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검색결과 342건 처리시간 0.022초

탄저균의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PCR 분석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PCR Analysis for Identification of Bacillus anthracis)

  • 김성주;박경현;김형태;조기승;김기천;최영길;박승환;이남택;채영규
    • 미생물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56-60
    • /
    • 2001
  • 탄저균의 분자적 다양성 분석은 다양한 DNA표지의 부족으로 쉬운 일이 아니어서, 본 연구에서는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RAPD)-PCR을 이용하여 Bacillus 속으로부터 탄저균을 구별할 수 있는 새로운 DNA 표지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RAPD-PCR을 이용한 분석은 다양한 Bacillus 종으로부터 탄저균을 동정할 수 있었으며, 아울러 Bacillus 종 사이에서 확실한 유전적인 변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은 간단, 신속하고, 그리고 정확하게 탄저균을 진단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고 본다.

  • PDF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RAPD)를 이용한 고추 더뎅이병균 균주의 유전적 분류 (Genetic Differentiation of Strains of Xanthomonas campestris pv. vesicatoria by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RAPD))

  • 정희정;김가영;고영진;노일섭;황병국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5-12
    • /
    • 1997
  • Genetic diversity of forty-four strains of Xanthomonas campestris pv. vesicatoria from diverse geographic origins was investigated using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RAPD) of genomic DNA. One hundred and thirty-seven amplified fragments were produced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with a set of 14 random primers, and the sizes of amplified DNA fragments ranged approximately from 0.3 to 3.2 kb. Cluster analysis of genetic similarity among the strains generated the dendrogram that clearly separated all strains from each other. The 44 strains of X. campestris pv. vesicatoria were classified into 4 major genomic DNA RAPD groups and 15 subgroups at the genetic similarity of 0.60 and 0.92, respectively. The strains from foreign countries formed discrete subgroups, but the United States strain 87-77 clustered closely with some of Korean strains together. Thirty-nine Korean strains were classified into 11 subgroups, and especially Masan strain Ms93-1 clustered distinctly far from the other Korean strains. RAPD polymorphism suggests strongly the occurrence of genetic differentiation of X. campestris pv. vesicatoria and the existence of genetically distinctive subgroups among the populations in Korea.

  • PDF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분석을 이용한 한속단과 천속단의 감별 (Discrimination of Phlomidis Radix and Dipsaci Radix using the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Analysis)

  • 이미영;육진아;김홍준;김영화;채병찬;고병섭
    •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 /
    • 제13권1호통권19호
    • /
    • pp.147-152
    • /
    • 2007
  • As a result to amplifying 12 samples of 'Sok-dan' through an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RAPD) method using eighteen DEC and URP primers, distinct band forms enabling discrimination of Phlomus umbrosa and Dipsacus asperoides were observable in the UBC 320 primer, UBC 367 primer, UBC 385 primer, UBC 414 primer, UBC 423 primer, URP 3 primer, URP 5 primer and URP 9 primer. The polymorph result amplified with a random primer was evaluated through Gelcompar II, showing a result dividable into two groups. The divided groups were the dried sample group of Dipsacus asperoides and the group of Phlomis umbrosa. In order to recognize the distinction between Dipsaci Radix types, the genetic variation of 'Sok-dan' produced domestically and imported was evaluated through RAPD, and the potential to distinguish these in forms of dried medicine was identified, presenting a method to authentification of Phlomis umbrosa and Dispacus asperoides.

  • PDF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RAPD)를 이용한 딸기 시들음병균(Fusarium oxysporum f. sp. fragariae)의 분류 (Differentiation of Fusarium oxysporum f. sp. fragariae Isolates by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RAPD) Analysis.)

  • 현재욱;박원목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41-46
    • /
    • 1996
  • 본 실험은 이병 딸기의 조직에서 분리 동정된 시들음병균(Fusarium oxysporum f. sp. fragariae) 균주들의 유?거 변이를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RAPD) marker들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총 24개의 딸기 시들음병 균주들의 DNA를 주형으로 하여 16개의 random 10-mer primer들을 사용하여 증폭시킨 결과 총 231개의 marker들을 이용하여 유전적 변이를 조사해 본 결과 크게 RAPD I과 RAPD II의 2개 그룹으로 나눌 수 있었다. RAPD I그룹에 속하는 균주는 VCG A에 속하는 Y1, K1, K2, K3, K4, N2, N3, N4-1, N6-1, N6-2, N8, N9, N10, M1-2-1 균주, VCG B에 속하는 M4-1 균주 그리고 VCG C에 속하는 N1, Y2 균주들이었고, RAPD II그룹에는 VCG B에 속하는 M1-1, M2-2-1, M2-4-2, M3-2, M3-3-2 균주와 VCG D에 속하는 N1 1 균주가 속하였다. 이들 2그룹 간에는 31%의 유사성이 있었다.

  • PDF

RAPD를 이용한 고추(Capsicum annuum) 유전자원의 분류 (Classification of Capsicum annuum Germplasm Using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 남승현;최근원;유일웅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6권4호
    • /
    • pp.503-507
    • /
    • 1998
  • 본 연구는 RAPD표지를 이용하여 국내외에서 수집된 고추 유전자원들간의 유전적관계를 평가하고자 수행되었다. Random primer를 이용한 고추의 PCR반응은 $MgCl_2$ 3mM, Taq. DNA polymerase 1.5U, 주형 DNA 10ng, dNTPs $200{\mu}M$, random primer 200nM 그리고 $42^{\circ}C$의 annealing 온도조건으로 최적화하였다. 80개의 random primer로부터 높은 밴드선명도와 재현성을 보이는 16개가 선발되었으며 70%의 GC함량을 갖는 primer들이 GC함량이 60%인 것보다 DNA증폭에 있어 효과적이었다. 31개의 고추품종및 계통들에 대해 71개의 polymorphic밴드와 22개의 monomorphic밴드를 포함하는 총 93개의 DNA밴드가 선발된 16개의 random primer들로부터 형성되었다. Primer당 약 4.4개의 polymorphic밴드가 형성되었다. 이들 71개의 polymorphic밴드를 이용하여 유사도지수가 구해졌으며 이를 근거로 31고추 계통 또는 품종들을 뚜렷이 구분하는 dendrogram이 작성되었다.

  • PDF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RAPD) Variation in Porhyra yezoensis and P. tenera

  • Beom-Kyu Kim;Gyu-Hwa Chung;Yuji Fujita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321-326
    • /
    • 1997
  • The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RAPD) technique was used to anlayze six isolates of two species of Porphyra, P. yezoensis and P. tenera. Four 21-mer prrmers were combined randomly into six groups of double primers and screened for DNA amplification using nuclear and chloroplast tempate DNA. The RAPD patterns resulting from RnRc and CnCc primers provided evidence for both genetically homo-and heterogeneous populations of P. yezoensis and P. tenera. Similarity values obtained by RnRc primer analysis of nuclear DNA varied from 0.364 to 0.714 and those of chloroplast DNA were high, ranging from 0.727 to 1.000, except for P. yezoensis (Enoura).

  • PDF

Listeria spp.의 RAPD typing을 위한 Primer의 분리력 비교 (Primers for typing Listeria spp. using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RAPD) ANalysis)

  • 임형근;홍종해;박경진;최원상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67-72
    • /
    • 2003
  • RAPD 분석은 한 개의 primer를 이용하여 임의의 DNA 조각을 증폭하는 것이다. 이때 만들어지는 여러 형태의 DNA pattern을 이용하여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를 분류할 수 있다. 리스테리아균들을 효과적으로 RAPD typing 할 수 있는 primer들을 엄선하기 위하여 리스테리아 표준균주 13종을 대상으로 총 31가지 primer들의 RAPD 분리력을 비교하여 보았다. 결과는 재현성이 높았으며 이중 6가지 primer(primer 6, HLWL74, UBC155, UBC127, Lis5, Lis11)가 discrimination index, band의 숫자, band scoring의 난이도 등을 고려해 볼 때 나머지 primer 들에 비해 우수한 분리력을 보였다. 이들 primer들은 장차 리스테리아의 RAPD typing에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현재는 이들을 이용하여 돈육공장의 오염원 규명을 위한 연구를 수행 중이다.

Isozyme Polymorphism 및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RAPD) Pattern에 의한 표고 버섯 품종간 비교 (Differentiation of Lentinus edodes Isolates in Korea by Isozyme Polymorphisms and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RAPD) Analysis)

  • 박원목;고한규;박노조;홍기성;김규현
    • 한국균학회지
    • /
    • 제25권3호통권82호
    • /
    • pp.176-190
    • /
    • 1997
  • Isozyme PAGE에 의한 isozyme polymorphism 및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RAPD) pattern의 비교를 통하여 한국에서 수집된 63개의 표고 버섯(Lentinus edodes)품종의 유연관계를 조사하여 보았다. NTSYS PC program을 통하여 비교에 사용되어진 3가지 isozyme 즉 esterase, peroxidase, acid phophatase 등은 각각 10, 7, 3개의 isozyme polymorphism type으로 나뉘어질 수 있었고, 이러한 3개의 isozyme type들은 group-average method를 이용하여 최종적으로 6개의 집단으로 구분되어질 수 있었다. 또한 RAPD를 통한 표고 품종간 유연관계 비교는 사용되어진 총 20개의 random primer 들중 3개의 primer(OPA 03, OPA 18, OPA 19)가 품종간 polymorphism을 보였고 사용되어진 전체 random primer의 PCR product들의 집단 분석을 통해 최종적으로 5개의 집단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사용되어진 두 가지 방법 즉, isozyme polymorphism및 RAPD pattern에 의해 구분되어진 63개 표고 버섯 품종의 subgroup level에서의 절대적인 유사성은 관찰할 수 없었다. Yii-Mattila(1996) 등에 의하면 품종간 비교시 isozyme analyses에서와는 달리 RAPD analyses에서는 많은 수의 strain-specific band들이 얻어질 수 있고 이것이 두 방법간의 유사성을 관찰하지 못하게 하는 원인이라고 보고하였다.

  • PDF

Application of RAPD Methods in Meat for Beef Breed Identification

  • Choy, Y.H.;Oh, S.J.;Kang, J.O.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4권12호
    • /
    • pp.1655-1658
    • /
    • 2001
  • Bovine genome samples were collected from meat of three different beef breeds (Hanwoo, Holstein and imported beef breed) that are commercially merchandized in Korean beef market. Operon B (OPB)-kits were used as random primers (3, 7, 10, 11, 12, 14) in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RAPD) method on whole genome. Each primer provided characteristic bands that were highly polymorphic. Each single primer could provide relatively efficient polymorphic band patterns among breeds. However, use of two or more primers in combination is recommended to improve resolution of experiments with higher molecular weight bands of DNA. In our experiments, OPB-11 resolved well between beef cattle breeds and Holstein. And OPB-7, 12 and 14 could be combined with OPB-11 to identify Hanwoo beef from the other two kinds of beef.

RAPD marker를 이용한 참돔 집단의 유전적 특성 분석

  • 장요순;노충환;홍경표;명정구;김종만
    • 한국양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양식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요약집
    • /
    • pp.34-34
    • /
    • 2003
  • 한국산 선발계통 및 일본산 양식계통과 이들 두 계통간 잡종 참돔 집단의 유전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RAPD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marker를 탐색하였다. 10개의 염기로 이루어진 200개의 random primer 분석을 통하여 polymorphic pattern을 나타내는 23개의 random primer를 선발하였으며, 각 primer의 재현성을 확인하였다. 이들 중 OPA-11 primer는 크기가 각각 600 bp, 650 bp 및 750 bp 인 3개의 DNA 단편에 의하여 4개의 genotype을 나타냈으며, 각 genotype의 빈도는 집단간차이를 보였고, 한국산 선발계통 집단에서는 4개의 genotype이 모두 발견되는 반면, 일본산 양식계통 및 일본산 양식계통을 포함한 교배집단에서는 특정 genotype만 발견되었다. OPA-11 primer 유래의 polymorphic DNA 단편을 cloning하고 염기서열을 결정하였으며, SCAR (Sequence Characterized Amplified Region) primer를 제작하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참돔집단의 유전적 특성 파악 및 집단 구별에 RAPD marker를 활용하였으며, 참돔 육종시 형질 및 기능관련 DNA marker 탐색에 적용하기 위하여, 이후의 연구에서는 SCAR과 RFLP 분석에 RAPD marker를 이용하여 100% 정확도를 갖는 RFLP maker를 찾고, MAS (Marker-Assisted Selection)에 적용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