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ccessful startups

검색결과 45건 처리시간 0.02초

Why Do Startups Fail? A Case Study Based Empirical Analysis in Bangalore

  • Kalyanasundaram, Ganesaraman
    • Asian Journal of Innovation and Policy
    • /
    • 제7권1호
    • /
    • pp.79-102
    • /
    • 2018
  • In an entrepreneurial ecosystem, the failure rate of startups is extremely high at 90%, and every startup that fails becomes an orphan. This phenomenon leads to higher costs of failure for the entrepreneurs in the ecosystem. Failed startups have many lessons to offer to the ecosystem and offer guidance to the potential entrepreneur, and this area is not fully explored compared to the literature on successful startups. We use a case based method distinguishing a failed startup and a successful startup, studying the entrepreneurial characteristics and firm level factors which cause the failures, in the technology startup ecosystem of Bangalore. We study one of the modes of exit adopted by failed startup entrepreneurs and draw key lessons on causes that culminate in failures. We have identified that factors such as the time to minimum viable product cycle, time for revenue realization, founders' complementary skillsets, age of founders with their domain expertise, personality type of founders, attitude towards financial independence and willingness to avail mentorship at critical stages, will decisively differentiate failed startups from the successful ones. Accordingly, implications have been derived for potential entrepreneurs for reducing the cost of failures in the entrepreneurial ecosystem.

Long-term Growth Patterns and Determinants of High-growth Startups - Focusing on Korean Gazelle Companies during 2006-2020

  • Ko, Chang-Ryong;Lee, Jong Yun;Seol, Sung-Soo
    • Asian Journal of Innovation and Policy
    • /
    • 제10권3호
    • /
    • pp.330-354
    • /
    • 2021
  • To know the long-term growth patterns and determinants of successful startups, 15-year (2006-2020) panel data of 252 companies that had a growth rate of over 20% every year in the last three years were used. In the first analysis, statistics on the period required to designate a gazelle company or listed on the stock market were examined. In addition, five long-term growth patterns were presented. In the panel analysis, the R&D intensity, operating profit ratio, size, and age of the company were pointed out as determinants of growth. The operating profit margin and R&D intensity have a positive effect on growth. Gibrat's law was not supported, but an inverted U-shape was observed. Jovanovic's law was confirmed. Although many studies tend not to point to profitability as a determinant of long-term growth, this is an important long-term growth factor of a company. The operating profit ratio was used in this study.

Peer Network Based Shopping Mall Supporting platform with Metaverse Technique

  • Kim, Sea Woo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4권3호
    • /
    • pp.222-229
    • /
    • 2022
  • Through this technology development, companies that operate online shopping malls and prospective startups will support education, consulting and expert group matching so that they can solve various issues that may arise in the course of the entire business life cycle, from startups to closures. It is expected that differentiated consulting programs will be designed for companies that currently operate shopping malls and start ups, and customized consulting programs will be provided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consulting while improving customer satisfaction. It is planning to develop a "successful start-up and operation helper" that helps successful start-ups. It is a system that primarily diagnoses problems of prospective entrepreneurs and operators through an automation system at the start-up and operation stage, and professional consultants participate to derive and solve problems, and takes care of all stages of shopping mall birth and growth. In this paper Metaverse based shopping mall Creation is also discussed. Through Big Data creation these accumulated data, we intend to help operators start and operate shopping malls through accurate information by managing all knowledge of shopping malls as a system in the long run.

스타트업의 초기 투자유치 프로세스: (주)레티널 사례를 바탕으로 (Investment Process of Start-up: A Case Study of LetinAR)

  • 김하영;배태준;원치운
    • 벤처창업연구
    • /
    • 제14권6호
    • /
    • pp.119-130
    • /
    • 2019
  • 타트업의 투자 의사결정에 대한 연구들은 활발하게 이루어져 왔다. 하지만, 주로 투자자의 관점에서 연구가 되었기 때문에 피투자 기업의 전략적인 활동은 간과되어왔다. 특히, 스타트업 투자는 일시적으로 한 순간의 결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닌, 투자 유치 진행과정을 통해 결정된다. 뿐만 아니라, 단계별로 의사결정의 핵심 요소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스타트업의 초기 투자 유치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투자자 만남에서 투자 유치 성공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에 걸쳐, 스타트업 기업의 전략적 행동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핀미러 기술을 활용한 증강현실 (Augumented Reality, AR) 스타트업인 (주)레티널의 사례를 통해 "어떻게" 초기 스타트업이 투자 유치에 성공할 수 있었는지, 피투자자인 스타트업 관점에서 연구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스타트업이 투자를 받기 전 존재 자체를 알리기 위한 정당성 확보하는 단계를 추가시켜 기존 투자 프로세스 모델을 확장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1) 정당성 확보, 2) 친화, 3) 검토, 4) 협상 단계 등 4단계로 투자 진행 프로세스를 나누었고, 각 단계별 주요 요인을 분석하고, 스타트업의 전략적 활동을 파악했다. 본 연구는 스타트업의 투자 유치와 관련된 복잡한 과정과 피투자자인 스타트업 기업의 성공적인 전략적 행동들을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스타트업 성장단계 구분에 대한 탐색적 연구 (A Study on the Startup Growth Stage in Korea)

  • 김선우;김강민
    • 벤처창업연구
    • /
    • 제15권2호
    • /
    • pp.127-135
    • /
    • 2020
  • 이 논문은 데이터 기반의 정량적 기준 즉, 성장단계, 투자시기, 투자유치금액 등에 의해 개별 스타트업을 성장단계별로 구분하고, 단계별 기업군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이는 정확한 통계를 기반으로 스타트업의 성장과정에 대한 정부의 체계적 지원의 근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분석대상은 TIPS(Tech Incubator Program for Startup) 지원 창업기업으로, 상대적으로 신뢰도가 높은 스타트업을 한정적으로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스타트업은 창업 후 1.5년 내에 최소기능제품(Minimum Viable Product) 완성을 위한 종자돈(Seed money)을 확보하고, 1년 내에 제품-시장 적합도(Product-Market Fit)를 검증하여 Series A 투자를 유치하였다(창업 후 2.5년 내에 Series A 투자 유치). 이후 상용화에 성공하면 1.5년 내에 안정적인 성장을 위한 Series B 투자를 유치하였다(창업 후 4년 내에 Series B 투자 유치). 2019년 부터 정부는 흩어진 창업사업화 지원을 통합하여 예비, 초기, 도약으로 구분하여 지원하고 있다. 예비단계는 예비창업자, 초기는 창업 후 3년 이내 기업, 도약은 3년~7년 이내 기업이다. 연구 결과, 단계별 창업사업화를 지원하는 정부 프로그램의 예비·초기·도약 단계의 구분 즉, 창업 3년 이내 구분은 현재까지 유의미하다고 할 수 있다. 향후 연구방향으로 3가지를 제시한다. 첫째, 스타트업 성장단계 판별 및 모니터링을 위한 지표를 개발한다. 둘째, 연차별 변화를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하여 개별 기업의 성장단계 변화를 추적한다. 셋째, 성공 스타트업에 대한 심층 사례분석을 모델에 적용해 봄으로써, 기술기반 스타트업의 성공적인 성장법칙을 발견한다.

대학생의 IT 기술창업의지 영향요인 분석 (An Analysis of Factors on College Students' IT Technology Startups will)

  • 전향순;심상오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9호
    • /
    • pp.1-7
    • /
    • 2014
  • 최근 창업 휴학제와 창업 강좌 등 창업 친화적인 학사제도가 확산대면서 대학생 기술 창업이 활성화되고 있다. 그러나 대학생의 기술창업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아직까지 해결되어야 할 많은 문제들이 존재한다. 본 논문에서는 높은 실업율과 평생취업이 힘든 사회적 환경 속에서 IT전공 대학생들이 기술 창업을 활성화하기 위한 창업영향요인들을 알아보고, 창업영향요인과 기술창업의지와의 관계를 분석한다. 특히, 본 논문에서는 IT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기술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대학생의 기술능력과 창업가특성 및 창업동기, 외부창업환경 등의 평가 항목을 추출하여 IT 기술창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분석결과, IT전공 대학생들은 취업의 대안으로 기술창업에 관심이 높았고, 기술능력과 창업가 특성 및 창업동기가 독립심과 취업의 대안에 영향을 미쳤다. 또한, 대학생 기술 창업에서 창업교육은 외부창업환경에 따라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즈니스 모델 혁신 프레임워크 기반의 액셀러레이터 투자결정요인 실증 분석 (Empirical Analysis of Accelerator Investment Determinants Based on Business Model Innovation Framework)

  • 정문수;김은희
    • 벤처창업연구
    • /
    • 제18권1호
    • /
    • pp.253-270
    • /
    • 2023
  • 스타트업에게 전문보육과 투자를 동시에 제공함으로써 스타트업의 생존율을 크게 개선하여 주목을 받고 있는 액셀러레이터의 투자결정요인에 대한 연구는 점점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선행 연구들은 초기 단계로 투자결정요인 개발 시 이론적 기반을 갖추지 못한 상황으로 유사 투자자인 엔젤투자자나 벤처캐피탈의 투자결정요인을 사용하고 있으며 실증연구를 통해 중요도와 우선순위를 분석하는 단계에 머물고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비즈니스 모델 혁신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개발된 액셀러레이터 투자결정요인을 사용하여 투자결정요인의 변별력과 유효성을 국내 최초로 실증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액셀러레이터의 스타트업 투자 성공과 실패의 판단 기준을 스케일업 이론을 기반으로 설정한 후 국내 14개 액셀러레이터의 22명의 투자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한 결과 액셀러레이터의 스타트업 투자 후 스케일업에 성공한 스타트업 52개사, 스케일업에 실패한 스타트업 45개사 등의 총 97개 스타트업의 유효한 자료를 확보하였으며 이 두 그룹 간의 액셀러레이터 투자결정요인별 평균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총 21개의 투자결정요인 중 9개(43%) 요인에서 평균 차이를 확인함으로써 비즈니스 모델 혁신 프레임워크 기반의 액셀러레이터의 투자결정요인이 실무적으로 액셀러레이터가 성공 가능한 스타트업을 발굴하고 투자의사결정을 하는데 상당한 변별력을 보유한 것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스타트업의 업종별 혁신의 특성을 고려하여 연구 대상 스타트업 표본을 제조업 분야 스타트업과 서비스업 분야 스타트업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제조업 분야 스타트업에서는 비즈니스 모델, 전략, 동적역량 요인에서 평균 차이가 발생한 반면 서비스업 분야 스타트업은 동적역량 요인에서만 평균 차이가 발생하였다. 본 연구는 비즈니스 모델 혁신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도출한 액셀러레이터 투자결정요인의 실무적 유효성을 실증연구를 통해 국내 최초로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학문적 시사점이 크며, 액셀러레이터에게 투자의사결정을 위한 이론적 근거와 세부 투자결정요인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효과적인 투자를 할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실무적 가치가 높다.

  • PDF

스타트업의 특성이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액셀러레이터 역할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Study on Effects of Startup Characteristics on Entrepreneurship Performance: Focusing on the Intermediary Effects of the Accelerator Role)

  • 김용태;허철무
    • 벤처창업연구
    • /
    • 제18권2호
    • /
    • pp.141-156
    • /
    • 2023
  • 정보통신기술(ICT)의 발달, 정부와 민간의 스타트업 발굴 및 투자 규모의 확대는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기반으로 우수한 성과를 창출하려는 스타트업들의 창업으로 연결되고 있다. 우수한 성과를 창출한 스타트업을 롤모델로 삼고 창업을 준비하는 예비 창업자들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성공을 경험으로 연쇄창업을 도전하는 창업자와 달리 초기 스타트업들은 팀원 채용, 기술 개발, 자금 유치 등 다양한 문제에 직면하게 된다. 액셀러레이터는 스타트업들이 직면하게 되는 다양한 문제 해결을 돕기 위해 교육, 멘토링, 컨설팅, 네트워크 연계, 초기 투자 등의 활동을 통해 스타트업이 성장할 수 있도록 멘토와 투자자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 본 연구는 스타트업의 특성과 창업성과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가를 조사하고, 액셀러레이터의 역할이 스타트업의 창업성과에 매개역할을 하는지 분석하였다. 총 11개의 가설을 세우고, 실증연구를 위해 수도권을 비롯한 국내 전 지역에 소재한 스타트업 창업가와 종사자들 302명에게 설문을 받았으며, 통계분석을 위해 SPSS 23.0과 Amos 23.0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스타트업의 특성 중 혁신성, 조직문화, 재무적 특성 그리고 학습 지향성 등과 같은 요인들이 창업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기보다 액셀러레이터의 역할을 통해 창업성과로 이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스타트업 특성이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을 통해 액셀러레이터의 역할에 대한 연구와 제도적인 보완점을 제시함으로써 스타트업이 시장을 선점하고, 시장에 안착하여 안정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투자와 차별화된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의 확대에 기여할 것으로 생각한다.

  • PDF

국내 유니콘 기업군의 실태분석과 특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urrent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Unicorn Group)

  • 김주희;정애린;김선우
    • 벤처창업연구
    • /
    • 제17권1호
    • /
    • pp.63-77
    • /
    • 2022
  • 한국 경제에서 창업·벤처기업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5년 이내 실패율이 70% 정도일 정도로 창업기업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생존해나가는 것은 어려운 상황이다. 창업·벤처기업이 신생의 불리함과 규모의 불리함과 같은 제약적 조건들을 극복하고 시장에서 경쟁 우위를 획득하기 위해서는 기존 시장의 문제점을 새로운 관점에서 해결할 수 있는 혁신성을 지니고 있어야 한다. 최근 한국 스타트업 생태계에서 눈에 띄는 현상 중 유니콘의 등장과 후발 유니콘 주자의 성장이라 할 수 있는데, 이들의 비즈니스 모델이나 사업 유형, 성장 사례는 창업·벤처기업과 스타트업 생태계의 성장에 좋은 교훈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국내 유니콘과 후발 유니콘 기업의 주자들이 새로운 산업과 혁신적 비즈니스를 만들어가는 과정에 대한 이해는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유니콘 및 중소벤처기업부의 K-유니콘 프로젝트에 참여 중인 156개 예비 및 아기 유니콘을 포함한 175개 기업을 '유니콘 기업군'이라 정의하고, 이들을 대상으로 기업 속성과 특성을 분석하였다. 나아가 이들이 새로운 시장을 형성해나가는 과정을 업종을 중심으로 상세히 살펴보았다. 특히, 새로운 시장 세그먼트를 개척한 유니콘의 경우, 이들이 비즈니스 모델 혁신을 통해 산업의 새로운 분야를 혁신해 나가는 과정도 함께 분석하였다. 또한, 유니콘 기업군으로 분석대상을 확대하여 유니콘 생태계를 조망하고 나아가 창업·벤처기업 생태계의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공유경제 비즈니스 모델의 가치 요인 분석 (The Sharing Economy Business Model per the Analysis of Value Attributes)

  • 이준민;황준석;김종립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153-174
    • /
    • 2016
  • On account of multiple causes, including prolonged global economic crisis, addressing environmental pollution and the advent of hyper-connected society, a new paradigm called 'sharing economy' has rapidly emerged. Many startups have attempted to build promising business model based on the sharing economy concept. Nevertheless, successful cases are still very rare in the global level, except for Uber and Airbnb cases.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necessary causes and sufficient causes for successful settlements in the market through a comparative case analysis on digital matching firms in the sharing economy businesses. For the case study, we compare five successful cases (Uber, Airbnb, Kickstarter, TaskRabbit and DogVacay), three failure cases (Homejoy, Ridejoy and Tuterspree) and a platform cooperativism case (Juno) in accordance with six value attributes of business model including value proposition, market segment, value chain, cost structure and profit potential, value network and competitive strategy. We apply Boolean method to support controlled comparison and eliminate unnecessary attributes. The Boolean analysis result shows that value proposition, cost structure and profit potential, value network and competitive strategy are the essential attributes. Furthermore, the result indicates that each attribute is a necessary condition, where all four conditions should be met simultaneously in order to be successful. With this result, we discuss essential consideration for those who are planning startup based on the sharing economy business mod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