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erotoxin Genes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9초

Year-round Monitoring of Verotoxin-producing Escherichia coli from Feces of Dairy Cattle

  • Kobayashi, Y.;El-Sawy, H.B.I.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0권5호
    • /
    • pp.789-794
    • /
    • 2007
  • A PCR-aided monitoring of verotoxin-producing Escherichia coli (VTEC) was performed over the period of 12 months by using fresh feces collected monthly from 5 dairy cows that had been identified as VTEC carriers. The PCR products were confirmed to be verotoxin genes by Southern hybridization using a gene fragment of verotoxin 2 as a probe. Although seasonal variation of VTEC shedding seemed to depend on each cow, several factors may have influenced the frequency of detection. Shedding of VTEC tended to be reduced during grazing from the middle of May up to the beginning of October. Only one cow was positive for VTEC in August. Dry-off was also suggested to have a depressive effect on VTEC shedding, i.e. 3 of 4 dry cows showed no shedding of VTEC. Contrary to these factors, winter or indoor rearing tended to increase VTEC with only 5/24 samples being negative during the period from November to April. Total VFA concentration was higher (p<0.05) in VTEC-positive feces than in VTEC-negative feces, while fecal pH and VFA proportions were not different. Partial sequences of verotoxin genes from feces of 4 VTEC-positive cows were nearly identical (99-100%), suggesting that gut bacteria sharing the same gene were distributed among the cows. The present results indicate that grazing and dry-off could be factors which reduce VTEC shedding, while winter/indoor rearing may be a factor which increases the shedding, possibly through on-farm interactions.

Charaterization of an Escherichia coli O157:H7 Strain Producing Verotoxin 2Isolated from a Patient in Korea

  • Park, Wan;Sohn, Chang-Kyu;Wan Huh;Kim, Byung-Chun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38권2호
    • /
    • pp.93-98
    • /
    • 2000
  • Nine hundred patients diagnosed with diarrhea or hemorrhagic uremic syndrome in the Kyungpook Province, Korea, were examined from November 1998 to February 2000. One patient in Kumi appeared to possess the Escherichia coli O157:H7 strain, which is very important in clinical decision making and public health action. The isolated strain, an E. coli O157:H7 KM, contained a 60 MDa plasmid and typical virulence genes including the verotoxin 2 gene, ehxA gene (encoding enterohemorrhagic hemolysin), and eae (encoding attaching and effacing protein-intimin) gene. This strain produced only verotoxin 2. Pulsed field gel electrophoretic analysis showed that the genomic organization of the E. coli O157:H7 KM strain may differ greatly from those of representative strains previously reported in the United States and Japan.

  • PDF

말에서 분리한 Escherichia coli의 특성 및 항생제 감수성 (Characteristics and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of Escherichia coli isolated from horse)

  • 윤성욱;권도연;최성균;이희수;조길재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231-237
    • /
    • 201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characteristics and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of Escherichia (E.) coli isolates isolated from vaginal mucosa and clitorial fossa of 105 Thoroughbred mares suspicious of the genital disease in Korea during the period from March 2006 to July 2007. Ninety six E. coli isolates were identified as standard biochemical properties and using BIOLOG system. Fifty three isolates (55.2%) could be classified into a total of 21 O serotypes and forty three isolates (44.8%) were non-typeable with 51 O antisera used in this study. The verotoxin 1 (VT 1) and verotoxin 2 genes were analyzed by multiplex PCR. Among them, one isolate was detected VT 1 gene (130 bp). Most of isolates showed a high susceptibility in ciprofloxacin (100%), enrofloxacin (100%), norfloxacin (100%), cefoxitin (96.9%), gentamicin (96.9%), sulphamethoxazole (96.9%), nitrofurantoin (94.8%), amikacin (93.8%), nalidixic acid (92.7%) and tetracycline (90.6%). These results may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 to establish strategies for the treatment and prevention of reproductive disease in Thoroughbred mares in Korea.

서울시내 유통식품에서 분리한 대장균의 항생제 내성 및 내성유전자 (Antimicrobial Resistance and Implicated Genes of E. coli Isolated from Commercial and Cooked Foods in Seoul)

  • 유영아;김무상;김경식;박선희;정성국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20-225
    • /
    • 2010
  • 서울시내에서 유통되는 식품과 식품접객업소(집단급식소 포함)의 조리식품을 대상으로 식중독 원인균 분석 및 위생미생물 검사를 실시한 결과, 분리된 대장균의 항생제 감수성 시험을 통하여 이들의 내성 정도를 파악하고, 내성유전자와 병원성유전자의 분포도 알아보았다. 모두 1313건의 샘플 중 50건에서 대장균이 검출되어 3.8%의 검출률을 보였다. 이중 육회 1건에서 장출혈성대장균 O26 1건, 김밥에서 장병원성대장균 1건이 각각 검출되었다. 50건의 대장균중 50%가 16종의 항생제에 모두 감수성을 보였으며 내성이 높게 나타난 항생제는 ampicillin(36%), amoxicillin/clavulanic acid(32%) 그리고 tetracycline(22%)의 순이었다. 이들의 내성유전자 분포는 TEM이 1건, tetB 4건이 각각 검출되었다.

설사 증상의 돼지 분변에서 분리된 용혈성 대장균의 항생제 내성과 독소의 인체로부터 분리된 균주로의 전이 (Transfer of Genes for Antimicrobial Resistance and Toxin of Hemolytic Escherichia coli Isolated from Feces of Pig Suffering Diarrhea to Human Isolates)

  • 이계남;정병열;이연희
    • 미생물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286-294
    • /
    • 2004
  • 1997년과 1998년 사이에 설사 증상을 보이는 돼지의 분변으로부터 총56균주의 Escherichia coli를 분리하여 이중 용혈성을 나타내는 38균주의 항생제 내성과 독소 생산능을 확인하였다. 항생제 한천 희석법으로 최소억제농도(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를 측정한 결과 36균주$(94.7\%)$가 tetracycline에 대해 내성을 나타내었고, 27주$(71.0\%)$는 ampicillin에 내성, 26균주$(68.4\%)$는 chloramphenicol에 내성, 그리고 21균주$(55.2\%)$는 tri-methoprim에 내성을 나타내었으나, aztreonam, amikacin, norfloxacin에 내성을 나타낸 균주는 발견되지 않았다. 이중 4가지 이상의 항생제에 대해 내성을 가지는 다제내성(multiple drug resistance, MDR)을 보인 균주는 총 38 균주 중 21균주$(55.3\%)$였다. 또한 이중 디스크 시험법(Double Disk Synergy Test)을 수행한 결과 extended spectrum $\beta-lactamase$를 생산하는 균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중 가장 많은 수의 균주가 내열성 독소$(ST,89.5\%)$를 생산하였고, 다음으로 베로 독소(VT와 VTe, 각각$47.4\%$)와 이열성 독소$(LT,31.6\%)$를 생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에서 8균주$(21.0\%)$는 57만을 생산하였던 반면에 12균주$(31.6\%)$는 LT와 ST를 동시에 생산하였고, 13균주$(34.2\%)$는 ST, VT, VTe를 동시에 생산하였으며, 5균주$(13.2\%)$는 VT와 VTe를 동시에 생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네 가지 독소를 동시에 생산하는 균주는 없었다. 또한 이 균주들은 매우 다양한 혈청형(serotype)을 가지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사람에 직접적인 유해성을 가지고 있는 지 확인하기 위해 사람 방광 유래의 T-24세포와 장내 표피 유래의 Caco-2세포에 대한 부착능을 시험하였을 때, 16균주$(42.1\%)$가 T-24방광 세포에, 그리고 17균주$(44.7\%)$가 Caco-2장세포에 대해 강한 부착능을 나타내었다. 특히 11균주$(28.9\%)$는 두 세포 모두에 강한 부착능을 가지고 있었다. Filter mating method를 수행하여 이들 균주들의 독소 생산 유전자와 항생제 내성 유전자가 사람에서 분리된 균주로 전달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실험의 결과는 설사 중상을 나타내는 돼지로부터 분리된 용혈성 E. coli의 독성과 세포 부착능력, 그리고 항생제 내성간의 상호 연관성을 보여주지 않았으나 동물 분리 세균의 항생제 내성과 독소 생산 능력이 유전자 전달을 통해서 뿐만 아니라 세균의 직접 접촉에 의해서도 인체로 전달될 수 있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