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ay-Based Education

검색결과 596건 처리시간 0.028초

컴퓨팅 사고 신장을 위한 놀이중심 SW교육 교수학습 전략 (Play-based SW Education Teaching-Learning Strategy to Improve Computational Thinking)

  • 한선관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657-664
    • /
    • 2017
  • 본 연구는 소프트웨어 교육의 방법으로 놀이중심 SW교육 교수학습전략이 컴퓨팅 사고력 신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놀이중심 SW교육 교수학습전략은 주어진 컴퓨터 코드를 놀이 과정을 통하여 구체화하는 노력을 한 뒤 기능을 수정하고 새롭게 재구성하는 수업 전략이다. 우선 놀이중심 SW교육 교수학습전략을 적용한 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하여 초등학생들에게 투입하였다. 연구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컴퓨팅 사고 개념과 컴퓨팅 사고 실습의 역량검사를 분석한 결과, 제안된 교수학습전략이 직접교수법보다 효과적이었으며 컴퓨팅 사고에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온 것으로 확인되었다.

초등학생 대상의 활동 중심 순서도 교육 방법 (Pedagogical Methodology of Teaching Activity-based Flow Chart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이용배;박지은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489-502
    • /
    • 2012
  • 현재 컴퓨터교육에서 알고리즘 교육의 중요성은 강조되고 있지만 주어진 문제를 알고리즘으로 표현하고 표현된 알고리즘을 해석하는 방법에는 비교적 연구가 미약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알고리즘의 표현 도구 중 순서도에 대해 초등학교 저학년 대상으로 놀이 활동 기반 학습 방법을 개발하고 실제 수업에 적용하여 학습 가능성을 진단하여 보았다. 학습 놀이는 순차형 놀이, 선택형 놀이, 반복형 놀이와 퍼즐 맞추기 게임으로 4가지이며 퍼즐 맞추기 게임은 학습 놀이 내용을 순서도 카드를 활용하여 실제 순서도로 재구성하는 게임이다. 순서도 학습 후 성취도 평가에서는 학습 놀이 기반으로 수업을 진행한 집단이 ICT기반으로 학습한 집단보다 상대적으로 평균은 약 7.5% 높게 나타났으며 두 집단 모두 학습 후 평균이 10점 만점에 9점 이상을 보였다. 이는 순서도 교육이 초등학교 저학년도 학습 가능하며 특히 놀이 활동을 통한 교육이 효과적이라는 것을 보여준 것이다.

  • PDF

FGI 분석을 통한 유아교사의 놀이중심교육과정 실행 역량 탐색 (Exploring the Play-centered Curriculum Action Compete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Based on FGI Analysis)

  • 이원미;권연희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93-110
    • /
    • 2020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ability to implement play-centered curriculum that is recognized by an early childhood education expert based on an analysis of focus group interviews. Methods: Two professor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wo directors of daycare centers, and two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focus group interview. The interview was conducted three times. The interviewed data were categorized and compared. Results: The action competence of the play-centered curriculum required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categorized into the following categories; comprehending play, recognizing play, and practicing child-centered play. Detailed factor competencies were required for understanding play, reflective thinking, reading play, recording play, playing like a child, and supporting play. Conclusion/Implications: For actualizing play-centered curriculum,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needed to comprehend, recognize, and practice for child's play. Furthermore, we discussed the necessity and direction of teacher education to improve the teacher's action competence for play-centered curriculum.

FGI 분석을 통한 놀이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Activation Plan of Play & Education Based on Focus Group Interview)

  • 박혜진;김용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165-173
    • /
    • 2019
  • 최근 아동을 대상으로 교육과정에 놀이를 활용한 다양한 프로그램이 지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놀이가 교육현장에서 효과적으로 제공되기 위해 필요한 요소들과 현재의 운영 현황을 토대로 놀이교육이 활성화 될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놀이 전문가 및 학부모 대표 9명을 선정하여 FGI(Focus Group Interview)를 시행하였다. FGI의 질문은 (1) 놀이 및 부모교육 지원 조직 설립과 공동운영, (2) 기존 교육 프로그램 참여에 따른 개선사항, (3) 놀이교육 프로그램 활성화 방안, (4) 놀이교육 지원 인력에게 필요한 역량, (5) 놀이교육의 질 제고를 위한 프로그램 평가에 대한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FGI 조사를 통해 교육현장에서 아동의 긍정적인 성장발달 도모 및 체계적 프로그램 지원을 위한 놀이교육 운영 방안을 도출하였다. 교육현장에서 놀이가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아동과 부모를 대상으로 교육이 진행되는 센터 설립과 동시에 놀이를 중심으로 통합적 접근이 가능하도록 운영할 필요가 있다. 또한 아동의 창의적 사고를 촉진할 수 있도록 예술 영역의 프로그램을 개발 지원될 필요성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놀이교육에 대한 구체적 목표 달성 및 질적 제고를 위한 방향으로의 후속연구를 제안하였다.

교수체제개발에 기초한 놀이교육 프로그램 개발 (Play and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Based on the Instructional Systems Development)

  • 박혜진;김귀옥;김용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4호
    • /
    • pp.19-27
    • /
    • 2019
  • 본 연구는 교수체제개발에 기초하여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놀이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ADDIE모형을 활용하여 협동학습과 프로젝트 기반의 과제 수행이 가능한 놀이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내부 연구진, 교수설계 전문가, 내용 전문가의 검토 및 수정 과정을 거쳐 개발된 최종 놀이교육 프로그램은 디자인 및 계획 세우기, 놀이 공간 모형 만들기, 전시회 준비 및 작품 감상하기의 총 세 가지 모듈로 구성되어 있다. 학생들이 자신이 원하는 놀이공간을 또래 학생들과의 협업을 통해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것을 본 프로그램의 목적으로 세웠다. 개발된 놀이교육 프로그램은 충주시 소재 초등학교 5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검증하였다. 놀이교육 프로그램이 종료된 시점에 13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FGI를 시행하여 본 프로그램의 지속가능성 여부를 포함한 놀이교육 프로그램의 전반적인 가치를 측정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놀이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및 시사점을 도출하고 향후 놀이교육 및 프로젝트에 대한 발전 방안을 제시하였다.

보육기관에서의 놀이치료가 유아의 문제 행동, 자아지각, 사회적 상호작용 및 놀이치료 과정에서 유아의 반응 변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hildcare Center Based Play Therapy on Infant's Problem Behaviors, Self-Concept, Social Interaction and Infant's Response Changes during Play Therapy)

  • 양선영;한유진
    • 아동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95-117
    • /
    • 2014
  • The study was performed at a childcare center based play therapy to help ameliorate the problems of infants in the borderline, self-concept, social interaction, infant's response changes observed during play therapy.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twenty eight infants between the ages of 4 to 5 years who exhibited behavior problems. All subjects were located in the Seoul. The play therapists were sent to the child care center, and conducted 16 sessions of play therapy to infants exhibiting problem behaviors. In summary, the results indicated the following. First, childcare center based play therapy was effective in improving infants' behavior problems in the borderline areas outlined above. Second, childcare center based play therap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elf-concept of infants. Third, childcare center based play therap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ocial interaction among the infants. Finally,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sponses of infants during childcare center based play therapy.

통합과 분리학급 장애유아의 놀이 유형에 관한 연구 (Play Types of Preschool Children with Disabilities : Mainstreaming versus Segregated Classrooms)

  • 김유정;정정희
    • 아동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51-62
    • /
    • 2003
  • This study investigated differences in play types of preschool children with disabilities both in mainstreamed and segregated classrooms. The play behaviors of 50 preschool children with disabilities were observed and videotaped during free play time. Differences were found in children's dramatic and group play. Conclusions were that mainstreamed preschool program emphasizing a play-based curriculum could be an effective model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by providing for a variety of play types. Implications for mainstreaming education and for teacher education were discussed.

  • PDF

고등학교 가정교과 가족관계 영역을 중심으로한 역할놀이 수업모형의 개발 및 적용 (The Development of the Teaching-Learning Model Applying Role Play to High School Home Economics Education)

  • 이시경;유태명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01-114
    • /
    • 1997
  • The objectives of the unit ‘Family Relations’in high school Home Economics Education is to help the students cultivating proper values and self-esteem, maintaining harmonious personal relations not only by understanding human relationships in family, but also by acquiring role play, and is to wisely cope with many problems occurring in social life, which are indispensable for those living in modern society. But at present it is hard for the students to gain those abilities mentioned above, for the present unit ‘Family Relations’lays special emphasis only on memorizing specific knowledge about the understanding of a family. To improve the present educational situation, this study develops a new teaching-learning method based on the role play model concerning the ‘Family Relation’area of high school Home Economics Education curriculum. This study is theoretically based on the literature and previous studies on present problems of our various family relations, and solving its problems, and suggests lesson model of role play and its effect. This study was performed as following procedures: the ‘Family Relation’unit of the present high school Home Economics Education curriculum was analyzed, and surveyed students to discover the conflicts and their solutions the high school students are now experiencing in their family relations. Accordingly, a new lesson model of the ‘Family Relation’area, applying role play was developed. Based on the developed lesson plan, two-hour classes were experimented and positive evaluation was given by students.

  • PDF

미국의 최신 건강중심 체육교육수업의 소개 - Sports, Play, Active Recreation for Kids(SPARK) 체육프로그램 개발배경 및 사례보고 - (Introduction to a Health-related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Model in the United States : Sports, Play, and Active Recreation for Kids (SPARK))

  • 유수진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01-109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troduce the Sports, Play, and Active Recreation for Kids (SPARK)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SPARK is a model for health-related, research-based and evidence-based physical education programs in the United States. The outcome of school physical education can relate to public health, but there exists few evidence-based physical education programs reporting health-related variables. School physical education can provide more opportunities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to be physically active and to learn more about healthy lifestyles. However, physical education programs have been cut and eliminated due to lack of funding in the U.S. as in South Korea. Although facing these problems, SPARK programs have been implemented in over 50% of schools, after school programs and coordinated school health programs in the U.S. This article reviewed: (a) background information of the SPARK program, (b) examples of effective interventions, and (c) methods of dissemination to schools nationally in the U.S. The methods showed in SPARK may use as a model for researching, developing and implementing new physical education(PE) program and after school programs in Korea.

  • PDF

유아의 자유놀이를 지원하는 STEAM 기반 스마트 앱 활용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Education Programs using STEAM-based Smart Apps that support Children's Free play)

  • 문명화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120-130
    • /
    • 2021
  • 본 연구는 유아의 자유놀이를 지원하는 융합인재교육(STEAM)기반 스마트 앱 활용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관련 분야 문헌 및 자료수집, 현장조사를 통하여 유아의 자유놀이에 STEAM기반 스마트 앱을 활용하기 위한 내용을 도출하고, 이에 기반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스마트 폰에 개발된 'Free Play' 앱을 설치하고 자유놀이 시작, 중간, 종료 단계에서 유아의 놀이에 대해 교사와 유아가 상호작용하는 교수전략이다. 이러한 유아의 자유놀이를 지원하는 스마트 앱 활용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본 프로그램의 적용으로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자기조절력 하위요인이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유아교육의 핵심인 자유놀이 시간에 교사와 유아 모두를 지원하기 위한 교수전략이자 공학과 교육이 융합된 발상으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였으며 추후 교육현장에서 스마트 앱 활용 교육을 활성화하는 단초가 되길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