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National Library for Children and Young Adult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5초

어린이 독서캠프의 효과적 운영 방안에 대한 연구 -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의 "도서관과 함께 책읽기" 사업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ffective Operation of Reading Camp for Children: in the Case of 'the Reading with Library Program' in the National Library for Children and Young Adult)

  • 조미아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41-62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에서 소외된 어린이를 위한 '도서관과 함께 책읽기' 사업과 연계한 프로그램으로 운영되었던 독서캠프 사례를 통하여 문제점 및 개선점을 조사하고 효과적인 독서캠프 프로그램으로 운영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국 6권역에서 개최된 독서캠프의 운영 사례를 조사하였다. 또한, 독서캠프에 참가한 어린이와 사서에게 독서캠프에 대한 의견을 설문지로 조사하여 독서캠프 운영상의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독서캠프 프로그램의 운영 방안을 제시하고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어린이청소년도서관 장서개발정책 모형 연구 -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a Model Collection Development Policy for Children and Young Adults Libraries - with a special reference to the National Library for Children and Young Adults, Korea -)

  • 장덕현;이연옥;윤희윤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179-203
    • /
    • 2014
  • 이 연구의 목적은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이 어린이 청소년 서비스를 책임지는 국가도서관으로 자리매김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구성요소이며 핵심역량 제고의 원천이 될 중장기 장서개발의 마스터플랜을 제시하는데 있다. 즉, 어린이 청소년을 위한 지식정보서비스의 허브 및 관련 학술연구정보를 제공하는 핵심기관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데 필수적인 장서개발정책을 수립 제안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주요 어린이 청소년 도서관의 장서개발정책을 조사, 분석하여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 장서개발의 기본원칙과 개발지침을 설정하고 이를 근거로 국내외 어린이자료, 청소년자료, 연구자료, 전자자료 및 멀티미디어자료, 그리고 특수범주자료 등을 대상으로 하는 최적 정책모형을 제안하며, 장서개발 실무에 적용할 수 있도록 각종 세부지침을 제시하였다.

청소년 담당 사서의 역량에 대한 국립중앙도서관 사서의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ibrarian's Recognition of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about YALSA's Competencies for Librarians Serving Youth)

  • 노동조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199-218
    • /
    • 2010
  • 본 연구는 2010년 1월에 미국의 청소년도서관서비스협회에서 공표한 '청소년 담당 사서의 역량'에 대한 국립중앙도서관 사서들의 인식을 조사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국립중앙도서관의 사서 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청소년 담당 사서의 역량'에 명시된 7개 분야와 48개 역량에 대하여 각각의 필요성과 효과성, 난이성 정도를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청소년 담당 사서에게 요구되는 핵심 분야는 자료정보, 행정, 사서직과 전문성이며, 난이도가 높은 분야는 소통 및 마케팅, 소외계층지원 서비스이다. 청소년 담당 사서에게 요구되는 핵심 역량은 A4(도서관이 제공하는 서비스와 도서관 자료이용방법, 청소년의 성장 및 발달 실현에 도서관이 어떠한 기여를 하는지 알게 함으로써 청소년이 평생 도서관 이용자가 되도록 장려), A1(청소년의 요구를 파악하고 서비스 향상을 위한 리더십 기술 함양 및 발휘, 성인 및 어린이 담당 사서와 같은 수준의 재정 지원과 직원 확보)이며, 난이도가 높은 역량은 C4(도서관, 학교, 청소년 담당 기관 및 지역사회 전반의 청소년 서비스 증진을 위한 전략적 마케팅 계획 구상, 실행 및 평가)이다.

국내 '한 책, 한 도시' 독서운동의 선정책에 관한 연구 (A Research on the Books Selected in 'One Book, One City' Community Reading Promotion Campaign in Korea)

  • 윤정옥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165-188
    • /
    • 2022
  • 이 연구의 목적은 지난 2003년부터 2021년까지 국내에서 진행된 '한 책, 한 도시' 지역사회 독서운동의 현황을 정리하고, 특별히 책의 선정과 관련된 경향을 기록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해 국내 1,170개 공공도서관 및 지자체의 홈페이지, 주요한 독서 및 문화관련 기관, 단체의 홈페이지, 지자체와 도서관의 보도자료 및 신문기사 등을 내용분석 및 문헌조사를 시행하였다. 또한, 국립중앙도서관 및 국립어린이청소년 도서관의 온라인목록을 검색하여, 2021년 기준 지자체 시행 57개 '한 책' 프로그램 및 그동안 '한 책' 프로그램들에서 선정된 책 729종 1,119권의 특성을 확인하였다. 지자체 시행 57개 '한 책' 프로그램과 이들이 2003년부터 2021년 사이 선정한 책들의 분석은 점점 더 많은 '한 책' 프로그램에서 연령별 책의 분산 선정, 책들 간 주제적 연관성 결여, 청소년수준 책, 신간 및 대중적 화제작 문학책의 선호 등 경향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책의 선정 경향은 한 권의 책을 중심으로 한 집중성 결여를 초래하지만, 동시에 다양한 연령층의 지역주민에 대한 가시성 증대 및 관심계층의 확산이라는 긍정적 효과도 기대되었다. 향후 개별 '한 책' 프로그램의 책 선정의 과정, 목표와의 부합성 등에 대한 보다 심층적 분석과 설명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