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ading with Library Program

검색결과 115건 처리시간 0.022초

어린이 독서캠프의 효과적 운영 방안에 대한 연구 -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의 "도서관과 함께 책읽기" 사업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ffective Operation of Reading Camp for Children: in the Case of 'the Reading with Library Program' in the National Library for Children and Young Adult)

  • 조미아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41-62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에서 소외된 어린이를 위한 '도서관과 함께 책읽기' 사업과 연계한 프로그램으로 운영되었던 독서캠프 사례를 통하여 문제점 및 개선점을 조사하고 효과적인 독서캠프 프로그램으로 운영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국 6권역에서 개최된 독서캠프의 운영 사례를 조사하였다. 또한, 독서캠프에 참가한 어린이와 사서에게 독서캠프에 대한 의견을 설문지로 조사하여 독서캠프 운영상의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독서캠프 프로그램의 운영 방안을 제시하고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공공도서관 어린이 독서프로그램의 효과 측정 영역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f Identifying Areas to Measure the Effectiveness of Public Library Reading Programs for Children)

  • 임여주;정연경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89-107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도서관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어린이 대상 독서프로그램의 효과를 정성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독서프로그램의 성과 측정 영역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3 도서관과 함께 책읽기' 사업에 참여하는 도서관의 독서프로그램 어린이들, 프로그램 담당자들과 면담 및 관찰을 하였고 독서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도서관과 함께 책읽기' 프로그램에 참가한 어린이들은 대체로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으며 독서프로그램의 효과 측정 영역이 책 읽기와 책에 대한 태도, 도서관과 사서에 대한 인식, 독서프로그램의 참여도, 소리 내어 읽는 능력, 이야기를 듣고 이해하는 능력, 공격성, 자신의 감정표현 능력, 발표력, 집중력, 잠재력으로 나타났다. 또한 독서프로그램의 효과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 사서의 적극적인 노력, 지역아동센터의 환경, 학년 구성, 강사의 수업 구성 방식, 독서프로그램에서 사용하는 책의 선정, 독서프로그램 참가 어린이의 독서능력 및 독서에 대한 관심, 자유시간의 제공 여부를 들 수 있었다.

공공도서관 특화서비스 프로그램 개발을 통한 독서활성화 방안 (The Revitalization of Public Library Reading Through Special Quality Service Program Development)

  • 박미영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315-339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의 독서 활성화를 위해서 기존의 독서 교육이나 독서 프로그램과 차별화된 자관만의 특화서비스 프로그램 개발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기존 공공도서관의 기능에서 확대된 특화서비스 프로그램의 필요성. 프로그램 개발과 구축에 관하여 살펴본 후, 현재 국내 공공도서관의 독서 관련 활동, 한 도서관 한 책읽기 행사 현황과 미국 공공도서관의 독서활동 프로그램을 분석하였다. 또한, 독서 관련 특화서비스 프로그램의 개발 및 구축 사례 분석 결과를 통해 향후 공공도서관의 독서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 PDF

소외된 어린이를 위한 독서프로그램 효과 연구 - '도서관과 함께 책읽기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ffect of Reading Program for Alienation Children: focused on The Reading with Library Program)

  • 조미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99-220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에서 운영하는 '도서관과 함께 책읽기' 프로그램에 참여한 어린이들의 독서교육의 효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09 도서관과 함께 책읽기' 프로그램에 참여한 46개 기관의 초등학생 590명을 대상으로 자아존중감, 사회성, 독서능력을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또한 설문지 조사를 병행하였다. '도서관과 함께 책읽기' 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참여기관 46개관 중 42개관(91.3%)에서 자아존중감, 사회성, 독서능력 점수가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분석한 결과 '도서관과 함께 책읽기' 프로그램의 효과가 나타난 도서관은 11개관(23.9%)으로 나타났다.

독서프로그램이 소외계층 아동에게 미치는 효과와 의미 - 도서관과 함께 책읽기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The Effect and Meaning of Reading Program for Alienated Children : Focused on 'The Reading Program with Library')

  • 이연옥;노영주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73-98
    • /
    • 2012
  • 이 연구에서는 독서프로그램이 소외계층 아동에게 마치는 효과와 의미를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이 운영하는 '2011년 도서관과 함께 책읽기 사업'에 참여한 소외계층 아동 1,643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특히, 독서프로그램의 효과와 의미를 다각적으로 고찰하고자 독서프로그램에 대한 관찰,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설문조사, 사업 수행과 관련된 사서, 강사, 기관 담당자와의 면담과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독서프로그램 참여 후 소외계층 아동의 독서에 대한 관심과 태도가 긍정적으로 변화하였으며 아동의 정서적인 면에서도 긍정적인 변화가 일어났다. 또한, 도서관에 대한 아동의 경험과 관심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독서프로그램에 대한 아동의 평가는 긍정적이었으며 프로그램에 대한 기대와 요구가 매우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공공도서관 독서마라톤 프로그램이 독서량과 도서관 이용빈도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 of Readingmaraton Program of Public Library on Reading Volume & Library Use Frequency)

  • 이경란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97-116
    • /
    • 2013
  • 이 연구는 독서와 마라톤을 접목하여 개발 운영한 공공도서관의 독서진흥 프로그램이 독서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하여 문헌연구와 독서진흥 프로그램을 개발 운영하고, 참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면담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 1) 독서마라톤 프로그램의 만족도가 높은 사람들이 독서량이 증가되고 도서관 이용 빈도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 독서마라톤 참여 이후에 가족들과 책에 관한 대화가 더 많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독서마라톤 프로그램이 독서활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Factors for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Extensive Reading Program Using Online/Offline Blended English Library System in Schools

  • Kwon, Hyekyung;Chang, Kyungsuk;Kim, Yongwhan;Lee, Byeong-Cheon;Jeon, Young-Joo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13권4호
    • /
    • pp.63-69
    • /
    • 2017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actors that could bring about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extensive reading using online/offline blended English library system called 'Reading Gate' i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Although there are a great number of studies on effects of various extensive reading on linguistic, cognitive, and affective development, few studies have investigated how extensive reading programs can be implemented at large scale, e.g., whole school level. After analyzing students' reading levels in 200 schools using the same online extensive reading program called Reading Gate, results showed that while some schools were successful, others were not. Five primary and 13 middle schools were selected as successful schools. Data on implementation of the program of schools was gathered. Eighteen teachers and seven headteachers took part in the interview. After analyzing these data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extensive reading program, results revealed that the following five factors for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blended extensive reading programs: online level-up system, teacher intervention, integration with the curriculum, school-level support, and parents' awareness of literacy. This suggests that each factor might have contributed to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the extensive reading program at large scale. Implications and applications of this finding are discussed in this study.

로직모델 기반 평가 프레임워크를 이용한 공공도서관 어린이 독서 프로그램 성과 측정 연구 (A Study on the Outcomes Measurement of a Public Library's Reading Program for Children Using the Evaluation Framework Based-on the Logic Model)

  • 한상우;박성재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71-286
    • /
    • 2018
  •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에서 운영하는 프로그램의 성과를 로직모델을 기반으로 개발된 평가 프레임워크를 적용하여 측정하고자 하였다. 성과 측정을 위해 서울 소재 한 공공도서관에서 운영하는 여러 프로그램 중 어린이 독서 프로그램을 선정하였다. 성과 측정 과정은 어린이 독서 프로그램의 계획, 진행, 평가 등의 업무과정 일체를 분석하여 로직 모델을 구현하였으며 이에 의거하여 예상되는 성과를 측정하였다. 데이터는 KOLAS를 통해 회원정보, 서지정보, 대출정보 등을 수집하였고, 프로그램 운영 현황에 대한 데이터는 프로그램 진행 후 작성된 보고서에서 추출하였다. 측정 결과 어린이 독서 프로그램에 참여한 회원들의 대출빈도가 상승하였고, 프로그램의 주제에 따라 대출 장서의 주제가 변화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독서 프로그램이 갖는 효과와 의미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성과평가가 도서관에서 운영하는 타 프로그램 및 도서관 업무 등의 효과성을 측정하는데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교육 활동의 모듈화를 통한 중등 학교도서관 독서 프로그램의 구조와 유형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Structure and Type of the Reading Programs in the Secondary School Library by Modulized Educational Activities)

  • 소병문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5권4호
    • /
    • pp.293-313
    • /
    • 2021
  • 이 연구의 목적은 중등 학교도서관 독서 프로그램의 층위 구조를 밝히고, 교육 활동을 중심으로 유형화하는 것이다. 이에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의 청소년독서문화진흥 사업인 '1318 책벌레들의 도서관 점령기'에 수록된 최근 10년간 전국 375개교 독서 프로그램의 운영사례를 분석하였다. 대다수 중등 학교도서관의 독서 프로그램은 '브랜드 명칭-독서 활동-교육 활동'의 층위 구조로 이뤄졌으며, '독서 활동'의 내용에 따라 강의형, 관람형, 발표형, 전시형, 제작형, 토론형, 퀴즈형, 체험형 등으로 분석되었다. 이들 유형은 읽기, 쓰기, 듣기, 보기, 말하기, 만들기와 같은 '교육 활동'의 조합에 따라 결정되며, '교육 활동'은 모듈과 같이 자기완결성이 있어 전제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이렇게 모듈화된 '교육 활동'은 대상 도서 읽기 활동을 중심으로 독서 과정에 추가, 보완돼 독서 프로그램으로 실현된다.

권장도서목록을 활용한 자기 선택적 독서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독서 동기 유형에 끼친 영향 분석 (An Analysis on Impact of the Self-selected Reading Program Using Recommended Book Lists to High School Students' Reading Motivation)

  • 소병문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177-198
    • /
    • 2019
  • 본 연구는 학교도서관을 통하여 자기 선택적 독서 프로그램을 설계 운영한 후, 학생들의 독서 동기 유형을 파악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자기 선택적 독서 프로그램은 도서 선정의 자율성 보장을 위해 다수 영역, 다수 도서의 권장도서목록으로 제공하였고, 읽기와 쓰기를 통합해 개발하였다. 프로그램 종료 후 이수 학생들을 대상으로 6개 영역의 독서 동기를 측정한 결과 자율 동기 영역이 타율 동기보다 월등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 선택적 독서 프로그램은 권장도서목록을 활용해 도서 선정의 자율성을 보장하고, 자율동기에 따른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독서 습관을 기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