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ublic Librarian Servant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초

공무원사서의 집단자존감과 직무환경 지원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llective Self-esteem of Public Librarian Servant and Supporting Factors in their Work Environment)

  • 이자영;홍현진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295-314
    • /
    • 2021
  • 이 연구는 한국의 관계 지향적 집단주의 문화에서 '공무원사서'의 집단자존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모기관(상부기관) 인식, 직무환경에서의 상사-동료의 지원, 인구통계학적 요소 등을 요인으로 설정하고, 이를 토대로 각 요인들 간의 영향관계에 대한 가설을 설정하여 이를 연구모형으로 구성하였다. 자료 수집은 설문지 방법을 통해 전국 공공도서관에서 근무하는 공무원사서를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2020년 4월 3일부터 2020년 5월 14일까지, 모기관을 지방자치단체나 교육청, 문화체육관광부로 두고 있는 전국의 공공도서관의 공무원 사서를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559개 기관에서 301명의 공무원사서의 응답을 기초로 하였다. 분석 결과, 공무원사서의 모기관 인식은 집단자존감과 직무환경에서 상사와 동료의 지원을 인식하는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사와 동료의 지원은 집단자존감의 하위요인 중 공적집단자존감과 관계성 집단자존감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관계 지향적 집단주의 문화를 가진 한국사회에서 여러 집단과 관계를 맺는 존재로서 '사서'를 다루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연구의 결과, 공무원사서가 거대한 공무원 조직의 하부조직으로 존재했을 때, 자신의 사회적 가치를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한다는 것은 개선되어야 직업문화라는 점과 더불어 공무원사서가 공무원으로서의 역할과 사서로서의 역할의 균형을 찾아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영미 및 한국의 사서직제 분석과 시사점 (Analysis and Suggestions of the Librarians Public Servants in USA, UK and Korea)

  • 윤희윤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21-140
    • /
    • 2005
  • 이 연구는 영미 양국과 국내의 공직 및 사서직제를 분석하고 시사점을 적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영미의 사례는 직제의 선진성과 시사점을, 그리고 국내의 직제분석은 그 후진성과 현주소를 파악하는데 유용할 뿐만 아니라 후속 연구과제인 사서직제 개선방안의 핵심논거로 활용될 수 있다. 한국의 사서직제가 문화선진국의 그것을 준용하는 방향으로 개편되기 위해서는 도서관 및 사서직에 내재된 이론적, 현실적 취약성과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논리를 개발해야 한다. 그리고 직제개선은 유연한 사고와 주체적 행위가 정합되어야 그 가능성도 높아진다.

  • PDF

사서공무원 공개채용 시험과목의 직무전문성에 대한 인식 분석 연구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of the Open Competitive Exam Subjects for Civil Service Librarian)

  • 박소연;노영희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229-260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변경된 사서직 공무원 시험제도가 사서직 직무전문성을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개정이 되었는지에 대한 인식을 현직 사서공무원 대상의 설문을 통해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사서직 공무원 채용에 사서직 직무전문성을 갖춘 인재채용을 위한 시험과목과 채용제도의 개선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현직 사서공무원은 변경된 사서직 8 9급공무원 공채 시험과목이 사서직 직무전문성을 가진 사람을 채용하는데 있어 실용성이 없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응답자의 78.5%가 변경된 과목(행정학개론, 사회, 과학, 수학)보다는 사서직 전공과목을 위주로 필기시험과목을 조정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셋째, 전문성 향상을 위한 사서직 공무원 공개채용 시험과목으로 '도서관경영론', '정보조직론', '장서관리론' 과목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철도도서관에 관한 고찰 -특히 일제하의 도서관봉사활동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ailroad library under the Japanese rule)

  • 김포옥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9권
    • /
    • pp.63-83
    • /
    • 1982
  • Among many open libraries under the rule of the Japanese imperialism, only the railroad library as the character of special library under the control of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is remarkable for having opened its facilities to outsiders as well as the interior users. This study tries a) To look into what were the colonial background, aim and motive of the establishment of the railroad library under the Japanese rule, b) To analyze its activities and the change of its organization, c) And to find out its vestiges an the effects which it has on our country's library circles. The following are the result: A. The railroad library under the rule of the Japanese imperialism functioned as a public library by the outside book's circulation rather than the interior using. B. The outsiders were qualified to use it only when they got the joint guarantee for the city resident, which means that the o n.0, pportunity of the circulation was not free for the Koreans rather than the Japanese. C. From the aspect of collections, technical books such as natural science, and reference ones tended to be collected, and their whole composition was focused on the materials for the Japan-Korea identification scheme and development of the national spirit as the Japanese empire's subjects. D. In the respect of its organization, all the clerical employees, as well as the chief librarian were composed of the Japanese. Although the Koreans were in principle prohibited from working there, a few of them were employed as guard or servant as the China-Japan War was close to the end. E. The area of the outside book's, circulation service was expanded throughout the whole region along the railroad connecting Pusan with Manchuria. Such a service activity which contained several meanings, was tried by means of culture's books, circuit's books, train's books, hotel's books, mind's development books and reader's reading books etc. F. Such matters as the limitation on book circulating and the quantity of circulation book, the paid circulation and the partial restriction on free circulation mean the wartime system under the rule of the Japanese imperialism and also a n.0, ppeared as a factor of hampering the Koreans from getting accustomed to using library, which has affected them until now. G. The noticeable thing in the service activity is shown in attempting the diversified and positive way of service like free circulation in order to solidify the attitude of the Koreans toward war by organizing mind's development books as well as culture's books with the China-Japan War. H. On the other hand, it can not be passed over that the diversified service activity of the railroad library played a role of bridge in turning of today's library circles of ours to the moderniz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