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thologic lead point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7초

소아 장중첩증의 병리적 유발병변 (Pathologic Lead Points in Childhood Intussusception)

  • 장선모;강수환;이정훈;허영수
    • Advances in pediatric surgery
    • /
    • 제6권1호
    • /
    • pp.50-55
    • /
    • 2000
  • Pathologic lead points are found in a few intussusception patients. To evaluate the pathologic lead points in childhood intussusception, a retrospective review of 227 operated cases of intussusception treated at the Yeungnam University Hospital from January 1986 to April 1999.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2 groups; idiopathic group 209 cases, (92.1 % and lead points group 18 cases, 7.9 %). Intussusception developed between age two months and six months in both groups. Enteroenteric type of intussusception was relatively more frequent in the lead point group than in idiopathic group. The lead points were veil (10 cases, 52.6 %), Meckel's diverticulum(3 cases, 15.8 %), lymphoma(3 cases, 15.8 %), ectopic pancreas(2 cases, 10.5 %), Henoch-Sch$\ddot{o}$nlein purpura(1 cases, 5.3 %). The bowel resection rate was 44.4 % in the lead point group and 8.6% in idiopathic group. The recurrence rate was 5.56 % in lead points group and 1.44 % in idiopathic group.

  • PDF

재발성 장중첩증에 대한 임상적 분석 (Clinical Evaluation of Recurrent Intussusception)

  • 박민재;이두선
    • Advances in pediatric surgery
    • /
    • 제9권1호
    • /
    • pp.24-29
    • /
    • 2003
  • To evaluate the clinical findings of the recurrent intussusception, 351 patients with 445 intussusceptions were reviewed. Recurrence rate, pattern of recurrence, reducibility, pathologic lead points (PLP), and operative findings and long term follow up of the multiple recurrences were analyzed. Of 351 patients, 303 had no recurrence, 26 had one recurrence, and 22 had multiple recurrences. Over all recurrence rate was 16.4% ; 18.5% were managed by air reduction, 16.2% by barium reduction and 5.9% by operation. Eleven PLPs were proved operatively and an additional 6 suspected PLPs were depicted radiologically. The most frequent PLP was ileal lymphoid hyperplasia. Intervals between reduction and recurrence were less than 2 weeks in 31 cases, between 2 weeks and 1 year in 55, and more than 1 year in 8. The longest interval was 2 years and 4 months.

  • PDF

재발성 장중첩증 환아에서 병적 선두로 확인된 장중복 낭종 1예 (A Case of Intestinal Duplication Cyst Identified as Pathological Lead Point in a Child with Recurrent Intussusception)

  • 이건송;박지윤;오종석;성인창;한강민;이영석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13권1호
    • /
    • pp.75-80
    • /
    • 2010
  • 장중첩증이 재발한 15개월 여아에서 초음파 검사에서 병적 선두로 생각되는 낭성 종괴를 확인하였고 이중벽 징후와 인접한 소장 사이에 Y자 형상의 저반향 경계를 가지고 있어 중복 낭종으로 의심하였다. 이후 절제술을 시행하여 조직병리검사에서 인접한 회장과 근육층을 공유하고 낭종의 바깥쪽으로는 인접한 장 점막상피 조직과 안쪽으로는 이소성 위 점막 조직이 관찰되는 중복 낭종으로 확진되어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이소성 췌장과 위점막을 가진 멕켈 게실에 의한 장중첩증 1예 (A Case of Intussusception Caused by Meckel's Diverticulum with Heterotopic Pancreatic and Gastric Tissues)

  • 김미진;김재영;설지영;강대영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9권1호
    • /
    • pp.75-79
    • /
    • 2006
  • 저자들은 장중첩증의 관장 정복 후 입원 관찰 기간 동안에 2차례 더 재발한 장중첩증을 가진 5세여 아에서 복부 CT 촬영으로 선두를 확인하고 복강경으로 치료한 이소성위점막과 췌조직을 동시에 가진 멕켈 게실에 의한 장중첩증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한다.

  • PDF

단일 병원에서의 재발성 장중첩증과 병적 선두에 대한 임상적 고찰 (Clinical Analysis of Recurrent Intussusception and the Pathologic Lead Point in a Single Center)

  • 이건송;박윤준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12권2호
    • /
    • pp.163-170
    • /
    • 2009
  • 목 적: 저자들은 단일 병원에서 발생한 장중첩증의 환아들 중 재발성 장중첩증의 특성 및 예후 그리고 병적 선두의 유무 및 연관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1994년 5월부터 2009년 6월까지 장중첩증으로 단국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 및 소아외과에 입원하였던 590명의 환자 중 2회 이상의 장중첩증이 발생한 54명의 환아와 비수술적 정복술에 실패하여 수술을 시행하고 영상의학적 검사에서 병적 선두가 의심되었던 90명 총 14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144명의 의무기록지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여 재발성 장중첩증이 있었던 54명의 특성(재발률, 재발 횟수, 첫 재발까지의 기간, 정복술 각각의 재발률)과 병적 선두의 종류, 선두의 위치, 재발의 유무, 진단 방법 등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예후는 3회 이상의 장중첩증이 있었고, 2009년 7월까지 전화방문을 통해 추적관찰이 가능하였던 1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통계적 분석은 Pearson 선형상관분석, Fisher's exact test 그리고 Mann-Whitney 검정을 사용하였다. p값이 0.05 미만인 경우를 통계적으로 유의하다고 판정하였다. 결 과: 중첩증의 재발률은 총 590명 중 54명(9.2%)이었다. 54명 중 남아 37명(68.5%), 여아 17명(34.2%)으로 남아에서 2.1배 더 많았다. 초기 중첩증 시 평균 연령은 11.7${\pm}$9.2개월(2~38)이었다. 재발의 빈도는 1회가 35명(64.8%), 2회 10명(18.5%), 3회 3명(5.6%), 4회 3명(5.6%), 5회 1명(1.9%), 6회 1명, 7회 1명이었다. 첫 재발까지의 기간은 평균 130${\pm}$175일(12시간~3년)이었다. 재발의 빈도와 처음 재발사이 기간과는 상관관계가 없었다(r=.0.064, p=0.643). 공기 정복술은 118회 시행 후 재발은 77예(65.2%), 바륨 정복술은 21회 시행 후 14예(66.7%), 도수 정복술은 9회 시행 후 3예(33.3%)로 재발률은 바륨 정복술이 가장 높았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p=0.131). 병적 선두는 전체 590명 중 18명 (3.0%)에서 관찰되었고, 재발성 장중첩증이 있었던 54명의 환자 중에서는 7명(12.9%) 있었다. 병적 선두로는 림프양 증식증이 13예(72.2%), Meckel 게실 2예(11.3%), 중복 낭종 1예(5.5%), 소장 용종 1예, 그리고 선근종 1예가 관찰되었다. 다른 유도 병변으로는 맹장과 말단 회장에 선천성 밴드가 4예가 있었다. 재발성 장중첩증이 있었던 54명 중 병적 선두가 있었던 7명에서 중첩증 횟수의 평균은 4.7${\pm}$1.9회로 47명의 2.4${\pm}$0.9회 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0.023). 3회 이상의 중첩증이 있었고 추적관찰이 가능하였던 17명의 재발의 기간은 평균 17.4${\pm}$19.8개월(2일~72개월)이었다. 수술을 하지 않았던 9명의 재발의 기간은 평균 18.8${\pm}$16.3개월(2일~45개월)이었고 마지막 중첩증 시 평균나이는 32.6${\pm}$16.2개월이었다. 추적관찰 동안 17명 모두 재발은 없었다. 결 론: 병적 선두가 존재하는 환아에서 재발성 중첩증의 빈도가 높으며 3회 이상의 중첩증이 있는 경우는 병적 선두에 대한 조사를 시행하여 제거술을 시행하거나 비수술적 정복술을 시행하며 추적관찰을 할 수 있다. 추후 중첩증의 재발을 막을 수 있는 치료법에 대한 더 많은 연구가 시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 PDF

소아에서 소장형 장중첩증; 자연 정복과 수술적 치료의 비교 (Small Bowel Intussusception in Children: Spontaneous Resolution vs. Surgical Intervention)

  • 박미란;임미선;서정기;고재성;장주영;양혜란;임윤정;김우선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13권2호
    • /
    • pp.128-133
    • /
    • 2010
  • 목 적: 장중첩증은 영아기 급성 복통의 흔한 원인 중 하나로 대부분 특발성의 소장-대장형이다. 반면 소장형 장중첩증은 드물며 시작점을 보이는 경우가 있고 수술적 정복을 필요로하는 경우가 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소아에서 소장형 장중첩증의 임상 양상과 경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방 법: 2005년에서 2010년까지 서울대병원에서 소장형 장중첩증으로 진단받은 21명의 환아들의 임상 양상 및 영상 소견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 임상 양상은 복통 및 보챔(85%), 구토(23%), 발열(14%), 혈변(14%) 및 복부 종괴(4%) 등이었다. 여섯 명(28%)의 환아에서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였다. 초음파에서 병변의 직경은 1.6${\pm}$0.7 cm였고 가장자리의 두께는 1.7${\pm}$1.8 mm였다. 열한 명에서 병변이 왼쪽 복부 혹은 배꼽 주위였다. 수술적 치료가 필요했던 환아들은 자연 정복된 환아들에 비해 평균 연령이 높았다(109${\pm}$17개월: 51${\pm}$20개월). 병변의 평균 직경 및 가장 자리의 두께는 수술적 치료가 필요했던 환아들에서 더 큰 소견을 보였고 위치는 두 그룹 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 론: 소장형 장중첩증은 많은 소아에서 자연 정복된다. 그러나 초음파에서 크기가 크고, 나이가 많을수록 또한 병변의 시작점이 있으면 수술적 치료를 고려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