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omen Entrepreneurial Performance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28초

Institutions and Women Entrepreneurship: The Mediating Role of Women Entrepreneurial Self Efficacy and Ethical Decision Making

  • SALEEM, Faiza;LODHI, Saeed;ASIF, Muhammad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9권6호
    • /
    • pp.33-44
    • /
    • 2022
  • Women entrepreneurs play a vital role in employment creation, economic development, and growth. Women entrepreneurship is deep-rooted in the social and cultural norms and values of society. Women's entrepreneurship contribution is still invisible and needs to be properly investigated. The current research study explores "how institutions affect women's entrepreneurial performance in Pakistan" by using institutional and social cognitive theories. Focusing on the Formal and informal institutions, this research examines how institutions are affecting women's entrepreneurial performance by taking the mediating role of women's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and ethical decision making. A 7-point Likert scale research questionnaire is used to collect primary data. Data on active entrepreneurs are collected from the Peshawar, Mardan, and Abbottabad divisions of KPK's Women Chambers of Commerce. The data is empirically tested through the path analysis techniqu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through SMART PLS 3. The results indicated that women's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and ethical decision-making strongly mediate both institutions and significantly affect women's entrepreneurial performance. The study suggests that government and concerned departments should pay due attention to determinants like informal institutions and social constraints to boost women's entrepreneurial performance.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ffecting the Performance of Women-Owned SMEs: Evidence from Vietnam

  • NGUYEN, Thi Loan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10권1호
    • /
    • pp.223-232
    • /
    • 2023
  • This study desires to examine the impact of five dimensions of entrepreneurial (EO) orientation (innovation, competitive aggressiveness, proactiveness, risk-taking, autonomy) on the operation of women-owned SMEs; the author conducted a case study in Vietnam. How will each dimension of EO affect women-owned SMEs' performance? This study aims to seek the answer to these questions. A survey research design and a theoretical framework have been developed for all factors in the current context. A simple random sampling technique was applied in 300 SMEs in some provinces of Vietnam through a survey questionnaire, and a total of 258 valid responses were assessed as appropriate. The obtained data was analyzed by using SPSS 20.0. Cronbach's α test and factor analysis have been carried out to test the reliability of data and validate the hypothesis. Research results show that innovation, competitive aggressiveness, proactiveness, and autonomy positively affect business performance, while risk-taking negatively affects business performance. The results suggest that female business owners should know how to improve each dimension of the entrepreneurial in line with its context. Research results are important implications for Government administrative agencies for businesses to consult and introduce effective support policies. It is recommended that similar studies be replicated to confirm this result.

여성창업가의 심리적, 환경적, 개인적 특성이 창업동기와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Study on the Women Entrepreneurs' Psychological, Environmental, Personal Factors Affecting on Entrepreneurial Motivation and Performance)

  • 오혜미;이창영;김진수
    • 벤처창업연구
    • /
    • 제9권2호
    • /
    • pp.45-60
    • /
    • 2014
  • 최근 여성들의 학력과 사회적인 지위가 높아지면서 여성창업가들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창업에 대한 연구들도 활발해지면서 여성창업에 대해서도 연구도 증가하고 있다. 여성창업에 대한 연구는 여성들의 기업가정신, 창업동기, 성과간의 관계에 대하여 논의되어 왔지만 체계적인 연구가 부족하다. 그러나 여성창업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여성창업가들에 대한 다양한 측면의 연구들이 필요하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는 여성창업가들의 심리적, 환경적, 개인적 특성들이 창업효능감과 창업동기,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연구를 통해 규명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여성창업가들을 대상으로 설문하여 실증 분석하였으며, 분석결과 여성창업의 심리적 요인들이 창업효능감의 탐색, 계획, 실행단계에 영향을 미치고 환경적 요인들과 개인적 요인들은 집행, 실행단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창업효능감의 탐색단계는 창업동기에 영향을 미치고 창업 동기는 창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우리나라의 여성창업기업의 증가와 성장을 위해서 이론적 시사점 및, 정책 지원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여성 기업가의 특성과 창업지원정책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the Women Entrepreneur's Characteristics and Entrepreneurial Supporting Policy on the Managerial Performances)

  • 마윤주;장성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12호
    • /
    • pp.3856-3862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 기업가의 특성과 창업지원정책이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여성 기업가의 특성과 여성창업지원정책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연구모형을 설정하였으며, 여성 기업가 130명을 대상으로 SPSS 15.0 통계패키지를 이용하여 실증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성취욕구, 위험감수성, 비전, 기회인지 능력, 창업지원정책이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여성 기업가가 성공할 수 있는 다양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Strategy Orientation, Innovation Capability, and Women Entrepreneurial Performance in Culinary Business in Indonesia

  • QODRIAH, Sari Laelatul;DARSONO, Darsono;RIANI, Asri Laksmi;ANANTANYU, Sapja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8권7호
    • /
    • pp.203-213
    • /
    • 2021
  •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innovation capabilit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ategic orientation and the performance of women small and medium entrepreneurs (SMEs). The strategic orientation in this study used three constructs, namely market orientation, learning orientation, and technology orientation. The method of data collection was the survey method and was collected from 149 SMEs in the typical culinary industry in Indonesia using probability samples. The data analysis method uses path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influence of strategic orientation on business performance has strengthened previous studies. However, in this study strategic orientation that directly affects business performance is market orientation and learning orientation, while technology orientation has no direct effect. The existence of innovation capability as a mediation variable strengthens the influence of strategic orientation on business perform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lso showed that the ability of innovation has a positive and significant effect on the performance of women entrepreneurs in Indonesia. The contribution of this research pays special attention to the strategic orientation of women entrepreneurs engaged in the culinary business in Indonesia.

창업지향성과 학습지향성이 중소창업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Effect of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nd Learning Orientation Toward to SME's Performance)

  • 조세근;손종서;이우진
    • 벤처창업연구
    • /
    • 제10권6호
    • /
    • pp.1-13
    • /
    • 2015
  • 중소창업기업이 급변하는 시장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다양한 성과요인들이 있으며, 많은 연구결과에서 창업자의 창업지향성 확립이 중요하다고 논의되고 있다. 따라서 중소창업기업이 지속적인 경쟁우위를 확보하고 새로운 기회를 포착하기 위한 요인에 대한 분석과 기업성과 간의 관계 분석은 많은 중소창업기업에게 방향을 제시하며, 가치 있는 일이라 할 수 있겠다. 본 연구에서는 창업지향성(Entrepreneurial Orientation)의 주요 변수에 대한 탐색적 연구를 통해 기업성과(Firm Performance)에 대한 영향 요인을 고찰하고 실증적 연구를 통하여 확인 하였다. 본 연구는 중소창업기업 CEO의 창업지향성, 학습지향성(Learning Orientation)과 기업성과 간의 관련성을 탐색하기 위한 연구로 진행되었으며 다음과 같은 부분을 검증하였다. 첫째, 창업지향성(진취성, 경쟁적 공격성, 위험감수성, 혁신성)이 학습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둘째, 창업지향성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마지막으로 학습지향성이 창업지향성과 기업성과 간에 매개되는 영향요인을 실증적 연구를 통해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학습지향성이 창업자의 창업지향성과 기업성과 간의 관계에 있어서 매개효과를 밝혔다는 점에서 이론적 기여하며, 창업지향성의 개념 정의에 있어서 국내에서 연구된 기존 선행연구와는 다른 새로운 차원으로 정의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 결과, 각각의 중소창업기업은 다양한 창업지향성을 바탕으로 기업성과에 상이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를 통하여 창업지향성에 대한 독립적인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중소창업기업들에게 있어 창업지향성은 기업성과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점과 중소창업기업의 창업 경영자는 경쟁적 공격성보다는 혁신적이며, 위험 감수적인 의사결정이 기업 활동에 보다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 또한, 위험감수성은 정성적 기업성과에 긍정적이며, 혁신성은 정량적 경영성과와 정성적 기업성과 모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론은 중소창업기업 창업 경영자들이 창업지향성을 수립 시, 필요한 실무적인 기초 자료로 활용 가능하리라 기대한다.

  • PDF

Definition of Success According to Women Entrepreneur in Malang, Indonesia

  • PRAJAWATI, Maretha Ika;WAHJOEDI, Wahjoedi;WAHYONO, Hari;SUNARYANTO, Sunaryanto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7권9호
    • /
    • pp.747-753
    • /
    • 2020
  • This study aims to interpret the meaning of a successful entrepreneur from the perspective of women entrepreneurs in Malang, Indonesia. This research offers a phenomenological approach using purposive sampling. Data was collected by in-depth interviews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 with registered women entrepreneurs in Malang obtained from MSMEs (micro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entrepreneurs. The 'continually developing' is one of the meanings of a successful entrepreneur. This study also found that success is when what women do can be useful to others. Besides, the meaning of success has two criteria, i.e., when they can meet their needs (individual satisfaction) and social performance as a goal to be achieved by entrepreneurs. The motivation of women entrepreneurs to establish their venture was not only financial returns, but also personal satisfaction, which was also the indicator of entrepreneurial success for women. This study has several limitations. First, our sample size is too small and consists of entrepreneurs that have an average age above 40 years. Hopefully, further research will be able to generalize our findings to a broader sample in various industries outside the city of Malang. As our research shows, the criteria and meaning of success may be different for a larger sample of entrepreneurs.

창업자의 기업가정신이 비재무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Entrepreneurship on Non-financial Performance: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 조명기;오윤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2호
    • /
    • pp.151-156
    • /
    • 2021
  • 본 연구는 본 연구는 창업자의 기업가정신이 비재무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관계와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에서는 변수들간의 영향관계를 규명하고자 설문조사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였고,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연구가설에 대한 실증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가정신은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업가정신이 강할수록 자기효능감이 향상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자기효능감은 다양한 측면에서 긍정적인 성과를 낼 수 있다. 특히 본 연구를 통해 자기효능감은 비재무 성과를 향상시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있어 창업의 다양한 융합과 안정적인 창업문화의 안착을 위해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에 연구의의가 있다.

IPA 기법을 활용한 공학계열 여대생의 기업가정신 인식 및 교육 요구도 분석 (Entrepreneurship Perception and Needs Analysi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for Female Engineering Students Using an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 김세영;윤성혜;임지영;장지은;강민정;박현경
    • 공학교육연구
    • /
    • 제20권6호
    • /
    • pp.43-51
    • /
    • 2017
  • As the need for entrepreneurship to create new values and innovate in the rapidly changing social environment is emerging, education for entrepreneurial is emerging in university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to derive the priority of education based on actual indicators of importance-performance. For this study, we surveyed 227 female college students in E Woman's University by using th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method for entrepreneurship factors. The result showed that the means of importance of all factors and sub-factors of entrepreneurship were higher than the means of performance of them, and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except for the determination.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e IPA matrix analysis showed that the factors that needed urgent improvement in self-confidence, future-orientation, active/innovative activities, and proactivit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implications of the development of entrepreneurship curriculum for college students in engineering field were discussed. This study is meaningful that it provided practical basic information of curriculum design leading to the manifestation of entrepreneurship of women in engineering field by analyzing entrepreneurship of female engineering students and deriving priority factors of educational treatment.

농촌여성 창업자 특성과 사업성과;농촌여성일감갖기사업 참여자를 중심으로 (Entrepreneur Traits and Business Activities of Rural Women)

  • 김원석;고순철;권오박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14권1호
    • /
    • pp.93-116
    • /
    • 2007
  • 이 연구의 목적은 농촌진흥청에서 시행하고 있는 농촌여성 일감 갖기 사업장을 운영하고 있는 농촌여성 소규모 창업자의 특성과 사업 성과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농촌진흥청이 실시하고 있는 농촌일감갖기 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71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한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39개의 창업가 특성 항목은 9개의 요인으로 구분되었는데, 각각 1) 새로운 것을 학습하고 불확실성을 감수하고자 하는 정도, 2) 혁신성과 자신감, 3) 네트워킹과 유연성, 4) 관심, 5) 자아성취동기, 6) 도전정신, 7) 자발적인 관여, 8) 커뮤니케이션 능력, 9) 사업에 대한 지식 등으로 명명이 가능하였다. 이들 9개의 요인은 전체 변량의 76%를 설명하고 있다. 둘째, 사업성공 변수는 전반적인 사업장 운영상태와 상품의 판매 상태 두 가지로 측정하였는데, 전반적인 사업장 운영 상태는 본인들의 사업과 관련된 메모를 명확하게 작성하고 다른 사람들과 불안감 없이 커뮤니케이션할 수 있는 능력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품의 판매 상태는 예상되는 사업에 대한 지식과 시간 일을 할 수 있는 능력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변수를 합산함으로써 측정된 전반적인 사업성공 정도는 사업의 성장과 사업 자체에 대한 관심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71명의 사례에 바탕을 두어 연구를 하였기 때문에 그 결과의 일반화에는 다소의 한계가 있지만, 농촌여성 소규모 창업자들의 사업성과와 창업자 특성과의 관계를 분석하는 기초 자료로서의 활용은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 PDF