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DA

검색결과 11,818건 처리시간 0.044초

QTL Mapping of qBK1WD to Improve Bakanae Disease Resistance in Rice

  • Lee, Sais-Beul;Hur, Yeon-Jae;Kim, Tae-Heon;Kang, Ju-Won;Cho, Jun-Hyun;Lee, Ji-Yoon;Kwon, Yeongho;Jo, Sumin;Lee, Jong-Hee;Park, No-Bong;Song, You-Cheon;Ko, Jong-Min;Park, Dong-Soo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7-27
    • /
    • 2019
  • PDF

RDA 도입에 대한 사서의 인식 연구 - 대학도서관 사서와의 면담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University Librarians on RDA Adoption: Focusing on Interviews with University Librarians)

  • 이성숙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239-265
    • /
    • 2022
  •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 RDA 도입 현황과 RDA 도입에 대한 대학도서관 사서의 인식을 고찰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국내 도서관 중 RDA를 도입한 2개 도서관의 도입 현황을 분석하였다. 또한, 대학도서관 사서 8명을 대상으로 면담을 시행하였고, RDA 도입 관련 서술형 답변을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면담 조사 결과, 연구참여자들은 RDA에 대해, RDA의 개념은 매우 어렵고 추상적이며, RDA를 적용한 구현 사례가 적고, 단위도서관의 인력과 예산 여건상 RDA 도입은 매우 어려울 것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연구참여자들이 인식하고 있는 RDA 도입 방안은 RDA에 관한 인식을 개선하고, RDA에 관한 교육을 진행하고, RDA 도입을 위한 하이브리드 서지레코드 구축을 위한 지침을 마련하고, RDA 시범 기관 운영이 바람직하고, 성과 모델을 수립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연구참여자들은 구현을 위해 업체와 조율이 필요하고, 일괄 소급 변환보다는 특정 시점 변경이 바람직하고, 성공 사례를 발굴하고, RDA 관련 온라인 채널을 마련하고, 국가전거 DB를 구축하여 활용하고, 국가적 예산 및 시스템 지원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 연구에서는 연구 결과를 토대로 국내 대학도서관 RDA 도입 방안을 제시하였다.

RDA에 대한 대학도서관 사서의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University Librarians on Resource Description and Access)

  • 이성숙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455-477
    • /
    • 2022
  •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도서관 사서의 RDA에 대한 인지 여부와 감정, 친숙도, 이해, 도입, 장애요인, 교육에 관한 인식 수준을 고찰하고, 인식 개선을 위한 기초적인 데이터를 확보하는 것이다. 연구에 필요한 데이터는 4년제 대학도서관 정리 사서 76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를 통해 확보하였다. 설문 조사 결과, 첫째 67.1%의 사서가 RDA를 들어본 적이 있었고, 인지 수단은 학교 수업이 51.0%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사서들은 RDA에 대해 부정적인 감정보다는 긍정적인 감정이었고, RDA 관련 원리나 개념에 대해 친숙하지 않다고 인식하였다. 특히 RDA 자체와 FRAD에 대해 더 친숙하지 않다고 인식하였다. 사서는 RDA 관련 원리나 개념에 대해 보통 수준으로 이해한다고 인식하였고, 특히 전거와 인코딩을 더 이해하지 못한다고 인식하였다. 셋째 사서들은 RDA 도입에 대해 보통보다 약간 높은 수준으로 인식하였지만, 문항 중 'RDA가 AACR2를 대체한다'는 것은 보통 수준으로 인식하였다. 사서는 RDA 도입의 저해요인을 보통보다 높은 수준으로 인식하였고, 특히 RDA 관련 교육 부족을 높게 인식하였다. 넷째 사서들은 RDA 관련 교육의 필요성을 높은 수준으로 인식하였고, 특히 RDA Toolkit의 사용, RDA 레코드 변경, RDA와 AACR2의 차이, RDA와 MARC 21 관련 교육의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연구 결과를 토대로 RDA에 대한 사서의 인식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미국 대학도서관의 RDA 적용에 관한 비교 연구 (A Study on the Comparison of Applying RDA in US Academic Libraries)

  • 이미화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77-97
    • /
    • 2014
  • LC나 OCLC에서 RDA 서지레코드를 반입함에 따라 RDA 규칙 적용에 관한 실질적인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특히, RDA에는 여러 대안과 선택사항이 포함되어 있어 규칙을 적용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RDA 적용을 위한 실질적인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LC RDA 지침을 분석하고, 사례로 시카고대학교, 노스캐롤라이나주립대학교, 스탠포드대학교의 3개 도서관에서 RDA 적용 방안을 조사하였다. 분석결과 모든 도서관은 기본적으로 LC RDA 지침을 바탕으로 RDA 레코드를 작성하였으나 각 기관별로 특정 지침을 만들어 적용하였다. 즉 책임사항 기술시 모든 창작자를 기술하는 것뿐만 아니라 첫 번째 창작자만을 기술하도록 예외조항을 두었다. 발행사항에서 도서관에 따라 일부는 260 필드를 일부는 264 필드를 사용하였다. 자원유형 기술에서 33X 필드를 거의 모든 도서관이 입력하였으며, 일부 도서관은 RDA로 구축되지 않은 레코드에 대해 GMD와 33X 필드를 모두 기술하였다. 사례조사를 바탕으로 국내 도서관에서 RDA 적용시 고려할 사항으로 첫째, RDA 규칙 및 LC RDA 지침을 준용하되, 기관별 특수성을 고려하여 변형 적용해야 한다. 둘째, 반입한 레코드 중 RDA 서지레코드가 아닌 경우 최소한의 RDA 요소를 입력하는 하이브리드레코드를 구축해야 한다. 셋째, 33X 필드에 다양한 자원유형 용어가 기술되는 만큼 효과적인 이용자 화면 출력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국내 대학도서관의 RDA 적용현황 및 사서들의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Status of RDA and Librarians' Perceptions in University Libraries in Korea)

  • 조성원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6권3호
    • /
    • pp.363-389
    • /
    • 2022
  • 본 연구는 국내 대학도서관 사서들의 RDA에 관한 인식, 대학도서관에서 RDA 적용현황 및 계획을 조사하고 향후 국내 대학도서관에 RDA 목록규칙 정착을 위해서 고려할 사항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문헌분석을 통해 RDA에 관한 사서들의 인식 및 대학도서관 RDA 현황을 조사하기 위한 설문항목을 작성하였고 국내 대학도서관 목록규칙 적용현황 및 교육현황을 조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대학도서관 서양서 목록 담당 사서들을 대상으로 RDA에 관한 사서들의 인식 및 대학도서관 RDA 현황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에 근거해서 AACR2에서 RDA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사서들을 대상으로 한 RDA 교육의 확대 및 교육과정 개발, 도서관 기관 차원에서 RDA 형식 구비, 적용지침 마련 등의 노력 및 지원이 필요하고 국립중앙도서관 등 국가기관 차원에서 RDA 적용지침 제정의 필요성 등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