심하여 10월 수확기에서 감소되었다. 6. 4년생 작약의 수확적기는 8∼9월이 적당하며 지상부 고사가 심하면 수확기를 앞당기는 것이 수량 및 품질면에서 더욱 안정적이다.

  • PDF

건조방법에 따른 작약근 건조 소요일수 및 성분 변화 (Changes in Days to Drying and Some Chemical Components by Different Drying Methods in Paeoniae radix)

  • 강광희;정명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362-369
    • /
    • 1996
  • 3년생 의성작약품종(faeornia lacrifora Pall.)을 1994년 2월에 수확하여 유피 및 거피상태로 처리한 후 상온음건법, 화력건조법, 증건법 및 냉동건조법으로 건조방법을 각각 달리하여 주 약용성분인 paeoniflorin함량 및 일반 화학성분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건물비율 50%까지의 건조일수는 거피상태 3$0^{\circ}C$ 화력건조가 동일온도의 유피상태보다 5일이 짧으며, 거피상태에서는 5$0^{\circ}C$ 화력건조법이 1.5일로 가장 빨랐고, 121$^{\circ}C$ 증건법은 8일로 가장 늦었다. 2. 상온음건 및 화력건조법의 경우 paeoniflorin 함량은 거피상태가 더 높았고, 반대로 증건법은 유피상태가 더 높았다. 화력건조법의 경우 건조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paeoniflorin 함량은 감소하였다. 3. 건조방법 중 3$0^{\circ}C$화력건조가 Paeoniflorin함량이 4.0%로 가장 높고, 건조일수가 단축되며, 색택 이 양호한 가장 적절한 건조법 이었다. 4. 화력건조시 건조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총당의 함량은 감소하고 전분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또 전분함량은 121$^{\circ}C$의 증건법을 제외한 모든 건조방법에서 거피상태보다 유피상태가 더 높았다. 5. 조단백질, 조섬유 및 조회분의 함량은 유피, 거피 및 건조방법에 따라 큰 차이가 없었다. 6. Paeoniflorin과 총당의 관계는 유피상태에서 정의 유의상관이, 그리고 paeoniflorin과 전분의 관계는 거피상태에서 부의 유의상관이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