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ublic Library Management

검색결과 560건 처리시간 0.022초

공공도서관 관리공간의 표준모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ublic Library Space Guidelinesan of Measurement and Management system)

  • 김금현;이초린;공순구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7권6호
    • /
    • pp.170-177
    • /
    • 2008
  • This study starts off by stating that the lack of awareness in the importance of reasonable and systematized layout in management facility is essentially working against building a quality public library. And that there is a merit in studying the spatial elements, its density, amount of needed space, and the likes to efficiently deal with present workings of the library which are becoming more dynamic and complicated. This paper seeks to embark on this study and also to provide a foundational data for research on management facility of the public library. The paper bases its research on 10 public libraries which are located in Seoul City and in Gyeonggi province, and are built after the year 2000. The paper focuses on the spatial distribution by section and allotment of management facility space in the library. Consequently, to find solutions or to suggest improvements on problems encountered, the paper introduces Japan's cases (4 recently-built public libraries) as a foreign case study. With foregoing domestic and foreign library case analyses, and the survey results of managerial staffs' demands, the paper seeks to provide basic data about management facility space and its floorplan of the public library. The paper bases its research on pubic libraries' management facilities, and expects to contribute to the efficient building of the public library in the future.

공공도서관 경영형태 변용성 연구 (A Study on the Transfiguration of Management Forms in Public Libraries)

  • 윤희윤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5-28
    • /
    • 2007
  • 이 연구는 도서관 경영패러다임 및 기법 변화의 후속연구이다. 1980년대부터 주요 선진국은 사회변동에 따른 경영 및 행정패러다임의 변화에 주목하여 신공공경영이론을 행정개혁과 경영혁신의 사상적 원천 및 전략적 수법으로 채택하였는데. 그 이유는 무엇이며 구체적인 실천수단이 도서관의 경영개혁과 관리운영에 어떻게 적용되어 경영형태를 변용시키는 지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특히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아웃소싱, 위탁경영 및 지정관리자제도, 민간자금 활용사업을 집중적으로 논급하고 제언하였다.

도서관 경영패러다임과 기법의 변화 (Change of Paradigm and Techniques in Library Management)

  • 윤희윤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5-23
    • /
    • 2007
  • 도서관은 지식기반의 경제시대에도 지식정보의 유통과 확장을 선도해야 한다. 그것은 최적의 도서관경영이 중요하고 전제조건이 되어야 한다는 것을 함축하므로, 수직적 및 수평적 스펙트럼을 통찰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새로운 경영 및 행정패러다임의 부상에 따른 신공공경영론의 등장과 선진국의 행정개혁에 주목하여 도서관 경영환경의 복잡화, 경영패러다임의 다양화, 경영기법의 다원화를 분석하고 최근 동향을 논급하였다.

  • PDF

공공도서관 위탁경영의 현상과 과제에 관한 고찰 (A Research on the 'Contracting Out' of Public Library Services in Korea)

  • 곽동철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383-404
    • /
    • 2007
  •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의 위탁경영과 관련된 현상과 과제를 조사 분석하여 핵심적 문화기반시설인 공공도서관의 경영을 활성화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공공도서관의 주요한 사항들을 고찰하고 있다. 첫째, 공공도서관 위탁경영의 논리적 근거가 되는 배경과 추이를 살펴보고, 둘째, 공공도서관 위탁경영의 현상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셋째, 이를 통해 향후 바람직한 공공도서관 위탁경영의 개선방안 등을 제시하고 있다.

  • PDF

공공도서관 자원봉사 운영 및 관리에 관한 연구: 광진구립도서관의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Volunteer Activity Management of Public Libraries: A Case of Kwangjin Public Library)

  • 조찬식
    • 정보관리연구
    • /
    • 제42권1호
    • /
    • pp.173-197
    • /
    • 2011
  • 공공도서관 자원봉사가 점점 확대되고 그 중요성이 커지는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자원봉사의 운영 및 관리의 중요성을 바탕으로, 광진구립도서관의 사례를 자원봉사 기획부문, 자원봉사자 관리부문, 자원봉사 행정부문으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이를 위하여 기존 연구를 이론적 바탕으로 광진구립도서관의 해당 사례들을 심층 조사하고, 공공도서관에서 자원봉사에 관한 의미를 찾아보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결과 공공도서관 자원봉사의 운영과 관리는 공공도서관의 업무수행과 운영에 밀접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공공도서관 지식경영모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Knowledge Management Model in Public Libraries)

  • 장우권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09-240
    • /
    • 2002
  • 도서관은 인류문화 유산을 집대성하여 계승하고 현재의 모든 지식정보자원을 기반으로 미래사회를 개척할 수 있는 전략과 전술, 과학기술뿐만 아니라,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의 모든 분야의 콘텐츠를 제공하는 곳이다. 더군다나 공공도서관은 공중의 지식정보와 이용 문화활동 및 평생교육을 증진함을 주된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의 패러다임이 어떻게 변화되고 있는가를 도서관기능과 환경의 변화 측면에서 다루었고 디지털 도서관의 등장과 그 의의를 제시하였다. 또한 새로운 공공도서관문화 및 조직구조 창출, 도서관 정보조직구조의 변화를 다루었다. 공공도서관의 현황분석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토대로 공공도서관에서 지식경영의 필요성과 그 구성요소를 도출하였으며, 지식경영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한 통합형 지식경영모형을 제안하였다.

  • PDF

공공도서관 자원봉사운영 실태 조사 및 활성화 방안 (A Study on the Volunteer Activity Management of Public Libraries)

  • 조찬식;조미아;오지은;오수진;김원진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201-226
    • /
    • 2009
  • 사회가 발전하면서 자원봉사는 보편화되어 가고 있으며, 공공도서관 자원봉사도 양적, 질적 증가를 보이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공공도서관 자원봉사의 운영과 관리 실태를 분석하고 공공도서관 자원봉사의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하여, 먼저 공공도서관 자원봉사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살펴본 후, 설문조사를 통하여 현재 우리나라 공공도서관 자원봉사의 운영과 관리 실태를 기획부문, 자원봉사자 관리부문, 행정부문으로 나누어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공공도서관 자원봉사의 활성화 방안과 전망을 제시함으로써 도서관 자원봉사의 운영 및 관리에 대한 이해 증진에 일조함에 그 목적이 있다.

공공도서관 서비스 포인트 확충을 위한 개방형 학교도서관 운영방안연구 -경기도지역을 중심으로- (Study on the Management Plans of the Open-Style School Library for the Expansion of Public Library Service-Points)

  • 김지봉;이재림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7권1호
    • /
    • pp.1-14
    • /
    • 2008
  • Gyeonggi Province is trying to increase the number of public libraries from 100 as of December, 2006 to 150 in 2010. However most of existing public libraries preferred mid-to-large scale libraries, so they were restricted to be located in around a zone of life. For this reason most local residents have been excluded from right to use libraries and have difficulties to get library services for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 society of the 21st century. The alternative to the small library is a school library. Both schools and public libraries are located in around a zone of life because residents can get an access to them easily. First, considering that small-scale public libraries of communities usually service about 10,000-20,000 people, I estimate that an open-style school library services 24class, 840people (24class*35people) of elementary school by 2003 Korean Library Standard (edited by Korean Library Association). Second, it requires systematic protection policies so that the open-style school of library can function as a local public library and a part of library cooperation system in accordance with local plans. All the open-style school libraries don't intend to open and we had better consider the suitable service areas. Third, it's desired for the management efficiency that the open-style school libraries being established afterward are divided into a branch-scale, a hall-scale and so on, not being uniform management model. And it also needs that one of them in the area enlarges the scale, and then supports other school libraries. According to these results of the research, as cooperation between the public library policy of a local government and school library policy, it needs a systematic support.

  • PDF

공공도서관 공간규모계획기준에 관한 기초적 연구 - 공공도서관건립 컨설팅지원사업 결과를 중심으로 - (A Basic Study on the Planning Standard of Space Size for Public Library - Focus on the result of the consulting support project for construction of public library -)

  • 고흥권;임채진;임호균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1권4호
    • /
    • pp.190-199
    • /
    • 2012
  • In this era of information, the public library takes a important role in the local community. In several years, public libraries have been proliferated in our society. However, there have not been specific planning standards of space size for construction of public library. The situation has lead the local governments to the need of consulting for the construction and management of library in search of appropriate guideline. The research paper focuses on the result of consulting support project for construction and management of public library. It examines total 11 libraries which were consulted from 2009 to 2011. It examines the configurational differences between the first scheme from the local government and the final scheme after the consulting, and the percentages of gross areas of each parts of library, reference and reading area, office area, education and cultural area, and public common use area. The analysis concludes that reference and reading area increased by 6.4% from 34.1% to 40.5%, and public common use area reduced by 6.1% from 30.2% to 24.1%, which represents a certain tendency of the configuration ratio of the each parts. Thus, the paper could be a starting point of establishing planning standard of space size for public library.

  • PDF

공공도서관의 특성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pecialization of the Public Libraries)

  • 조찬식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59-178
    • /
    • 2008
  • 사회적 기구로서 공공도서관이 변화하는 사회에서 제 기능을 다하고 주어진 목적을 이루기 위해서는 전통적이거나 관습적인 운영보다는 좀 더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경영이 실현되어야 한다. 이런 맥락에서 공공도서관의 특성화 전략이란 공공도서관이 제공하는 자료와 서비스의 차별화와 집중화를 통한 운영 및 관리를 의미하며, 공공도서관의 효율적 경영을 위해 필수적으로 반영되어야 하는 것이다. 이에 본 논문은 공공도서관의 특성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먼저 우리나라 공공도서관의 발전과 현황을 살펴본 후 공공도서관의 특성화에 관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우리나라 공공도서관의 서비스를 특성화란 관점에서 자료중심과 서비스중심으로 나누어 조사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나타난 문제점과 개선방안 을 살펴봄으로써, 공공도서관의 특성화, 나아가 도서관의 특성화 일반에 대한 이해의 증진에 일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