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olumes of solids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5초

조선(朝鮮) 산학(算學)과 체적(體積) (Volumes of Solids in Joseon Mathematics)

  • 홍성사;홍영희;김창일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01-110
    • /
    • 2014
  • Joseon is mainly an agricultural country and its main source of national revenue is the farmland tax. Since the beginning of the Joseon dynasty, the assessment and taxation of agricultural land became one of the most important subjects in the national administration. Consequently, the measurement of fields, or the area of various plane figures and curved surfaces is a very much important topic for mathematical officials. Consequently Joseon mathematicians were concerned about the volumes of solids more for those of granaries than those of earthworks. The area and volume together with surveying have been main geometrical subjects in Joseon mathematics as well. In this paper we discuss the history of volumes of solids in Joseon mathematics and the influences of Chinese mathematics on the subject.

제지공정 폐수 전처리 수질예측을 위한 실험적 모델과 통계적 모델 개발 (Development of Empirical and Statistical Models for Prediction of Water Quality of Pretreated Wastewater in Pulp and Paper Industry)

  • 손진식;한지희;이상호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289-296
    • /
    • 2017
  • Pulp and paper industry produces large volumes of wastewater and residual sludge waste, resulting in many issues in relation to wastewater treatment and sludge disposal. Contaminants in pulp and paper wastewater include effluent solids, sediments, chemical oxygen demand (COD), and biological oxygen demand (BOD), which should be treated by wastewater treatment processes such as coagulation and biological treatment. However, few works have been attempted to predict the treatment efficiency of pulp and paper wastewater. Accordingly, this study presented empirical models based on experimental data in laboratory-scale coagulation tests and compared them with statistical models such as artificial neural network (ANN). Results showed that the water quality parameters such as turbidity, suspended solids, COD, and UVA can be predicted using either linear or expoential regression models. Nevertheless, the accuracies for turbidity and UVA predictions were relatively lower than those for SS and COD. On the other hand, ANN showed higher accuracies than the emprical models for all water parameters. However, it seems that two kinds of models should be used together to provide more accurate information on the treatment efficiency of pulp and paper wastewater.

활성슬러지 하수처리장의 주요 Process Control Variable인 Sludge Age와 Sludge Recycle의 상호관계 규명 (A Theoretical Relationship between Sludge Age and Sludge Recycle based on Mass Balances of Total Suspended Solids Contents in Conventional Activated Sludge Processes)

  • 고광백;정연규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8권1호
    • /
    • pp.69-75
    • /
    • 1988
  • 활성 슬러지 하수처리장의 주요 Process Control Variables인 Sludge age와 Sludge recycle올 고려하여 폐슬러지의 유량 ($Q_w$)을 효과적으로 결정하기 위한 두가지의 식이 개발되었다. 아울러 반송 슬러지의 일부를 폐슬러지로 배출할 경우에는 우선 순환비 (R)를, 포기조내의 활성슬러지의 일부를 폐슬러지로 배출할 경우에는 2차침전지의 슬러지 침전효율($S_f$)을 정확히 측정하여 개발된 식을 이용하면 폐슬러지의 유량을 용이하게 산정할 수 있다는 사실이 Sensitivity analysis의 결과로 밝혀졌다.

  • PDF

Performance Analysis of a Hydrodynamic Separator for Treating Particulate Pollutants in Highway Rainfall Runoff

  • Yu, Jianghua;Yi, Qitao;Kim, Young-Chul
    •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14권4호
    • /
    • pp.262-269
    • /
    • 2009
  • This study examined the separation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 the rainfall runoff from paved roads using a ${\varphi}7.5$ cm hydrocyclone. The volume fraction and total suspended solids concentrations in the overflow and underflow from the hydrocyclone, as well as the separation efficiency were determin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overflow volume increased with increasing operational pressure, but decreased with decreasing ratio of underflow outlet to inlet sizes ($D_u/D_i$), while the underflow to overflow volumes showed contrary behavior. The total suspended solid (TSS) concentration ratio between the overflow and inflow ($TSS_{over/in}$) decreased as a function of the operational pressure, while the corresponding ratio of underflow to inflow ($TSS_{under/in}$) increased. There was no visible difference in the $TSS_{over/in}$ with increasing $D_u/D_i$ ratio, but the $TSS_{under/in}$ decreased sharply. The particle removal efficiency was mainly affected by the particle size.

소규모 도시유역 합류식 하수관거 월류수 특성화 및 최적 저류지 용량 결정 (Characterization of Combined Sewer Overflows from a Small Urban Watershed and Determination of Optimum Detention Volume)

  • 조덕준;김건하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314-320
    • /
    • 2006
  • Diffuse pollution from an urban area contributes to the significant pollution loading to a receiving water body. In this paper, rainfall runoffs from an urban basin with combined sewer systems located in the city of Daejeon were monitored to measure the rainfall runoff discharge rates and pollutant concentrations. Strong first flush effects were observed for all monitored rainfall runoffs. The first flush effects were closely related to rainfall intensity, while suspended solids were closely related to pollutant constituents. The observed averaged Event Mean Concentrations (EMCs) of Combined Sewer Overflows (CSOs) were 536.1 mg SS/L, 467.7 mg CODcr/L, 142.7 mg BOD/L, 16.5 mg TN/L, and 13.5 mg TP/L. Storage volumes for containing the first flush to improve water quality of the receiving stream can be estimated based on suspended solid concentration. In this study, retainment of the first flush equivalent to 5mm of precipitation could reduce diffuse pollution loading induced by CSOs to a receiving water body by up to 80% of suspended solid loading.

대청호 유입지천의 수질 특성 (Water Quality Properties of Tributaries of Daechung Lake, Korea)

  • 심무준;윤재용;이수형
    • 생태와환경
    • /
    • 제48권1호
    • /
    • pp.12-25
    • /
    • 2015
  • The tributaries of Daechung Lake play an important role in controlling eutrophication in the lake, which is used for agricultural purposes and as potable water. However, water quality properties were not extensively studied in the tributaries of Daechung Lak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spatial and temporal properties of water quality and to characterize streams which could threaten water quality of Daechung Lake. For this study, water samples were weekly or monthly collected from February 2014 to October 2014 in 9 streams. Water quality parameters analyzed in this study include biochemical oxygen demand (BOD), chemical oxygen demand (COD), total organic carbon (TOC), total nitrogen and phosphorus (TN and TP), suspended solids (SS), and chlorophyll a. Based on temporal distribution and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BOD, COD, TOC, SS, and TP were controlled by not only river discharge that increased during summer due to heavy rain fall, but also due to anthropogenic input (e.g., bridge construction and/or agricultural activity). Dilution is also one of the factors explaining TN and conductivity, both of which decreased with increased discharge. Generally, concentrations of contaminants (BOD, COD, TOC, TN and TP) in the tributaries were higher than those of Daechung Lake. However, pollution load indicated that only the main channel of Geum River and Sook Stream may largely influence lake waters, attributed mostly to their large volumes. This implies that the main channel and Sook Stream are the major influences on the water quality of Daechung Lake.

산채류를 이용한 음료 개발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Beverages Drinks Using Mountain Edible Herbs)

  • 함승시;이상영;오덕환;김상헌;홍정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92-97
    • /
    • 1997
  • 산채 일반음료는 산채를 착즙하여 쥬스를 제조한 후 각종 부원료를 사용하여 최적의 배합비로 산채음료를 제조하였으며, 산채 발효음료는 Lactobacillus helveticus를 이용한 산채음료 원액과 시럽 믹스를 1 : 3으로 혼합한 다음, 균질기를 이용하여 균질화한 후 요구르트 향료를 첨가하여 발효음료를 제조하였다. 이 시제품들에 대한 일반분석 실험과 저장안정성 실험을 행하였다. 산채 일반음료의 일반분석 결과 37$^{\circ}C$에서 6개월간 저장시 수리취와 고려엉겅퀴음료의 pH는 각각 3.80과 3.7, 산도는 각각 0.50 및 0.49, OD값은 각각 1.021 및 1.119 로 나타났다. 그리고 저장안정성 시험은 상온 및 37$^{\circ}C$로 구분하여 6개월간 저장하면서 pH와 색도의 경시적 변화를 측정한 결과 상온에서의 pH의 변화는 수리취가 3.96~3.95, 고려 엉 겅퀴는 3.99~3.89로 각각 0.01과 0.1정도의 미미한 변화를 보였으며, 37$^{\circ}C$에서는 각각 3.95 ~3.83과 3.98~3.87로 0.12정도의 변화폭을 보였다. 산채 발효음료의 일반분석에서는 수리 취와 엉겅퀴의 pH는 각각 3.65와 3.70, 산도는 0.57 및 0.60, S.N.F.는 3.2 및 3.1 그리고 유산균수는 각각 2.5$\times$$10^{8}$ 과 4.0$\times$$10^{8}$ 으로 나타났다. 저장 안정성 실험은 4$^{\circ}C$에서 15일간 저장 하면서 pH와 산도의 경시적인 변화를 측정하였다. 수리취와 엉겅퀴의 pH는 3.56~3.39 및 3.67~3.48로 각 각 0.17과 0.19의 차이를 보였다.

  • PDF

펄라이트 재배에서 급액량이 토마토의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rip Irrigation Volumes on Plant Growth and Yield of Tomato Grown in Perlite)

  • 김두한;라이한 샤원;안진희;이현진;이윤재;김민경;이용범;최기영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00-310
    • /
    • 2022
  • 본 실험은 펄라이트 수경재배에서 급액량이 토마토(Solanum lycopersicum L.)의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급액 처리는 대조구인 I0와 대조구보다 급액량이 각 25%, 50% 많은 I25와 I50로 세수준 처리하였다. 처리기간 중 대조구 I0 처리구는 배액이 없었다. 조사항목으로 토마토 생육특성, 수량 및 수분이용효율을 측정하였다 토마토의 초장, 엽장 및 엽폭이. I0 처리 가장 짧았고 I25와 I50 처리에서는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었다. 처리 후 111일, 132일 및 143일째에 측정한 토마토 과실의 당도, 산도 및 건물율은 관수량이 가장 적은 I0가 관수량이 많은 I25와 I50 보다 높았다. 그러나 처리 후 111일과 132일째 과실 내 수분함량은 I0 처리에서 가장 낮았다. 대과(>180g)의 수는 I25에서 유의하게 더 많았으나 총 수확과 수는 처리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과실의 평균 과중(g·plant-1)과 총 수확량(g·plant-1)은 I0 처리된 토마토에서 가장 낮았다. 수분 소비량은 처리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수분이용효율은 I0 처리에서 가장 낮았다. 주성분 분석 결과 과실의 당도와 산도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실험에서 토마토 생육, 과실 특성 및 수분이용효율을 토대로 얻은 결과는 I25가 토마토 펄라이트 수경재배에서 다른 처리 보다 적절한 급액량임을 보여준다.

한국쌀의 품질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Quality of Korean Rice)

  • 김재욱;이계호;김동연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5권1호
    • /
    • pp.65-75
    • /
    • 1972
  • 한국에서 장려품종으로 재배되는 쌀의품질을 알기 위하여 1971년도 수원에서 생산된 23품종(Japonica형 20종, Indica형 3종)의 벼를 시료로 하여 취반적성을 주로하여 쌀의 품질을 조사연구한결과는 다음과 같다. 1. Amylose의 함량은 21.2%에서 25.0%사이에 있으며 평균 23.0%이고 그중 indica형인 IR계통은 $24.0{\sim}25.0%$로 일반적으로 높은 값을 보였고 japonica형중에는 만경 팔금이 가장 높으며 등판 5호, 김마제가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고 기타 품종은 대체로 평균치에 가까운 값을 나타내고 있다. 2. Blue value는 $0.38{\sim}0.48$의 범위내에 있으며 평균 0.42이고 그중 IR계통은 0.46-0.48로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며 japonica형중에는 재건이 가장 높고 수성, 시로가네가 그 다음으로 높으며 신 2호, 농백, 팔굉, 수원 82호, 만경, 농림 25호, 농광이 비교적 낮은 값을 나타낸다. 3. Alkali number는 $6.0{\sim}7.4$의 범위에 있고 평균 6.9인데 그중 IR 667계통은 $7.0{\sim}7.1$로 별다른 값을 나타내지 않고 japonica형에서는 수성 및 밀성이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고 재건, 천추락이 가장 낮고, 농림 29호, 김마제가 그 다음으로 낮은 값을 나타낸다. 4. 호화온도를 호화개시온도와 호화종료온도의 중간온도를 기준으로 할 때 대체로 $59.5{\sim}64^{\circ}C$의 범위내에 있는데 그중 IR 667계통이 가장 높은 편이고 japonica형에서는 진흥, 등판 5호, 천추락, 농광, 수원 82호가 비교적 높고 김마제, 팔굉, 재건등이 가장 낮은 편이다. 5. 가열흡수율은 2.60-2.92의 범위에 있고 평균 2.79인데 그중 IR 667계통이 $2.9{\sim}2.92$로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며 japonica형에서는 김마제 수원 82호, 농림 29호, 등판 5호, 재건, 진흥이 비교적 높고 팔굉, 팔금 및 팔달등이 비교적 낮다. 6. 팽창용적은 29.8-33.7의 범위내에 있고 평균 31.8인데 그중 IR계통이 $33.0{\sim}33.7$로서 가장 높은 값에 속하고 japonica형에서는 등판 5호, 시로가네, 농림 25호가 비교적 높고 농광, 수성, 팔굉, 천추락등이 비교적 낮은 값을 나타내고 있다. 7. 취반잔존액의 요오드정색도는 $0.35{\sim}0.58$의 범위내에 있으며 평균 0.46이고 그중 IR 667계통은 비교적 높은 값을 보이며 japonica형중에서도 팔금, 밀성, 팔굉, 진흥둥이 비교적 높고 만경, 농백둥이 낮은 값을 나타낸다. 8. 취반액의 용출고형물량은 $0.605{\sim}0.810$의 범위에 있으며 평균 0.700이고 그중 IR667계통은 별다른 값을 나타내지 않으며 japonica형 중에서는 팔금, 팔굉, 진흥이 비교적 높고 재건, 농림 29호 농림 25호 농백이 비교적 낮다. 9. 취반액의 pH는 6.3-7.4의 범위내에 있고 평균 6.95이었다. 또한 IR 667계통이 6.3-6.6으로서 다른 japonica type보다 낮은 치를 보였다. japonica type 중에는 풍광과 시로가네가 가장 높고 신 2호가 가장 낮았다.

  • PDF

블루베리 양액재배시 공급량 및 공급횟수가 수체생육 및 과실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upplying Volume and Frequency of Nutrient Solution on Growth and Fruit Quality of Blueberry)

  • 천미건;이영숙;정용모;김희대;홍광표;헤라쓰 무디얀셀라지;김진국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447-453
    • /
    • 2019
  • 블루베리는 호산성 식물로 피트모스를 활용한 상토에서 잘 자라며 관목인 점을 고려하여 용기재배를 많이 하고 있고 또한 고령화에 대비해 생력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재배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시험에서는 블루베리 양액재배시 공급량 및 공급횟수가 수체생육과 과실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시험방법은 3년생 '듀크' 품종을 대상으로 피트모스와 펄라이트의 용량을 각각 130L, 40L(v/v)로 하여 용기($60{\times}80{\times}40cm$)에 식재하고 톱밥으로 멀칭한 후 2015년과 2016년에 양액 공급량을 4L와 8L로 나누어 4월 중순부터 7월 하순까지 1회, 2회, 3회 공급하여 수체생육 및 과실품질을 조사하였다. 양액은 $NO_3-N$ 4.6, $NH_4-N$ 3.4, $PO_4-P$ 3.3, K3, Ca 4.6, Mg $2.2mmol{\cdot}L^{-1}$를 주당 공급하였다. 채소에서 양액재배시 적정 배액율은 20~30%로 알려져 있는데 본 시험에서 평균 배액량은 4L 2회/7일 처리가 27%, 4L 3회/7일 처리가 29%로 다른 처리에 비해 적당하였다. 블루베리의 생육을 보면, 생육후반 8L/3회/7일 처리에서 신초장은 31cm, 신초경은 4.2mm로 가장 컸지만 질소를 많이 줄수록 도장하는 경향이었다. 배액의 무기성분 함량은 생육초반에 질소를 많이 흡수하는 경향이었고, 처리별 과실특성은 과립중, 가용성 고형물 함량 및 산함량 등은 처리간 유의차가 없었으며, 수량은 4L 3회/7일 처리가 주당 2.7kg으로 가장 많았고, 4L 1회/7일 처리가 1.4kg로 가장 작았다. 따라서 배액량, 수량, 수체 및 과실생육 등을 감안해볼 때 블루베리 양액재배시 조금씩 자주 공급한 처리 즉 4L 3회/7일 처리로 공급하는 것이 적당한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